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제기
2. 여성의 삶과 출산에 관한 문제틀
2-1 생활문화와 여성
2-2. 출산/ 문화/ 여성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3. 한국 중산층 여성의 출산문화
3-1.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3-2. 출산에 관한 국가의 정책과 지원체계
3-3-1. 출산에 관한 인식과 여성정체성
3-3-2. 출산과 몸에 관한 통제력과 지식
3-3-3. 출산의 공간 경험 출산과정에 관한 통제력
3-3-5. 출산후 여성의 사회적 신체적 변화에 관한 인식(저출산)
3-4. 한국 중산층 여성들의 행위성과 출산문화
4. 결론
[참고문헌]
2. 여성의 삶과 출산에 관한 문제틀
2-1 생활문화와 여성
2-2. 출산/ 문화/ 여성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3. 한국 중산층 여성의 출산문화
3-1.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3-2. 출산에 관한 국가의 정책과 지원체계
3-3-1. 출산에 관한 인식과 여성정체성
3-3-2. 출산과 몸에 관한 통제력과 지식
3-3-3. 출산의 공간 경험 출산과정에 관한 통제력
3-3-5. 출산후 여성의 사회적 신체적 변화에 관한 인식(저출산)
3-4. 한국 중산층 여성들의 행위성과 출산문화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성의 개인적인 재생산과 성적 권리의 한 부분이라기 보다는 가족의 성원으로서 그리고 아내로서의 역할에 종속된 가족 재생산활동이다. 그리고 한국 여성들의 재생산의 사회관계는 가족관계를 벗어나 의료와 국가의 사회제도 내에서 새롭게 구성되고 있고, 또 출산에 관한 여성들의 경험 역시 의료기술과 지식에 의해 새롭게 구성되다.
여성의 재생산을 가족내에 위치시켜 배우자와 아이와의 관계 속에서 여성의 행위성을 논하는 것은 여성을 항상 가족내의 사회적 행위자로 간주하는 틀을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본 논문의 논의 역시 이러한 구도 속에서 진행된 한계를 갖는다. 가족내에서의 사회적 행위자로 여성을 위치시키는 시각은 재생산과 관련된 논의들을 항상 양극화시킨다. 즉 임신과 출산을 남성과 구별되는 여성 고유의 본질적 차이로 간주하여 재생산 능력을 절대화하거나, 생물학적 재생산은 여성의 정체성을 지배할 수 없거나 남성과의 평등을 추구할 수 없게하는 종속의 기원으로 설명하게 된다 (Weiner 1995: 407). 여성의 출산 행위성에 기반한 사회적 논의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생물학적이고 문화적인 능력의 합명제로서 여성 재생산능력이 어떻게 여성들의 힘의 출처가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래서 배우자와 아이와의 관계에서 만이 아니라 출산이 어떻게 여성과 남성의 다양한 역할들에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다양한 권력관계가 어떻게 인간과 문화재생산의 남녀관계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여성의 행위성을 보고자하는 본 논문에서도 이러한 측면은 다루지 못했다. 여성 권력의 출처로서 어떻게 여성 재생산을 논할 것인가하는 것은 다음의 과제로 남기고자한다.
본 논문이 갖는 운동적 함의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경험인 여성들의 출산경험이 갖는 문제들이 사회적으로 제기되기 위해서는 우리사회에서 재생산과 성의 주체로서의 여성에 관한 공개적인 문제제기가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까지 한번도 여성운동의 의제로 등장하지 않았던 출산과 재생산의 이슈가 여성운동의 의제로 조직화되어야 하는지를 시사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은실, 1991, "발전논리와 여성의 출산력, " 새로쓰는 성 이야기, 「또하나의
문화 8」, 서울: 또하나의 문화
이숙경, 1993, "미혼여성의 성에 관한 연구: 낙태행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여성학과 대학원 석사논문 (미간행)
임순영, 1991, "기혼여성의 인공유산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대학원 석사논문 (미간행)
조영미, 1994, "출산데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이화여대 여성학과
석사논문 (미간행)
Adams, Alice, 1994, Reproducing the Womb: Images of Childbirth in Science,
Feminist Theory, and Literature,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Blank, Robert, 1990, Regulating Reproduc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Corea, Gena, 1985, The Mother Machine, London: Women's Press
Duden, Barbara, 1993, Disembodying Women: Perspectives on Pregnacy and the Unbor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Handwerker, W. Penn ed., 1986, Culture and Reproduction, Boulder and
London: Westview Press
Jordan, Brigitte, 1993, Birth in Four Cultures, Prospect Heights, Il:
Waveland Press, Inc.
