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이지메에 대한 일반적 이해
Ⅲ.‘이지메’발생 현황
1. 이지메 현황
1) 이지메발생학교수·발생건수
2) 학년별 이지메 발생건수
3) 이지메의 성향
4) 이지메 해결대책 현황
Ⅳ. 이지메문제와 그 해결에 대하여
1. 문부성의 이지메에 관한 종합적인 대응책에 관하여
1) 이지메 문제에 관한 기본적인 방안
2. 이지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의 강화
1) 정 부
2) 교육위원회
3) 학 교
Ⅴ. 결 론
Ⅱ. 이지메에 대한 일반적 이해
Ⅲ.‘이지메’발생 현황
1. 이지메 현황
1) 이지메발생학교수·발생건수
2) 학년별 이지메 발생건수
3) 이지메의 성향
4) 이지메 해결대책 현황
Ⅳ. 이지메문제와 그 해결에 대하여
1. 문부성의 이지메에 관한 종합적인 대응책에 관하여
1) 이지메 문제에 관한 기본적인 방안
2. 이지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의 강화
1) 정 부
2) 교육위원회
3) 학 교
Ⅴ. 결 론
본문내용
1.0
124
1.9
19
5.7
1,081
1.3
그 이외
1,382
3.9
1,762
4.4
437
6.8
16
4.8
3,597
4.3
계
35,711
100.0
40,346
100.0
6,421
100.0
334
100.0
82,812
100.0
(注) 1.복수응답
표-3 이지메해소현황(平成 7년, 1995년)
구분
이지메 해소
이지메가 계속중이거나, 현재지도중
계
(건)
건수(件)
비율(%)
건수(件)
비율(%)
소학교
23,736
89.2
2,878
10.8
26,614
중학교
26,666
91.7
2,403
8.3
29,069
고등학교
3,927
93.9
257
6.1
4,184
특수학교
201
87.8
28
12.2
229
계
54,530
90.7
5,566
9.3
60,096
Ⅳ. 이지메문제와 그 해결에 대하여
) 본 장은 1996년 (재)청소년폭력재단이 실시한 『청소년 폭력실태와 예방대책에 관한 한·일 국제 세미나』에서 일본의 발표자 高階玲治(국립교육연구소실장)가 발표한 \"일본에 있어서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고찰(교내폭력과 이지메를 중심으로)\"의 내용중 이지메에 관한 내용을 발췌한 것임.
1. 문부성의 이지메에 관한 종합적인 대응책에 관하여
1994년말 이지메 자살사건이 문제가 된 이래, 문부성을 중심으로 이지메 문제에 대한 다양한 대응책이 나와 실시되었고, 그 최종안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조사협력자회의의 보고 \"이지메 문제에 대한 종합적 대책에 관하여\"가 1996년 8월에 발표되었다. 그것은 이지메에 관한 조사 등에 근거하여 금후의 종합적인 대책에 관하여 논하고 있는 것이다. 이 보고서에 실린 이지메 문제의 기본적인 방안의 일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이지메 문제에 관한 기본적인 방안
(1) 이지메 앙케트에서 볼 수 있는 이지메의 배경
① 가정의 요인
0 유아기 때부터 기본적인 생활습관과 생활태도의 교육이 불충분, 특히 동정심과 정의 감, 선악의 판단에 대한 교육이 분명하지 않다.
0 부모 자식간에 필요한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신뢰감이 희박하며, 마음을 둘곳이 없 다.
0 \'이지메는 인간으로서 절대로 용서받을 수 없는일\'이라는 사고방식이 분명하지 않다.
0 이지메를 가한 일로 후회하는 자도 적지 않지만 중,고교에 진학하면서 \'재미있었다\' \'기분 좋았다\'등의 대답도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정의감과 동정심에 관하여 적 극적으로 대답한자의 비율이 낮았다.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다면 나쁜 일을 해 도 용서받는다\'는 사고방식이 중,고교를 진학하면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0 가정생활이 즐겁지 않다고 대답한 아이의 이지메 가해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부모는 내가 하는 일마다 간섭을 한다\'라고 대답한 비율이 높다.
0 이지메 가해자의 부모는 \'예절교육에 자신이 없다\' \'아이가 공부를 하지 않는다\' 라고 대답 하였고, 특히 중고교에서는 \'자식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배우자가 협력적이지 않다\'라고 대답하고 있다.
② 학교의 요인
0 학교에서는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척도로 학생들을 평가하기 쉬운 경향을 보이고 있고, 학생 한사람 한사람의 개성과 특성을 신장시키는 교육이 충분히 실시되고 있지 않는점 등 지도에 유연성이 결여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실태 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0 학급내의 신뢰, 동정심과 정의감 유도, 이지메는 비굴한 행위임을 인식하게 하는 등 의 진보적인 지도가 확실하게 실시되고 있지 않다.
