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최근 세계경제 동향 /
1. 세계 경제 종합 /
2. 미국 경제 /
3. 일본 경제 /
4. 유로·중국·동남아·중동 경제 /
Ⅱ. 최근 국내경제 동향 /
Ⅲ. 대응 정책 방향 /
1. 선진국 수출마케팅의 심화 및
수출시장 다변화노력 강화 /
2. 상시 구조조정 체제의 정착 /
3. 거시경제정책의 신축적 운용 /
4. 중산·서민층의 생활안정 지원 /
Ⅳ. 경제동향 특별점검반의 설치·운영 /
1. 세계 경제 종합 /
2. 미국 경제 /
3. 일본 경제 /
4. 유로·중국·동남아·중동 경제 /
Ⅱ. 최근 국내경제 동향 /
Ⅲ. 대응 정책 방향 /
1. 선진국 수출마케팅의 심화 및
수출시장 다변화노력 강화 /
2. 상시 구조조정 체제의 정착 /
3. 거시경제정책의 신축적 운용 /
4. 중산·서민층의 생활안정 지원 /
Ⅳ. 경제동향 특별점검반의 설치·운영 /
본문내용
기호전에 따른 해외건설업체의 중동지역 SOC 참여 활성화, 플랜트 수출 및 상품 수출 확대노력을 강화할 필요
Ⅱ. 最近 國內經濟 動向
□ 우리 경제는 작년 4/4분기 이후 경기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둔화속도는 다소 완화되는 모습
ㅇ 1월중 산업생산·판매·출하 증가율은 전월대비 각각 1.0%, 1.3%, △0.2%를 기록하여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ㅇ 작년 12월 0.1%로 둔화되었던 수출증가율이 1월과 2월에 각각 5.1% 및 6.6%로 회복
ㅇ 1월중 설비투자의 감소세가 △9.2%로 확대되고 내구소비재 소비도 큰 폭으로 감소(△22.2%)
□ 한편 최근 1, 2월중 실시된 각종 소비자 신뢰지수 및 기업경기실사지수 조사결과는 향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여 호전되는 모습
·전경련BSI : ('00.11월)81.0→(12)68.0→('01.1월)62.7→(2)83.0→ (3)102.4
·한국은행BSI : ('00.3/4)110→ (4/4)107→ ('01.1/4)67→ (2/4)92
·통계청CSI : ('00.10)89.8→ (11)82.4→ (12)82.2→ ('01.1)89.7 → (2)92.0
□ 그러나 최근 미국과 일본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함에 따라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 요인도 점증하는 상황
ㅇ 우리경제의 대외개방 확대, 정보화의 가속화 등으로 미국 등 해외경제여건의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그 파급시차가 짧아지는 동조화 현상이 심화
ㅇ 이에 따라 해외경제여건의 불확실성 증가가 최근의 소비·투자심리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
Ⅲ. 對應 政策 方向
< 基本方向 >
◇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미래지향적으로 대응하여 경쟁력 및 체력을 강화 하는데 주력
ㅇ 세계경제 둔화 등 대외여건 악화에 대비하여 수출마케팅 심화 및 수출시장 다변화 노력을 배가
ㅇ 무엇보다 구조조정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면서 수출산업의 경쟁력과 기초체력을 강화하는 노력을 지속
◇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세계 경기둔화 추이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상황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
ㅇ 해외경제의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하여 거시경제정책을 신축적으로 운용
ㅇ 중산·서민층의 생활안정 추진
◇ 미국·일본 등의 경기하강정도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시나리오별 예비대응방안(Contingency Plan)을 마련하여 철저히 대비
<세계경제 변화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1. 先進國 輸出마케팅의 深化 및 輸出市場 多邊化努力 强化
□ 주요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노력 배가
ㅇ 미국·일본등 주요시장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 조선 등의 경쟁력 강화
- 특히 부품·소재산업의 Global Sourcing 추세를 적극 활용하여 자동차·전자 등 부품시장 개척활동을 강화
- IT부문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복될 가능성도 높으므로 정보화촉진기금 등을 활용하여 R&D를 지원하는 등 미래를 대비한 기술개발 노력을 지속
ㅇ 무역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부가가치 무역전시의 육성기반구축, 무역전문인력의 양성 및 사이버무역기반 확충 등을 추진
ㅇ 교역국별 무역마찰 현안에 따른 차별적인 대응노력을 강화하고 수입규제 사전예방 및 무역환경 개선에도 주력
□ 수출선 다변화와 적극적 Marketing노력 강화
ㅇ 수출시장 다변화 및 지역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으로 차별성 제고
- 우리의 수출상품의 시장점유율이 1% 미만인 국가중 수출성장잠재력이 큰 국가에 대한 적극적 시장개척 노력 경주
* 우리 수출점유율 : 오스트리아(0.35%), 벨기에(0.51%), 프랑스(0.54%), 캐나다(0.65%), 멕시코(0.70%) 등