Gordon, Linda, 1976, Women's Bodies, Women's Right: A Social History of
Birth Control in America, New York: Grossman Publishers
Kim, Eun-Shil, 1993, "The Making of the Modern Female Gender: The Politics of Gender in Reproductive Practices in Korea, Ph.D.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Berkeley (Unpbulished)
Marin, Emily, 1987, The Women in the Body, Boston: Beacon press
Paige and Paige, 1981, The Politics of Reproductive Ritual,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echesky, R. P., 1990, Abortion and Women's Choice: The State, Sexuality,
and Reproductive Freedom, revised ed.,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Potter, Sulamith H., 1987, "Birth Planning in Rural China: A Cultural
Account," in Child Survival, ed. by Nancy Scheper-Hughes,
Dordrecht: D. Reidel
Sich, D. 1981, "Traditional Concepts and Customs on Pregnancy, Birth and
Post Partum Period in Rural Korea, "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5B, 65-69
Shorter, Edward, 1991, Women's Bodies,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Wertz and Wertz, 1989, Lying-In: The History of Childbirth in America,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여성의 재생산을 가족내에 위치시켜 배우자와 아이와의 관계 속에서 여성의 행위성을 논하는 것은 여성을 항상 가족내의 사회적 행위자로 간주하는 틀을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본 논문의 논의 역시 이러한 구도 속에서 진행된 한계를 갖는다. 가족내에서의 사회적 행위자로 여성을 위치시키는 시각은 재생산과 관련된 논의들을 항상 양극화시킨다. 즉 임신과 출산을 남성과 구별되는 여성 고유의 본질적 차이로 간주하여 재생산 능력을 절대화하거나, 생물학적 재생산은 여성의 정체성을 지배할 수 없거나 남성과의 평등을 추구할 수 없게하는 종속의 기원으로 설명하게 된다 (Weiner 1995: 407). 여성의 출산 행위성에 기반한 사회적 논의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생물학적이고 문화적인 능력의 합명제로서 여성 재생산능력이 어떻게 여성들의 힘의 출처가 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래서 배우자와 아이와의 관계에서 만이 아니라 출산이 어떻게 여성과 남성의 다양한 역할들에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다양한 권력관계가 어떻게 인간과 문화재생산의 남녀관계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여성의 행위성을 보고자하는 본 논문에서도 이러한 측면은 다루지 못했다. 여성 권력의 출처로서 어떻게 여성 재생산을 논할 것인가하는 것은 다음의 과제로 남기고자한다.
본 논문이 갖는 운동적 함의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경험인 여성들의 출산경험이 갖는 문제들이 사회적으로 제기되기 위해서는 우리사회에서 재생산과 성의 주체로서의 여성에 관한 공개적인 문제제기가 있어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까지 한번도 여성운동의 의제로 등장하지 않았던 출산과 재생산의 이슈가 여성운동의 의제로 조직화되어야 하는지를 시사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은실, 1991, "발전논리와 여성의 출산력, " 새로쓰는 성 이야기, 「또하나의
문화 8」, 서울: 또하나의 문화
이숙경, 1993, "미혼여성의 성에 관한 연구: 낙태행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여성학과 대학원 석사논문 (미간행)
임순영, 1991, "기혼여성의 인공유산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대학원 석사논문 (미간행)
조영미, 1994, "출산데크놀로지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이화여대 여성학과
석사논문 (미간행)
Adams, Alice, 1994, Reproducing the Womb: Images of Childbirth in Science,
Feminist Theory, and Literature,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Blank, Robert, 1990, Regulating Reproduc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Corea, Gena, 1985, The Mother Machine, London: Women's Press
Duden, Barbara, 1993, Disembodying Women: Perspectives on Pregnacy and the Unborn,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Handwerker, W. Penn ed., 1986, Culture and Reproduction, Boulder and
London: Westview Press
Jordan, Brigitte, 1993, Birth in Four Cultures, Prospect Heights, Il:
Waveland Press, Inc.
Gordon, Linda, 1976, Women's Bodies, Women's Right: A Social History of
Birth Control in America, New York: Grossman Publishers
Kim, Eun-Shil, 1993, "The Making of the Modern Female Gender: The Politics of Gender in Reproductive Practices in Korea, Ph.D.
dissertation of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Berkeley (Unpbulished)
Marin, Emily, 1987, The Women in the Body, Boston: Beacon press
Paige and Paige, 1981, The Politics of Reproductive Ritual,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echesky, R. P., 1990, Abortion and Women's Choice: The State, Sexuality,
and Reproductive Freedom, revised ed.,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Potter, Sulamith H., 1987, "Birth Planning in Rural China: A Cultural
Account," in Child Survival, ed. by Nancy Scheper-Hughes,
Dordrecht: D. Reidel
Sich, D. 1981, "Traditional Concepts and Customs on Pregnancy, Birth and
Post Partum Period in Rural Korea, "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5B, 65-69
Shorter, Edward, 1991, Women's Bodies,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Wertz and Wertz, 1989, Lying-In: The History of Childbirth in America,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추천자료
- 고대 그리스인의 생활문화
- 인도 및 힌두교권의 생활문화
- 2012년 하계계절시험 식생활과문화 시험범위 핵심체크
- 2012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중간시험과제물 A형(우리나라의 떡)
- 2012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3년 하계계절시험 식생활과문화 시험범위 핵심체크
- 2014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4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5년 하계계절시험 식생활과문화 시험범위 핵심체크
- 2015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5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6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6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7년 2학기 식생활과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