일 종합병원의 가정간호 사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 론
1.사업의 개념적 기틀
2. 사업 목표
3.조직 및 인력 현황
4. 사업 대상
5. 의뢰 절차
6. 사업 내용
7. 1992년도 사업 현황

본문내용

0
112
112
23
35
5
6
35.7
24.5
22.4
18.7
소 계
1906
69
101.3






당 뇨 병
고 혈 압
기 타
455
252
59
695
25
19
7
31*
18.2
13.3
8.4
22.4
소 계
1461
82
62.3
모아건
강관리
를요하

산 후 관 리
신 생 아 관 리
질 환 아 동
112
138
118
18
16
8
6.2
8.6
14.8
소 계
368
42
29.6
총 방 문 수
3735
193
19.4
* 결핵환자, Parkinson's Syndrome, Neurogenic bladder, 간경변증 환자
1991년과 1992년도의 총방문수와 월평균 방문수를 비교한 결과 1991년을 100으로 놓고 볼 때 1992년 총방문수는 약 0.2% 증가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경우 19.6%의 증가가 있는 반면 만성질환자, 모아건강관리를 요하는 자의 경우는 방문수가 13%,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7).
표 7 1991년과 1992년의 총방문수 및 월평균 방문수 비교
방문수(비율)
구 분
1991
1992
장 애 인
총방문수
1762 (100)
2108 (119.6)
월평균
146.8 (100)
175.6 (119.6)
만 성 질 환 자
총방문수
1455 (100)
1529 (86.5)
월평균
121.2 (100)
105.9 (86.5)
모아건강관리를
요 하 는 자
총방문수
511 (100)
368 (72.0)
월평균
42.6 (100)
30.7 (72.0)
총 가 정 방 문 수
총방문수
3728 (100)
3735 (100.2)
월평균
310.7 (100)
311.2 (100.2)
또한 등록환자 등록기간별 구성 비율을 보면 등록기간이 1년이 안된 환자가 56.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5년이상된 환자도 14.6%를 차지하였으며(표8), 또한 환자가 사망하여 사업을 종결한 경우도 19.8%나 되었다.(표 9)
표8. 등록환자의 등록가간별 구성비율
방문기간
환자수(명)
비율(%)
1년미만
109
56.8
1 - 2년
27
14.1
2- 3년
17
8.9
3 - 4년
5
2.6
4 - 5년
6
3.1
5년이상
28
14.6
합계
192*
100.0
* 기록이 불확실한 환자 1명 제외
표9 등록환자의 사업진행여부에 대한 구성비율
방문기간
수(명)
비율(%)
계속방문
116
60.4
사 망
38
19.8
종 결
38
19.8
합 계
192*
100.0
* 기록이 불확실한 환자 1명 제외
8.기 타
기타로 본 지역사화 보건간호과에서는 육아상담실, 어머니교실, 당뇨교실, 조기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육아상담실은 예방접종 및 육아건강 상담을 주로 실시하며 매주 화·목요일 오후 1시-4시에 운영되고 있다.
어머니교실은 산후관리, 신생아 가족계획에 관한 교육 및 상담을 하고 있으며 매주 수요일 오후 1시부터 오후 2시까지 1시간 동안 운영된다.
당뇨교실은 당뇨병관리에 필요한 식이요법, 약물, 운동요법교육 당뇨에 관한 상담을 실시하며 매주 목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전 11시 30분까지 2시간 동안 운영된다.
조기교육 프로그램은 학령전기의 뇌성마비 아동 및 정신지체부자유아에게 조기교육 및 놀이요법을 실시하고 있다는데 1학기는 매주 월요일 오후 2시-4시에 2학기는 월, 수, 목, 금요일 2시-4시에 운영되고 있다.
클리닉 이용 총 환자수는 1991년 2357명에서 1992년 3089명으로 31.1%가 증가하였고 1991년에 비해 1992년에 조기 교육실 이용 환자가 125%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또한 1992년 클리닉 이용 환자중 육아상담실 이용환자가 53.5%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어머니교실, 당뇨교실, 조기교육실 이용환자는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표 10 1991, 1992 클리닉 이용 총환자수 및 월평균 환자수
구분
1991년
1992년
증가율
총환자수
월평균
총환자수
월평균
육 아 상 담 실
1334( 56.6)
111.2
1653( 53.5)
137.8
123.9%
어 머 니 교 실
484( 20.5)
40.3
527( 17.1)
43.9
108.9%
당 뇨 교 실
368( 15.6)
30.7
524( 17.0)
43.7
167.4%
조 기 교 육 실
171( 7.3)
32.1
385( 12.5)
14.2
225.1%
합 계
2357(100.0)
196.4
3089(100.0)
257.4
131.1%
결 론
원주기독병원 보건간호과는 1974년 병원입원 환자중 조기퇴원환자 및 기타 재가환자를 대상으로 가정간호사업을 제공하고자 설립된 이후 1992년 12월 현재 193명의 등록환자에게 가정간호사업을 제공하고 있다. 등록환자의 대부분이 원주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과반수 이상이 50세이고 약 37%가 노인으로 나타났다.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고 평균 가정 방문수도 척수손상환자, 뇌졸중 환자 등의 만성질환자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1년동안 가정간호사업을 시행하면서 사업의 종결여부를 파악한 결과는 사업을 종결하는 환자보다는 계속적으로 가정간호사업이 필요로 되는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에서 가정간호사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하여 현재 우리가 직면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야간에 가정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나 PRN order를 수행해야 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②근육주사를 하루에 네 번 주사하는 경우 가정을 간호에 참여시킬 것인가?
③ 호스피스환자일 경우 pain control을 위한 standing order와 마약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④ 의료보호 대상자인 경우에 병원 자체내에서 보건간호과의 수가책정정책과 수납절차는 어떻게 할 것인가?
⑤ 가정간호사업에 대상자를 의뢰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참고문헌
1. Heating Sarala B. & Keyman Glenda B. (1988). Home health care nursing : Concept and practice, Philadelphla : J. B. Lippincott Co.

키워드

,   종합병원,   가정간호,   사업,   환자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07.22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9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