- 작년 고유가로 인하여 증가한 중동 산유국의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플랜트 수출을 수주토록 적극 노력
- 금년중 예상되는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시장개방도 적극 활용
- 중남미·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에 대하여 전략품목 중심으로 마케팅 강화
2. 常時構造調整體制의 定着
□ 지난 2월말까지 마련된 상시적 구조조정 시스템의 기본틀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지속적 보완 및 점검 실시
□ 「原則과 正道」에 입각한 구조개혁의 지속 추진으로 경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내외 신뢰 제고
3. 巨視經濟政策의 伸縮的 運用
□ 당초 마련한 제한적 경기조절정책의 차질 없는 추진
ㅇ 예산의 조기집행, SOC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 실업대책 사업 등의 차질 없는 추진
□ 대외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통화·금융정책의 추진
ㅇ 환율은 기본적으로 외환시장에서의 수급상황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되, 환율의 급변동시 적절한 수급조절대책과 함께 smoothing operation을 병행
□ 물가안정 노력 강화
ㅇ 공공요금 인상요인을 최대한 자체흡수 유도하고 상반기중에는 인상을 자제
ㅇ 전자상거래, IT산업의 육성을 통한 거래비용 및 재고비용 절감 등으로 물가안정기반 조성
4. 中産·庶民層의 生活安定 支援 擴大
□ 사회안전망의 형평성·효율성 제고
ㅇ 근로능력자를 위한 다양한 자활프로그램 마련 및 후견기관 확충 등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내실화
□ 적극적 실업대책의 추진
ㅇ 실업자 직업훈련을 효율화하고 정보화 교육을 강화하여 인력이 부족한 IT부문의 취업지원
Ⅴ. 經濟動向 特別 點檢班의 設置·運營
□ 「경제동향특별점검반」을 설치하여 세계경제여건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응전략 수립
□ 구 성 : 재경부 차관보(반장)외 민·관전문가 11인
ㅇ 정부 : 재경부 경제정책국장, 노동부 고용총괄심의관,
산자부 무역투자심의관, 건교부 건설경제국장,
기획예산처 재정기획국장, 통상교섭본부 지역통상국장,
한은 조사국장
ㅇ 민간 : KDI 거시경제팀장,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
국제금융센터 동향팀장, KOTRA 무역진흥본부장
□ 운 영
ㅇ 매주 1회 이상 모니터링을 위한 회의 개최
ㅇ 대외여건변화에 따른 정부대책의 수위 및 시기를 판단하여, 경제장관간담회(또는 경제정책조정회의)에 보고
◇ 대외여건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향후 대외여건이 더욱 악화될 경우에 대비하여 시나리오별 예비대응방안(Contingency Plan)을 마련함으로써 사전에 철저히 대비
Ⅱ. 最近 國內經濟 動向
□ 우리 경제는 작년 4/4분기 이후 경기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둔화속도는 다소 완화되는 모습
ㅇ 1월중 산업생산·판매·출하 증가율은 전월대비 각각 1.0%, 1.3%, △0.2%를 기록하여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
ㅇ 작년 12월 0.1%로 둔화되었던 수출증가율이 1월과 2월에 각각 5.1% 및 6.6%로 회복
ㅇ 1월중 설비투자의 감소세가 △9.2%로 확대되고 내구소비재 소비도 큰 폭으로 감소(△22.2%)
□ 한편 최근 1, 2월중 실시된 각종 소비자 신뢰지수 및 기업경기실사지수 조사결과는 향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여 호전되는 모습
·전경련BSI : ('00.11월)81.0→(12)68.0→('01.1월)62.7→(2)83.0→ (3)102.4
·한국은행BSI : ('00.3/4)110→ (4/4)107→ ('01.1/4)67→ (2/4)92
·통계청CSI : ('00.10)89.8→ (11)82.4→ (12)82.2→ ('01.1)89.7 → (2)92.0
□ 그러나 최근 미국과 일본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함에 따라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 요인도 점증하는 상황
ㅇ 우리경제의 대외개방 확대, 정보화의 가속화 등으로 미국 등 해외경제여건의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그 파급시차가 짧아지는 동조화 현상이 심화
ㅇ 이에 따라 해외경제여건의 불확실성 증가가 최근의 소비·투자심리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
Ⅲ. 對應 政策 方向
< 基本方向 >
◇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미래지향적으로 대응하여 경쟁력 및 체력을 강화 하는데 주력
ㅇ 세계경제 둔화 등 대외여건 악화에 대비하여 수출마케팅 심화 및 수출시장 다변화 노력을 배가
ㅇ 무엇보다 구조조정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면서 수출산업의 경쟁력과 기초체력을 강화하는 노력을 지속
◇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세계 경기둔화 추이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상황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
