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성질
특성...

1.1 철근콘크리트의 개요
1.2 철근 콘크리트 구조체의 특성
1.2.1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체의 원리
1.기본개념
2. 콘크리트와 철근의 상호작용
1.3 사용재료
1.3.1 철근
1. 철근 종류 및 형태
1.3.2. 시멘트
3 시멘트의 종류

본문내용

단열 거푸집 등의 보온양생을 실시하고 보온, 가열양생에 있어서는 콘크리트가 균등히 가열되도록 하고 건조하지 않도록 살수, 피막처리등의 방법에 의하여 습윤상태에 있도록 유의한다. 이와 같은 초기양생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50 kg/㎠으로 될 때까지 계속하도록 하고 이 기간은 콘크리트의 어느 부분도 그 온도가 이하로 되지 않도록 초기양생을 실시한다.
1.4.4 서중콘크리트
서중 콘크리트란 기온이 높고, 슬럼프의 저하나 수분의 급격한 증발 등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로 일반적으로 월평균기온이 25 를 넘는 시기에는 서중콘크리트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하에서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촉진되고 운반중의 슬럼프 저하, 타설시의 응결촉진,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수부의 급격한 증발 등에 의해서 콜드 조인트나 플라스틱 균열발생, 장기강도의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같은 이치로 동일 슬럼프를 얻는 데 필요한 단위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유의해야 한다.
① 고온의 시멘트, 골재,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혼화제는 AE감수제 지연형 등 지연성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③ 배합설계 시에 가능한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이 적도록 한다.
④ 콘크리트의 비빔시부터 타설종료까지의 시간은 90분 이하로 가능한 짧게 한다.
⑤ 콘크리트의 타설 시의 온도는 35 이하로 한다.
⑥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물을 분무하는 등에 의해서 콘크리트 표면의 급격한 건조를 방지한다.
⑦ 직사일광을 막아 타설 후의 수분의 급격한 증발 또는 일사에 의한 온도상승을 방지하도록 양생한다.
서중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의 증가, 조기응결의 방, 플라스틱균열의 방지, 강도저하의 방지 등을 위해 감수제, AE감수제의 사용이 유효하다.
1.4.5 유동화 콘크리트
유동화 콘크리트는 미리 비벼낸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에 분산작용을 하는 유동화제라고 불리는 혼화제를 혼입하여 된비빔의 콘크리트의 품질을 유지한 채 슬럼프를 증대시켜 유동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따라서 유동화콘크리트의 특징은 된비빔, 중간비빔 콘크리트 정도의 단위수량으로 높은 슬럼프의 콘크리트가 얻어질수 있다는 점과 묽은 콘크리트의 놓은 슬럼프를 적은 단위수량으로 실현할 수 있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유동화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은 보통의 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교하여 8 ∼ 12% 적게 한다.
1.4.6 포장콘크리트
포장용 콘크리트는 무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종인 콘크리트포장판에 이용되는 데 포장판의 균열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판 1㎡당 3kg 정도의 철망을 사용한다.
포장콘크리트는 다음과 같은 성능을 요구한다.
① 휨강도가 크고 그 편차가 적을 것
②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클 것
③ 기상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풍부할 것
④ 체적변화가 적을 것
⑤ 표면마감성이 좋을 것
이상의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마모저항이 큰 최대 치수 40mm의 양질의 굵은 골재를 사용하고 수축이 적은 시멘트를 280 ∼ 340 kg/㎥, 침하도 30초를 마족하는 범위에서 되도록 적은 단위수량을 한 AE콘크리트로 하면 좋다.
1.4.7 매스콘크리트
부재 또는 구조물의 단면치수가 상당히 큰 콘크리트의 시공에 있어서는 시멘트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상승이 크기 때문에 내부최고온도와 외기온도와의 차이가 25 이상으로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콘크리트이다.
따라서 매스콘크리트에서 온도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기타 재료의 선정 및 배합의 결정에 있어서 온도상승이 가능한 한 적게 되도록 할 것, 과도한 온도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치어붓기 및 양생방법 등을 하고 큰 응력이 생길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철근을 배치할 것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매스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 또는 감소하기 위한 대책은 내부의 온도상승을 가능한 한 작게 하고 또한 급격한 온도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책으로서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다.
① 시멘트는 수화열이 적은 것을 사용한다.
② 호학혼화제로서 AE감수제지연형 또는 감수제지연형을 사용한다.
③ 단위시멘트량을 적게 하기 위하여 슬럼프는 가능한 작게 한다.(적어도 15㎝ 이하로 한다.)
④ 수화열이 작은 시멘트의 이용함과 함께 시멘트량의 감소를 꾀한다.
⑤ 부재의 단면형상이나 배근상태가 허락된다면 골재치수를 크게 함으로서 시멘트량을 감소시킨다.
⑥ 콘크리트의 내부온도가 상승하는 시기에 표면부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양생을 실시한다.
⑦ 거푸집널을 제거한 후에는 콘크리트 표면의 급격한 건조를 피하기 위하여 살수 등의 방법으로 양생을 한다.
1.4.8 깬자갈 콘크리트
골재의 형태나 각의 둥근 정도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나 동일한 배합, 수량으로 만든 깬자갈콘크리트는 강자갈 콘크리트에 비하여 슬럼프가 적고, 점성이 부족하여 워커빌리티가 나쁘나 한편 강도는 상당히 크다. 따라서 깬자갈 콘크리트의 배합은 원칙적으로 굵은 골재량을 감하고 잔골재율을 증가시켜 점성, 균일성을 개선하고 슬럼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여분의 강도만 감소되는 정도의 지장이 없는 수량을 증가하는 방법으로 배합을 결정한다.
깬자갈콘크리트에서는 양질의 플라이애쉬 등 분말상태의 혼화제를 적당량 사용하면 분리가 적게 되고 시공성이 양호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4.9 중량콘크리트
콘크리트의 중량이나 비중은 주로 사용할 골재에 의해 변화되면 보통 콘크리트 중량은 2.3 t/㎥ 정도이고, 보통콘크리트보다 가벼운 중량 2.0t/㎥ 이하를 경량콘크리트라 한다. 보통콘크리트보다 무거운 것은 중량콘크리트라 하고 2.5t/㎥ 이상을 말한다. 중량콘크리트는 방사선 차폐를 주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로는 원자력 발전시설 구조물을 들 수가 있다.
차폐용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가 요하는 강도나 내구성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성질이 필요하다.
① 어느 부분에서든 높은 품질로서 소요밀도를 보유한 콘크리트이어야 하며, 건조수축이나 온도응력에 의한 균열이 없어야 한다.
② 방사선조사에 의한 유해물질 발생이 없고 열전도율이 크고, 열팽창률이 적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69페이지
  • 등록일2002.10.28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