0 이지메의 피해자에게서는 \'선생님을 신뢰할 수 있다\' \'선생님에게는 동정심이 있다\'고 대답한 비율이 적다.
0 \'어떠한 이유가 있어도 절대로 이지메는 용서할 수 없다\'고 대답한 교사는 90%에 달 했지만 \'상당히 그렇게 생각한다\'는 초, 중학교에서는 약 70%. 고교는 약 50%에 불 과했다. \'이지메는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경우도 있다\'고 대답한 교사는 20% 전후, \'기본적으로는 학생들에게 맡겨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초등, 중학교에서 약 10%, 고교에서는 약 20%이다.
0 이지메의 원인 배경에 대하여 가정교육이라고 한 사람이 약 85%, 정의감과 법의 식 결여라고 대답한 사람이 약 70%, 교사의 지도력과 지도방법등 학교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자가 30-40%였다. 그리고 지역사회가 원인, 또는 사회전체가 원인 이 라고 대답한 사람도 있었다.
(2) 이지메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
① \'약자를 이지메 하는 일은 인간으로서 절대 용서할 수 없는 일\'이라는 강한 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② 이지메 피해자의 입장에 있는 부모의 마음으로 지도에 임한다.
③ 이지메는 가정교육과 상당한 관련을 가진다는 점을 인식한다.
④ 이지메 문제는 교사의 학생관과 지도방법에도 의문을 제기하여야 한다.
⑤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 모든 관계자가 각자 역할을 하면서 일체가 되어 진지하게 대응해 갈 필요가 있다.
2. 이지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의 강화
\"이지메 문제에 관한 종합적인 대응책에 대하여\"에서는 정부, 교육위원회, 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대응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항목)
1) 정 부
(1) 학생 하나하나를 소중히 여겨 개성을 살리는 교육을 충실히 할 것.
① 就學교의 변경 등 강력한 조치
② 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학습기회의 확보
③ 중학교 졸업정도 인정제도의 유효한 활용
(2) 교원의 자질, 능력의 향상
① 교원양성의 충실
② 교원채용에 있어서의 유의사항
③ 교원연수의 효과적인 실시 (체계적, 전문적인 연수)
(3) 교원상담체제의 정비
(4)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 추진 (가정교육에 대한 지원 추진)
(5) 관계부서와의 한층 더 깊은 연계
2) 교육위원회
(1) 가정교육에 대한 지원의 충실
(2) 학교에서의 대응에 대한 지원의 충실
① 학교의 대응책에의 항구적 지원
② 교직원 배치를 통한 학교에의 지원
③ 학교의 대응책에의 점검
④ 출석정지 및 전학조치의 강력한 운영
(3) 효과적인 교원연수의 실시
① 모든 기회를 통한 교원연수의 실시
② 구체적인 연수 프로그램
(4) 교육상담체제의 충실
① 교육상담 체제의 정보와 주지
124
1.9
19
5.7
1,081
1.3
그 이외
1,382
3.9
1,762
4.4
437
6.8
16
4.8
3,597
4.3
계
35,711
100.0
40,346
100.0
6,421
100.0
334
100.0
82,812
100.0
(注) 1.복수응답
표-3 이지메해소현황(平成 7년, 1995년)
구분
이지메 해소
이지메가 계속중이거나, 현재지도중
계
(건)
건수(件)
비율(%)
건수(件)
비율(%)
소학교
23,736
89.2
2,878
10.8
26,614
중학교
26,666
91.7
2,403
8.3
29,069
고등학교
3,927
93.9
257
6.1
4,184
특수학교
201
87.8
28
12.2
229
계
54,530
90.7
5,566
9.3
60,096
Ⅳ. 이지메문제와 그 해결에 대하여
) 본 장은 1996년 (재)청소년폭력재단이 실시한 『청소년 폭력실태와 예방대책에 관한 한·일 국제 세미나』에서 일본의 발표자 高階玲治(국립교육연구소실장)가 발표한 \"일본에 있어서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고찰(교내폭력과 이지메를 중심으로)\"의 내용중 이지메에 관한 내용을 발췌한 것임.
1. 문부성의 이지메에 관한 종합적인 대응책에 관하여
1994년말 이지메 자살사건이 문제가 된 이래, 문부성을 중심으로 이지메 문제에 대한 다양한 대응책이 나와 실시되었고, 그 최종안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조사협력자회의의 보고 \"이지메 문제에 대한 종합적 대책에 관하여\"가 1996년 8월에 발표되었다. 그것은 이지메에 관한 조사 등에 근거하여 금후의 종합적인 대책에 관하여 논하고 있는 것이다. 이 보고서에 실린 이지메 문제의 기본적인 방안의 일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이지메 문제에 관한 기본적인 방안
(1) 이지메 앙케트에서 볼 수 있는 이지메의 배경
① 가정의 요인
0 유아기 때부터 기본적인 생활습관과 생활태도의 교육이 불충분, 특히 동정심과 정의 감, 선악의 판단에 대한 교육이 분명하지 않다.
