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Lingua Franca로서 미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링구아 프랑카
2.1. 링구아 프랑카의 기원
2.2. 과거의 링구아 프랑카들
2.3. 링구아 프랑카의 역할
3.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
3.1. 과거의 영어
3.2. 현재의 영어
4. 영어의 미래
5. 결론
참고 문헌


*한글97

본문내용

미래』에 대한 학회에서는 영어의 사용에 대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아일링 1998).
1)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갖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상호관계의 수단으로 영어가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는가, 아니면 문화적 다양성에 위협을 주고 있는가?
2) 하나의 세계라는 공동체 안에서 의사소통을 할만한 다른 방법이 영어 외에 있는가?
3) 영어의 사용이 서로 다른 문화 사이에서 의사소통을 왜곡시키고 그 결과 부적절하게 이해되는 것은 아닌가?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다른 언어나 기계번역이 영어를 대체할만한 가능성은 아직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터넷과 문화산업, 그리고 상거래에서의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의 지위는 한동안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영어를 사용하기는 하되 문화적, 혹은 언어적 다양성에 위협을 주고 있는 요소를 배제하고 서로 다른 문화 때문에 의사소통이 왜곡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만이 세계어, 공용어, 혹은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개인적인 정체성과 사회적인 정체성은 구별되어야하며 더 나아가 사회적 정체성과 의사소통이라는 기능을 위해서 사용되는 공용어와 모국어는 서로 다른 기능과 역할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에 우리나라의 학계와 언론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공용어화에 대한 논쟁은 사대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한 논쟁으로 흐르고 있으나 그 이전에 우리 사회에서의 한국어와 영어의 역할에 대해 먼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다민족으로 인한 다중언어사용국으로 영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는 싱가포르나 인도, 그리고 필리핀과는 상황이 다르다. 즉, 개인적 정체성과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모국어인 한국어만으로 충분한 사회적 상황을 가지고 있다. 다만 사회적 정체성과 다른 나라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해 영어가 필요한데 이러한 영어의 역할은 가장 중요한 외국어로서 적절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교육되어지는 것으로 충분하며 우리 스스로 영어를 공용어의 위치로 격상시킬 줄 필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가 공용어가 된다고 해서 그 역할과 기능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공용어가 된다고 해서 이전보다 더 효과적인 영어교육이 실시될 수 있다거나 사람들은 이전보다 더 영어를 잘 하게 된다거나 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앞에서도 말했듯이 영어를 사회적 정체성과 의사소통을 위해서 사용하기는 하되 문화적, 혹은 언어적 다양성에 위협을 주고 있는 요소를 배제하고 서로 다른 문화 때문에 의사소통이 왜곡되지 않도록 하려는 노력을 우리뿐만이 아니라 세계인들이 함께 해야 진정한 세계어 혹은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의 미래를 위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Ayling, Brian W. 1998. "The world - and Eruope - needs a lingua franca." the EAIE forum. from http://www.eaie.nl/activities/pubs/Highlights/global.html.
Bryson, Bill. 1990. The Mother Tongue: English & How It Got That Way. New York: Avon Books.
Cairncross, Francis. 1997. The Death of Distance. Cambridge, USA: Harvard University Press.
Crystal, David. 1994. Encyclopedia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berland, Hamut. 1994. "A Lingua Franca on the Internet." from http://linguistlist.org/issues/5/5-38.html.
Haspelmath, Martin. 1994. "Internet Lingua Franca." from http://linguistlist.org/ issues/5/5-14.html.
Horvath, John. 2000. "The Lingua Franca of the Net." from http://www.ctmagazin.de/ tp/english/inhalt/te/11492/2.html.
Kakouridis, Thierry and Myrna Magnan. 1998. "Global English: A European Perspective." the Eupean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Education forum. from http://www.eaie.nl/activities/pubs/Highlights/2912.html.
Lebert, Marie. 1999. "Multilingualism on the Web." from http://www.ceveil.qc.ca/ multieng2.htm.
Nunberg, Geoffrey. 2000. "Will the Internet Always Speak English?" from http://www.prospect.org/cgi-bin/printable.cgi.
Raben, Joseph. 1993. "A Lingua Franca on the Internet." from http://164.76.102.59/ issues/5/5-8.html.
Radkovsky, Pavel. 1996. "English, Lingua Franca of the Internet." from http://www.geocities.com/Athens/4206/essay1.html.
Rossetti, Roberto. 1999. "An Introduction to Lingua Franca." from http://www.uwm.edu/~corre/franca/edition3/lingua5.html.
Spath, Stefan. 1999. "Has English become the Lingua Franca of Cyberspace?" from http://www.iaac.com/Articles/1999/0708englishlingua.htm.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09.17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