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체계측
2. 활력징후의 측정
3. 투약
4. 주사
5. 수액
6. 채혈
7. 천자
8. 소변검사물 수집
9. 관장
10. 산소흡입
11. 억제
2. 활력징후의 측정
3. 투약
4. 주사
5. 수액
6. 채혈
7. 천자
8. 소변검사물 수집
9. 관장
10. 산소흡입
11. 억제
본문내용
하여 매우 효과적이다.
1) 방법 : 아동침대의 머리쪽을 고무포 또는 비닐 시트로 덮고, 시트 또는 타올을 덮는다.
산소텐트의 얼음주머니에 얼음을 넣어 산소텐트 내의 온돌를 내려, 산소를 냉각
가습기에는 증류수를 넣어 가습되도록 한다.
2) 간호 :
1 산소텐트내의 습도가 높아지면서 환의가 축축해 지므로 자주 옷을 갈아 입히는 것이 중요
2 산소주입이 끝날때는 산소 농도를 서서히 줄여나가고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해야한다.
2 비강 카테트법
1) 비공에 알맞은 크기의 카테트를 이용
2) 산소가 비강을 통해 주입되므로 점막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가습병을 통해 습기 와 함께 주입되도록 한다.
3 산소마스크
1) 주의사항 : 적절한 표시부분까지 급습기에 증류수가 채워졌는지 확인하고, 급습기에 증 류수가 충분하지 못하면 저습도의 산소가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산소농도는 35∼50% 정도
4 비강 캐뉼라
1) 적응증 : 이산화탄소(CO2)가 정체하는 경향이 있는 환아를 위해 흔히 사용
2) 저유통 체계이므로 환아의 일호흡 용적과 호흡수에 따라 산소농도는 다양하게 공급될 수 있다.
3) 비강캐뉼라를 사용할 때 가는 캐뉼라 구멍을 막을 우려가 있으므로 비공을 윤활성있게 하기 위해 이용하는 바셀린 젤리 사용은 자제한다.
제 11 절 억제
1 억제방법
1. 억제대(restraints)의 종류와 방법
1) 목적 : 치료상의 필요는 물론 아동의 안전을 위하여 운동을 제한하는 목적
2) 종류
1 미이라 억제법 (mummy device)
- 눈, 귀, 목 검사도 함께 필요로 하거나 위 세척과 같은 많은 처치가 필요한 경우 흔히 사용
2 억제용 자켓 (jacket device)
- 아동의 몸을 침대에 고정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 몸에 맞는 크기의 자켓을 입히고 침대에 묶는다.
3 감아매기 억제법 (clove-hitch device)
- 팔이나 다리를 억제하기 위해 이용된다.
- 팔목이나 발목, 무릎관절 등에 이용되며 팔목이나 발목에 거즈나 기저귀를 8자 모양 으로 접어서 사용한다.
- 억제대는 양쪽 끝이 너무 팽팽하게 조이지 않게 하며, 양쪽 둘레로 패드를 대주어 상처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
- 종류
. 무릎 억제대(knee device) : 채뇨를 할때 사용되며 단시간만 하도록 한다.
. 팔꿈치 억제대(elbow device) : 수술후 수술부위에 손을 대지 않도록 할 때나 침 대에 묶을 필요가 없는 아동에게 이용한다.
4 벙어리 장갑 (mitts device)
- 손톱으로 얼굴이나 환부에 상처를 내거나 카테트를 빼 낼 염려가 있을 때에 이용
5 그 외 억제법
- 시트사용 : 별로 움직임이 없는 아동이나 의식불명인 아동에게 낙상방지를 위해 이 용되나 심하게 저항하는 아동에게는 적합하지 못하다.
- 끈 : 일시적으로 아동을 침대에 고정시킬 때 상지 및 하지를 끈으로 묶는다.
혈액순환에 장애가 오지 않는 한도 내에서, 타올이나 면류를 감은 위에 조심스 럽게 끈을 묶는다.
2 억제대 사용중 아동의 관찰
1. 억제대가 아동의 저항에 의해 저절로 죄어져 혈류를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특히 손발을 묶을 때는 주의를 해야 한다.
2. 사지 중에도 적어도 한 곳만은 풀어놓는다.
3. 팔꿈치 관절의 억제대를 이용 할 때는 적어도 하루에 2∼3회 정도는 억제대를 풀어서 팔꿈치 관절 운동을 시킨다.
4. 벙어리 장갑의 경우도 풀어서 손가락 관절을 굽혔다, 폈다 하는 운동을 시킨다.
5. 억제를 계속해야 할 때는 반드시 간간이 풀어주고 동시에 간호사가 아동에게 억제로서 벌주거나 위협하려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하고, 안아주는 등 애정을 표현하도록 한다.
