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유교의례의성립
2.관혼상제
1)관례
2)혼례
3)상례
4)제례
결론
본론
1.유교의례의성립
2.관혼상제
1)관례
2)혼례
3)상례
4)제례
결론
본문내용
지였으며, 제사시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 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냈다. 제사는 제주의 집에서 지내는데,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한다. 장자나 장손이 없을때는 차자나 차손이 주관한다. 제사에 참석하는 사람은 고인의 직계자손으로 하며 가까운 친척도 참석할 수 있다.
⑤묘제
묘제(墓祭)는 산소를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이다.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토지 신에게도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낸다. 고례에 의하면 제주를 비롯한 여러 참사자들이 검은 갓과 흰옷을 갖추고, 일찍 산소에 찾아가 제배하고,산소를 둘러보면서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풀이 있으면 벌초하고 산소 앞을 깨끗하게 쓸고 난 후 산소의 왼쪽에 자리를 마련한다.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깔고, 제찬을 진설한다.
⑥차례
차례(茶禮)는 간소한 약식제사로서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 날에 지내며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낸다. [가례]를 비롯한 예서에는 차례라는 것은 없으나 우리 나라에서 관습적으로 민속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차례는 기제를 지내는 조상에게 지낸다. 예를 들어 고조부모까지 4대를 봉사하는 가정에서는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돌아 가신 부모 등 여덟 분의 조상이 대상이 되는 것이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낸다. 차례도 물론 기제를 지내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한다.
-제사의 절차-
①영신(迎神)
먼저 대문을 열어 놓고,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그리고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신주나 지방(紙榜) 또는 사진을 작은 상에서 교의(交椅)로 모시는데, 고위(考位: 바깥조상)는 주인이 모시고, 비위(안조상)는 주부가 교의로 모신다. 만약 신주의 경우 두 분을 함께 지방에 썼을 때에는 주인이 모신다.
②강신(降神)
강신은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으로 우선 분향강신을 먼저 하는데, 분향은 향긋한 향을 태워 천상에 계시는 조상의 혼(魂)을 청하여 모시는 상징적인 행위이다. 그 다음 강신뇌주를 하는데, 뇌주는 향그러운 술을 땅에 부어 적셔서 지하에 계실 조상의 백(魄)을 모시는 행위이다.
③참신(參神)
고인의 신위(神位)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사자가 일제히 절하는 것을 말한다. 신주(神主)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紙榜)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④초헌(初獻)
제상에 제수의 진설이 끝나고 참사자들이 각자 제자리에 서는 데부터 제사가 시작되는데,초헌이란 제주가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⑤독축(讀祝)
초헌 후 참사자가 모두 꿇어앉으면 축관이 옆에 앉아서 축문을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되는데, 엄숙한 목소리로 천천히 읽어야 하는데, 축문 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을했다. 그리고 독축 뒤에 곡(哭)을 했다.
⑥아헌(亞獻)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主婦)가 올린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⑦종헌(終獻)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흔히 멀리서 참례하러 온 참사자 가운데서 올리기도 하는데, 사위(女壻)나 외손(外孫)이 마땅하다. 이때 술은 7할 정도만 따른다.
⑧첨작(添酌)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끓어 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할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⑨삽시정저(揷匙正箸)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젓가락을 고른 뒤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는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한다.
⑩합문(闔門)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린다. 대청 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예서'에는 서 있는 동안을 '구식경(九食頃-아홉숟갈의 밥을 먹을 수 있는 약 8·9분)'이라 했는데, 이 서 있는 동안은 잡담을 하며 서성거림 없이 조용하게 경건한 마음을 가진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엎드려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⑪계문(啓門)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로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⑫헌다(獻茶)
갱을 내리고 물을 올린 뒤 메 세 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이때 참사자는 모두 몸을 굽히고 머리를 숙인 상태로 잠시 동안 조용히 앉아 있다가 고개를 든다.
⑬철시복반(撤匙復飯)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 메 뚜껑을 덮는다.
⑭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 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이로서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⑮철상(撤床)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린다.
음복(飮福)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된다. 참사자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제사의 종류는 이렇게 많고 다양했다. 때문에 해마다 많은 제사를 지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 었을 것이다. 따라서 사대부들도 지키기 쉽지 않은 것이 제례에 관한 것이 었는데 일반 서민들이 지키기란 상당히 어려운 일이 었을 것이다. 우선 금전적으로도 부담이 많이 가는 일이기 때문에 아무리 장자에게 유산을 남겨 주면서 제사를 떠맞겨도 이를 꼬박꼬박 챙기기는 어려운 일이 었다. 하지만 조선 중기 이후 아무리 형편이 어려워도 조상에 대한 최소한의 제사는 지내는 것이 당연시 되었고 이를 지키는 것이 미덕이 되었다.
