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우리의 사랑은 아름다운가
2.우리의 성은 아름다운가
3.아름다운 성이 되려면
2.우리의 성은 아름다운가
3.아름다운 성이 되려면
본문내용
배어 있는 사랑과 성에 대한 신화에서 깨어나야하며 남자 중심적인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래야만 남자와 여자가 인간으로서 성과 사랑을 나눌 수 있으며 물질로써 인간관계를 재는 함정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그렇게 될 때 우리의 사랑과 성은 사람들이 모여사는 더 좋은 세상을 위한 힘을 생산해 낼 수 있다.
<< 생각해 봅시다 >>
1.자기가 가지고 있는 사랑과 성에 대한 신화는 무엇인지 생각해봅시다.
2.자기가 생각하는 아름다운 사랑과 성의 모델을 구상해 봅시다.
<< 이런 책이 도움이 됩니다 >>
오숙희, 내가 만난 여자 그리고 남자, 그린비, 1991.
김경원 엮음, 엄마에게 애인이 생겼어요, 그린비, 1991.
문대찬 옮김, 첫사랑이 마침표를 씌울 때, 그린비,1992.
최순덕, 암탉이 울면,동녜,
<< 생각해 봅시다 >>
1.자기가 가지고 있는 사랑과 성에 대한 신화는 무엇인지 생각해봅시다.
2.자기가 생각하는 아름다운 사랑과 성의 모델을 구상해 봅시다.
<< 이런 책이 도움이 됩니다 >>
오숙희, 내가 만난 여자 그리고 남자, 그린비, 1991.
김경원 엮음, 엄마에게 애인이 생겼어요, 그린비, 1991.
문대찬 옮김, 첫사랑이 마침표를 씌울 때, 그린비,1992.
최순덕, 암탉이 울면,동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