1) 방법 : 아동침대의 머리쪽을 고무포 또는 비닐 시트로 덮고, 시트 또는 타올을 덮는다.
산소텐트의 얼음주머니에 얼음을 넣어 산소텐트 내의 온돌를 내려, 산소를 냉각
가습기에는 증류수를 넣어 가습되도록 한다.
2) 간호 :
1 산소텐트내의 습도가 높아지면서 환의가 축축해 지므로 자주 옷을 갈아 입히는 것이 중요
2 산소주입이 끝날때는 산소 농도를 서서히 줄여나가고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해야한다.
2 비강 카테트법
1) 비공에 알맞은 크기의 카테트를 이용
2) 산소가 비강을 통해 주입되므로 점막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가습병을 통해 습기 와 함께 주입되도록 한다.
3 산소마스크
1) 주의사항 : 적절한 표시부분까지 급습기에 증류수가 채워졌는지 확인하고, 급습기에 증 류수가 충분하지 못하면 저습도의 산소가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산소농도는 35∼50% 정도
4 비강 캐뉼라
1) 적응증 : 이산화탄소(CO2)가 정체하는 경향이 있는 환아를 위해 흔히 사용
2) 저유통 체계이므로 환아의 일호흡 용적과 호흡수에 따라 산소농도는 다양하게 공급될 수 있다.
3) 비강캐뉼라를 사용할 때 가는 캐뉼라 구멍을 막을 우려가 있으므로 비공을 윤활성있게 하기 위해 이용하는 바셀린 젤리 사용은 자제한다.
제 11 절 억제
1 억제방법
1. 억제대(restraints)의 종류와 방법
1) 목적 : 치료상의 필요는 물론 아동의 안전을 위하여 운동을 제한하는 목적
2) 종류
1 미이라 억제법 (mummy device)
- 눈, 귀, 목 검사도 함께 필요로 하거나 위 세척과 같은 많은 처치가 필요한 경우 흔히 사용
2 억제용 자켓 (jacket device)
- 아동의 몸을 침대에 고정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 몸에 맞는 크기의 자켓을 입히고 침대에 묶는다.
3 감아매기 억제법 (clove-hitch device)
- 팔이나 다리를 억제하기 위해 이용된다.
- 팔목이나 발목, 무릎관절 등에 이용되며 팔목이나 발목에 거즈나 기저귀를 8자 모양 으로 접어서 사용한다.
- 억제대는 양쪽 끝이 너무 팽팽하게 조이지 않게 하며, 양쪽 둘레로 패드를 대주어 상처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
- 종류
. 무릎 억제대(knee device) : 채뇨를 할때 사용되며 단시간만 하도록 한다.
. 팔꿈치 억제대(elbow device) : 수술후 수술부위에 손을 대지 않도록 할 때나 침 대에 묶을 필요가 없는 아동에게 이용한다.
4 벙어리 장갑 (mitts device)
- 손톱으로 얼굴이나 환부에 상처를 내거나 카테트를 빼 낼 염려가 있을 때에 이용
5 그 외 억제법
- 시트사용 : 별로 움직임이 없는 아동이나 의식불명인 아동에게 낙상방지를 위해 이 용되나 심하게 저항하는 아동에게는 적합하지 못하다.
- 끈 : 일시적으로 아동을 침대에 고정시킬 때 상지 및 하지를 끈으로 묶는다.
혈액순환에 장애가 오지 않는 한도 내에서, 타올이나 면류를 감은 위에 조심스 럽게 끈을 묶는다.
2 억제대 사용중 아동의 관찰
1. 억제대가 아동의 저항에 의해 저절로 죄어져 혈류를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특히 손발을 묶을 때는 주의를 해야 한다.
2. 사지 중에도 적어도 한 곳만은 풀어놓는다.
3. 팔꿈치 관절의 억제대를 이용 할 때는 적어도 하루에 2∼3회 정도는 억제대를 풀어서 팔꿈치 관절 운동을 시킨다.
4. 벙어리 장갑의 경우도 풀어서 손가락 관절을 굽혔다, 폈다 하는 운동을 시킨다.
5. 억제를 계속해야 할 때는 반드시 간간이 풀어주고 동시에 간호사가 아동에게 억제로서 벌주거나 위협하려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하고, 안아주는 등 애정을 표현하도록 한다.
추천자료
아동간호실습 폐렴 사례연구
아동간호 급성위장감염
아동간호학 체크리스트
아동간호학 case study (urticaria 두드러기)
아동간호 CASE STUDY (가와사키병)
아동간호학 - 신생아 요약 정리, 국가고시/중간/기말 요점정리용으로 활용추천!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사례연구 -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칸디다성 구내염 candidal stomatitis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임파선염 (lymphadenopathy)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미숙아 (Premature infant)
아동간호학 case study(craniosynostosis)
아동간호실습CASE [NICU - TTN] A+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