ㅇ 해외경제의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하여 거시경제정책을 신축적으로 운용
ㅇ 중산·서민층의 생활안정 추진
◇ 미국·일본 등의 경기하강정도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시나리오별 예비대응방안(Contingency Plan)을 마련하여 철저히 대비
<세계경제 변화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1. 先進國 輸出마케팅의 深化 및 輸出市場 多邊化努力 强化
□ 주요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노력 배가
ㅇ 미국·일본등 주요시장의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 조선 등의 경쟁력 강화
- 특히 부품·소재산업의 Global Sourcing 추세를 적극 활용하여 자동차·전자 등 부품시장 개척활동을 강화
- IT부문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복될 가능성도 높으므로 정보화촉진기금 등을 활용하여 R&D를 지원하는 등 미래를 대비한 기술개발 노력을 지속
ㅇ 무역인프라 확충을 위해 고부가가치 무역전시의 육성기반구축, 무역전문인력의 양성 및 사이버무역기반 확충 등을 추진
ㅇ 교역국별 무역마찰 현안에 따른 차별적인 대응노력을 강화하고 수입규제 사전예방 및 무역환경 개선에도 주력
□ 수출선 다변화와 적극적 Marketing노력 강화
ㅇ 수출시장 다변화 및 지역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으로 차별성 제고
- 우리의 수출상품의 시장점유율이 1% 미만인 국가중 수출성장잠재력이 큰 국가에 대한 적극적 시장개척 노력 경주
* 우리 수출점유율 : 오스트리아(0.35%), 벨기에(0.51%), 프랑스(0.54%), 캐나다(0.65%), 멕시코(0.70%) 등
- 작년 고유가로 인하여 증가한 중동 산유국의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플랜트 수출을 수주토록 적극 노력
- 금년중 예상되는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시장개방도 적극 활용
- 중남미·아프리카 등 신흥시장에 대하여 전략품목 중심으로 마케팅 강화
2. 常時構造調整體制의 定着
□ 지난 2월말까지 마련된 상시적 구조조정 시스템의 기본틀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지속적 보완 및 점검 실시
□ 「原則과 正道」에 입각한 구조개혁의 지속 추진으로 경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대내외 신뢰 제고
3. 巨視經濟政策의 伸縮的 運用
□ 당초 마련한 제한적 경기조절정책의 차질 없는 추진
ㅇ 예산의 조기집행, SOC사업, 중소·벤처기업 지원, 실업대책 사업 등의 차질 없는 추진
□ 대외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통화·금융정책의 추진
ㅇ 환율은 기본적으로 외환시장에서의 수급상황에 따라 결정되도록 하되, 환율의 급변동시 적절한 수급조절대책과 함께 smoothing operation을 병행
□ 물가안정 노력 강화
ㅇ 공공요금 인상요인을 최대한 자체흡수 유도하고 상반기중에는 인상을 자제
ㅇ 전자상거래, IT산업의 육성을 통한 거래비용 및 재고비용 절감 등으로 물가안정기반 조성
4. 中産·庶民層의 生活安定 支援 擴大
□ 사회안전망의 형평성·효율성 제고
ㅇ 근로능력자를 위한 다양한 자활프로그램 마련 및 후견기관 확충 등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내실화
□ 적극적 실업대책의 추진
ㅇ 실업자 직업훈련을 효율화하고 정보화 교육을 강화하여 인력이 부족한 IT부문의 취업지원
Ⅴ. 經濟動向 特別 點檢班의 設置·運營
□ 「경제동향특별점검반」을 설치하여 세계경제여건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응전략 수립
□ 구 성 : 재경부 차관보(반장)외 민·관전문가 11인
ㅇ 정부 : 재경부 경제정책국장, 노동부 고용총괄심의관,
산자부 무역투자심의관, 건교부 건설경제국장,
기획예산처 재정기획국장, 통상교섭본부 지역통상국장,
한은 조사국장
ㅇ 민간 : KDI 거시경제팀장, KIEP 국제거시금융실장,
국제금융센터 동향팀장, KOTRA 무역진흥본부장
□ 운 영
ㅇ 매주 1회 이상 모니터링을 위한 회의 개최
ㅇ 대외여건변화에 따른 정부대책의 수위 및 시기를 판단하여, 경제장관간담회(또는 경제정책조정회의)에 보고
◇ 대외여건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향후 대외여건이 더욱 악화될 경우에 대비하여 시나리오별 예비대응방안(Contingency Plan)을 마련함으로써 사전에 철저히 대비
추천자료
세계경제의 변화과정
세계경제질서의 변화.
세계경제의 지역화 동향과 전망
세계버블경제의 붕괴가 시작됐다
공간과 경제 : 세계-경제
세계경제의 양상
범세계적_경제위기
세계경제의 변천사 과정과 개혁 및 발전 조사분석
[경제학]세계경제추세 및 현황
세계경제대공황 발생 원인
[경제학] 세계경제 위기의 재조명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핵심내용 및 총정리, 2008...
[세계의정치와경제] 정보화와 세계화로 인해 나의 삶은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에 대해 서술하...
★ 세계의정치와경제 - 세계화 시대에 남북이 하나 되어 통일된 민족국가를 이루는 것이 지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