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 많이 의존하는 것 같다. 다른 문제도 아닌 통일문제에 있어서만은 남과 북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은 제3자의 입장을 취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남과 북 사이의 자연적인 교류가 이루어질 것이다. 물론 남과 북의 이념의 차이가 있기에 조심스럽기는 하겠지만 이웃나라를 방문하는 듯한 혹은 다른 지방을 방문하는 듯한(물론 후자의 이런 분위기를 만들기까지는 시간이 꽤 걸릴 것이라 생각한다.)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통일의 희망이 보이지 않을까 싶다. 서로 조금씩 알아가며...정부의 정책적인 교류가 아닌 국민들의 민족적인 교류를 통해 현실적인 남과 북을 알게 되고... 통일을 할 수 있을 만큼 서로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맞는 대비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통일 후의 혼란도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
추천자료
여론과 매스미디어
햇볕정책과 정책결정모형의 관계
북한 형법에 관하여
대중매체의 특성과 사례-우리나라여성은 성형미인이다?
북한사회의 이해
[6.15남북정상회담][남북관계]6.15남북정상회담의 성사배경, 의의, 6.15남북정상회담과 국가...
[한국의사회와문화] 『새터민의 문화적 갈등』에 대하여
2012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중간시험과제물 C형(분단관련문제토론의중요성)
[조사사례, 대북정책, 비정규직, 노동시간단축]대북정책 조사사례, 비정규직 조사사례, 노동...
독일정부(독일연방정부)의 형태, 정보화, 독일정부(독일연방정부)의 주요정당, 독일정부(독일...
DMZ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하여
[남북관계] 남북 관계가 지향해야 할 방향
남북인권문제 찬성, 반대 - 찬성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