맺음말
⑤묘제
묘제(墓祭)는 산소를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이다.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토지 신에게도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낸다. 고례에 의하면 제주를 비롯한 여러 참사자들이 검은 갓과 흰옷을 갖추고, 일찍 산소에 찾아가 제배하고,산소를 둘러보면서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풀이 있으면 벌초하고 산소 앞을 깨끗하게 쓸고 난 후 산소의 왼쪽에 자리를 마련한다.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깔고, 제찬을 진설한다.
⑥차례
차례(茶禮)는 간소한 약식제사로서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 날에 지내며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낸다. [가례]를 비롯한 예서에는 차례라는 것은 없으나 우리 나라에서 관습적으로 민속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차례는 기제를 지내는 조상에게 지낸다. 예를 들어 고조부모까지 4대를 봉사하는 가정에서는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돌아 가신 부모 등 여덟 분의 조상이 대상이 되는 것이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낸다. 차례도 물론 기제를 지내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한다.
-제사의 절차-
①영신(迎神)
먼저 대문을 열어 놓고,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그리고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신주나 지방(紙榜) 또는 사진을 작은 상에서 교의(交椅)로 모시는데, 고위(考位: 바깥조상)는 주인이 모시고, 비위(안조상)는 주부가 교의로 모신다. 만약 신주의 경우 두 분을 함께 지방에 썼을 때에는 주인이 모신다.
②강신(降神)
강신은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으로 우선 분향강신을 먼저 하는데, 분향은 향긋한 향을 태워 천상에 계시는 조상의 혼(魂)을 청하여 모시는 상징적인 행위이다. 그 다음 강신뇌주를 하는데, 뇌주는 향그러운 술을 땅에 부어 적셔서 지하에 계실 조상의 백(魄)을 모시는 행위이다.
③참신(參神)
고인의 신위(神位)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사자가 일제히 절하는 것을 말한다. 신주(神主)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紙榜)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④초헌(初獻)
제상에 제수의 진설이 끝나고 참사자들이 각자 제자리에 서는 데부터 제사가 시작되는데,초헌이란 제주가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⑤독축(讀祝)
초헌 후 참사자가 모두 꿇어앉으면 축관이 옆에 앉아서 축문을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되는데, 엄숙한 목소리로 천천히 읽어야 하는데, 축문 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을했다. 그리고 독축 뒤에 곡(哭)을 했다.
⑥아헌(亞獻)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主婦)가 올린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올린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는다.
⑦종헌(終獻)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흔히 멀리서 참례하러 온 참사자 가운데서 올리기도 하는데, 사위(女壻)나 외손(外孫)이 마땅하다. 이때 술은 7할 정도만 따른다.
⑧첨작(添酌)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끓어 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할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⑨삽시정저(揷匙正箸)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메 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젓가락을 고른 뒤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는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한다.
⑩합문(闔門)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린다. 대청 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예서'에는 서 있는 동안을 '구식경(九食頃-아홉숟갈의 밥을 먹을 수 있는 약 8·9분)'이라 했는데, 이 서 있는 동안은 잡담을 하며 서성거림 없이 조용하게 경건한 마음을 가진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엎드려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⑪계문(啓門)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로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⑫헌다(獻茶)
갱을 내리고 물을 올린 뒤 메 세 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이때 참사자는 모두 몸을 굽히고 머리를 숙인 상태로 잠시 동안 조용히 앉아 있다가 고개를 든다.
⑬철시복반(撤匙復飯)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 메 뚜껑을 덮는다.
⑭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 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이로서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⑮철상(撤床)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린다.
음복(飮福)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된다. 참사자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제사의 종류는 이렇게 많고 다양했다. 때문에 해마다 많은 제사를 지내기란 쉽지 않은 일이 었을 것이다. 따라서 사대부들도 지키기 쉽지 않은 것이 제례에 관한 것이 었는데 일반 서민들이 지키기란 상당히 어려운 일이 었을 것이다. 우선 금전적으로도 부담이 많이 가는 일이기 때문에 아무리 장자에게 유산을 남겨 주면서 제사를 떠맞겨도 이를 꼬박꼬박 챙기기는 어려운 일이 었다. 하지만 조선 중기 이후 아무리 형편이 어려워도 조상에 대한 최소한의 제사는 지내는 것이 당연시 되었고 이를 지키는 것이 미덕이 되었다.
맺음말
추천자료
[종교]그리스도교 제례 의식의 한국문화 토착화 과제에 관한 연구
종묘제례, 종묘제례악에 관하여
제례와 수연례
서원의 제례과정과 의의
한국의 제례문화
[제사][제례][제사(제례) 유래][제사(제례) 종류][전통 제사(제례)][현대식 제사(제례)][종교...
[제사][제례][제사(제례) 순서][지방][축문][제수진설][제사(제례)에 임하는 태도]제사(제례)...
[제례][제사][제사예절][제례(제사예절) 기원][축문 쓰는법][제수 진설]제례(제사예절)의 정...
[제사][제례][기제][제수][상차림][제사 순서][제례 순서]제사(제례)의 의의, 제사(제례)의 ...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근원, 제사(제례, 제사예절)의 유형별 분류와 종교별 유형, 제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