0 부모 자식간에 필요한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신뢰감이 희박하며, 마음을 둘곳이 없 다.
0 \'이지메는 인간으로서 절대로 용서받을 수 없는일\'이라는 사고방식이 분명하지 않다.
0 이지메를 가한 일로 후회하는 자도 적지 않지만 중,고교에 진학하면서 \'재미있었다\' \'기분 좋았다\'등의 대답도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정의감과 동정심에 관하여 적 극적으로 대답한자의 비율이 낮았다.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다면 나쁜 일을 해 도 용서받는다\'는 사고방식이 중,고교를 진학하면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0 가정생활이 즐겁지 않다고 대답한 아이의 이지메 가해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부모는 내가 하는 일마다 간섭을 한다\'라고 대답한 비율이 높다.
0 이지메 가해자의 부모는 \'예절교육에 자신이 없다\' \'아이가 공부를 하지 않는다\' 라고 대답 하였고, 특히 중고교에서는 \'자식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배우자가 협력적이지 않다\'라고 대답하고 있다.
② 학교의 요인
0 학교에서는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척도로 학생들을 평가하기 쉬운 경향을 보이고 있고, 학생 한사람 한사람의 개성과 특성을 신장시키는 교육이 충분히 실시되고 있지 않는점 등 지도에 유연성이 결여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실태 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0 학급내의 신뢰, 동정심과 정의감 유도, 이지메는 비굴한 행위임을 인식하게 하는 등 의 진보적인 지도가 확실하게 실시되고 있지 않다.
0 이지메의 피해자에게서는 \'선생님을 신뢰할 수 있다\' \'선생님에게는 동정심이 있다\'고 대답한 비율이 적다.
0 \'어떠한 이유가 있어도 절대로 이지메는 용서할 수 없다\'고 대답한 교사는 90%에 달 했지만 \'상당히 그렇게 생각한다\'는 초, 중학교에서는 약 70%. 고교는 약 50%에 불 과했다. \'이지메는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필요한 경우도 있다\'고 대답한 교사는 20% 전후, \'기본적으로는 학생들에게 맡겨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는 초등, 중학교에서 약 10%, 고교에서는 약 20%이다.
0 이지메의 원인 배경에 대하여 가정교육이라고 한 사람이 약 85%, 정의감과 법의 식 결여라고 대답한 사람이 약 70%, 교사의 지도력과 지도방법등 학교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자가 30-40%였다. 그리고 지역사회가 원인, 또는 사회전체가 원인 이 라고 대답한 사람도 있었다.
(2) 이지메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
① \'약자를 이지메 하는 일은 인간으로서 절대 용서할 수 없는 일\'이라는 강한 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② 이지메 피해자의 입장에 있는 부모의 마음으로 지도에 임한다.
③ 이지메는 가정교육과 상당한 관련을 가진다는 점을 인식한다.
④ 이지메 문제는 교사의 학생관과 지도방법에도 의문을 제기하여야 한다.
⑤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 모든 관계자가 각자 역할을 하면서 일체가 되어 진지하게 대응해 갈 필요가 있다.
2. 이지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의 강화
\"이지메 문제에 관한 종합적인 대응책에 대하여\"에서는 정부, 교육위원회, 학교, 가정, 지역사회의 대응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항목)
1) 정 부
(1) 학생 하나하나를 소중히 여겨 개성을 살리는 교육을 충실히 할 것.
① 就學교의 변경 등 강력한 조치
② 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학습기회의 확보
③ 중학교 졸업정도 인정제도의 유효한 활용
(2) 교원의 자질, 능력의 향상
① 교원양성의 충실
② 교원채용에 있어서의 유의사항
③ 교원연수의 효과적인 실시 (체계적, 전문적인 연수)
(3) 교원상담체제의 정비
(4)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 추진 (가정교육에 대한 지원 추진)
(5) 관계부서와의 한층 더 깊은 연계
2) 교육위원회
(1) 가정교육에 대한 지원의 충실
(2) 학교에서의 대응에 대한 지원의 충실
① 학교의 대응책에의 항구적 지원
② 교직원 배치를 통한 학교에의 지원
③ 학교의 대응책에의 점검
④ 출석정지 및 전학조치의 강력한 운영
(3) 효과적인 교원연수의 실시
① 모든 기회를 통한 교원연수의 실시
② 구체적인 연수 프로그램
(4) 교육상담체제의 충실
① 교육상담 체제의 정보와 주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