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학전형 방안 연구(대학입학제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2002학년도 부산교육대학교 입학전형 방안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우리나라 대학입학제도의 변천

Ⅲ. 선진주요국의 대학입학전형 제도 비교 -교원양성대학을 중심으로-
1. 미국
2. 영국
3. 프랑스
4. 일본
5. 선진국의 대학입학전형제도 특징과 시사점

Ⅳ. 2002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 분석
1. 2002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 도입 배경
2. 2002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 기본 철학과 원칙
3. 2002학년도 대학입학전형제도 특징 분석

Ⅴ. 대학입학전형자료의 분석

Ⅵ. 대학입학 전형 방안 개발의 구성 요소 분석

Ⅶ. 전국 교육대학교 입학전형 방안 비교 분석

Ⅷ. 2002학년도 부산교육대학교 입학 전형 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문에 이상과 같은 우선 순위를 정하였다. 또한 부모와 조부모가 교육자인 집안은 다른 학생들보다 교직관이 투청할 것으로 판단되어서 우선순위 조건으로 삽입하였다.
나) 특별전형 (성적 우수자 및 교육관 투철자)
재학생의 경우에 2학년의 학생부 교과성적이 1등급인 자이거나 재수생으로 전년도 수능에서 1등급(상위 3% 이내)의 성적을 받은자로 학교장의 추천으로 선발한다. 추천된 학생이 정원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다음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선발한다.
① 재학생: 학생부 2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수" 이상인 자
재수생: 학생부 3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수"이상인자나 전년도 수능 성적이 상위 2%이내인 자
이상의 요건을 갖춘 자로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자.
② 재학생: 학생부 2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우" 이상인 자
재수생: 학생부 3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우"이상인 자나 전년도 수능 성적이 상위 3%이내인 자
이상의 요건을 갖춘 자로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자로 2대 이상이 교육자인 자
③ 재학생: 학생부 2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우" 이상인 자
재수생: 학생부 3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우"이상인 자나 전년도 수능 성적이 상위 3%이내인 자
이상의 요건을 갖춘 자로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로 부모가 모두 교육자인 자
④ 재학생: 학생부 2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우" 이상인 자
재수생: 학생부 3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우"이상인자나 전년도 수능 성적이 상위 3%이내인 자
이상의 요건을 갖춘 자로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로 부모 중 1인이 교육자인 자.
⑤ 재학생: 학생부 2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우" 이상인 자
재수생: 학생부 3학년 교과성적 전과목이 "우"이상인 자나 전년도 수능 성적이 상위 3%이내인 자
이상의 요건을 갖춘 자로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자로 국가 유공자 자녀.
⑥ 학생부 교과 성적의 평균이 높은 자.
⑦ 국가 유공자 자녀
⑧ 생년월일이 늦은 자.
5단계 이전에서 정원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각 단계에서 학생부 교과성적의 평균이 높은 자로 선발한다.
<참고문헌>
강영석(1994). 대학입학전형 방법의 비교. 교육평가연구, 7(2). 201-220.
강승호(1990). 대학입학선발고사의 예언타당도 분석. 교육학연구, 28(2), 1-14.
고형일 외(1998). 2002학년도 이후의 입학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 보고서.
교육부(1998). 새로운 대학입학제도와 교육비젼 2002 : 새학교문화창조. 교육부.
교육부(1999). 200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내 자료집. 교육부.
교육부(1999). 교육발전5개년 계획 시안. 교육부.
권두환(1999). 새로운 대학입학전형을 준비하며. 2002학년도 대입제도의 변화에 따른 학부모 교육관계자 심포지움(자료 DSP 제 99-4-71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김중하(1999). 2002학년도 대학입학전형계획 : 국립대를 중심으로. 2002학년도 대입제도의 변화에 따른 학부모 교육관계자 심포지움(자료 DSP 제99-1-69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민경찬(1998). 무시험 전형을 위한 선발 기준 설정 방안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47-64.
민경찬(1999). 2002학년도 대입전형의 이해. 2002학년도 대입제도의 변화에 따른 학부모 교육관계자 심포지움(자료 DSP 제 99-4-71호).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박병량, 변영계, 한대동, 성병창(1994). 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후의 고교교육변화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4.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57-82.
배호순(1998). 무시험 대학입학전형제도의 영향에 관한 분석적 고찰. 한국교육평가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3-24.
백순근 외(1998). 대학신입생 선발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백순근(1998). 무시험 전형을 통한 대학 신입생 선발방법의 다양화. 한국교육평가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25-46.
변영계, 성병창(1996). 대학수학능력 고사가 고등학교 수업에 미친 영향. 부산대학교 사대논문집. 32. 52-64.
이종재(1999). 대학입학 전형제도 개혁방안. 교육행정학연구 제 17권 1호. 9-22.
임찬빈, 성병창, 양길설(1998). 대학수학능력시험 영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장석우, 장언효(1991). 대학입시에서의 고교내신성적 반영방법의 타당성 방안 연구, 교육학연구. 제29원 2호. 129-146.
정구향. 김성숙, 양길석, 전은화(1998). 대학입학 면접전형자료의 개발과 활용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yllegard. D.(1998). Changing the odds : open admissions and the life chances of the disadvantaged.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22(1).
Kanaya, T(1995). Japan. Postlethwaite. T.N.(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national systems of education.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hmann, R.H.(1995). Germany. Postlethwaite. T.N.(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national systems of education.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Monchablon, A.(1995). France. Postlethwaite. T.N.(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national systems of education.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Valverde. G.A.(1995). United States. Postlethwaite. T.N.(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national systems of education.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가격3,3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02.10.0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