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개략적인 업계현황
2-2. 한국통신프리텔의 연혁
2-3. 한국통신프리텔의 촉진믹스
3. 결론
2. 본론
2-1 개략적인 업계현황
2-2. 한국통신프리텔의 연혁
2-3. 한국통신프리텔의 촉진믹스
3. 결론
본문내용
고 거래처촉진의 방법으로 단말기에 대한 보조금지급과 행사도우미 파견, 인테리어 및 광고지원 등이 광범위하게 이루어 졌다.
3. 결론
이
동전화시장의 경쟁이 그 어느 산업분야보다 치열했던 만큼 각사의 촉진활동에 대한 투자는 막대했고, 그 방법도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동원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들로 볼 때 한국통신프리텔의 촉진믹스는 광고와 판매촉진 도구를 주로 사용하면서 홍보에도 상당히 공을 들인 것으로 보이며 상대적으로 인적판매는 그 비중이 적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 정확한 비중을 알기 위해서는 각 부문에 지출된 비용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판촉예산의 경우 그 포함범위가 애매하고, 광고예산 역시 97년 하반기 자료밖에 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믹스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으로 행해졌다.
이제 이동전화시장은 PLC상의 성숙기에 이른 것 같다. 신규가입자의 증가추세는 매우 둔화되었고 이제 관건은 기존고객을 얼마나 잘 붙잡아두고, 타사의 고객을 얼마나 유인하는가에 달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4월 이후의 이러한 시장의 변화는 한국통신프리텔의 촉진믹스에도 상당한 변화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 각 이동전화업체들은 신규고객의 확보에만 치중해 기존가입고객들에 대한 서비스를 등한시했던 것이 사실이며, 이는 대부분의 행사가 신규고객유치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에서도 확인된다. 때문에 기존고객들은 이러한 업체들의 행동에 적지 않은 불만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 잠재적인 신규고객은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이미 어지간한 사람은 모두 이동전화를 한 대씩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업체들의 시설투자도 이제 막바지에 이르렀다. 모든 업체들의 전국적인 망구성이 마무리단계에 들어갔다. 때문에 추가적인 시설투자는 이전에 비하여 그 필요가 매우 경감될 것이며 이는 재정적 부담을 줄여 가격경쟁으로 치닫게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고객들의 주된 관심 역시 통화품질이나 전국통화 등에서 일정수준을 모두 만족시키게 됨으로써 각종 부가기능과 인터넷 접속기능, 고객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요금제도 등으로 옮겨갈 것이 거의 확실하며 이는 올해 집중적으로 증가한 고객들의 의무가입기간이 끝나는 2000년 1/4분기 이후에 타사고객 쟁탈전의 양상이 벌어질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국통신프리텔은 이러한 변화를 미리 예측하여 1광고에서는 회상광고와 다양한 부가기능 알리기에 집중하면서 2상용고객 우대제도, 신형단말기로의 보상교환 행사 등의 판촉도구를 통하여 기존고객을 유지함과 동시에 타사의 고객을 유치하고자하는 촉진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016은 사업시작 이후 시장의 변화를 매우 잘 읽어내는 예리한 분석에로 시의적절한 광고와 판촉행사를 진행하고 각 언론의 요구에 부흥하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홍보효과를 거두었으며 그 결과는 줄곧 업계 1위를 지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입자 수 역시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지는 200만명을 훨씬 넘어섬으로써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갖게됐다. 앞으로의 시장판세는 인터넷과의 결합이라는 화두가 좌우할 것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예상이다. 이미 시작된 각 업체들의 인터넷 경쟁에서 한국통신프리텔이 어떤 모습으로 대응하는가를 지켜보는 것은 매우 흥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등>
1. 유동근, 촉잔관리론, 선일문화사, 1999.
2. 林鍾沅, 現代마아케팅原論, 법문사, 1996.
3. 한국경제신문, 1997/10/02
4. 서울경제신문, 1999/02/22
5. 매일경제신문, 1999/04/26
6. PC통신, 나우누리, 한국통신프리텔 포럼
7. 인터넷, http://www.pcs.co.kr
8. 기타 한국통신 홍보물 다수
3. 결론
이
동전화시장의 경쟁이 그 어느 산업분야보다 치열했던 만큼 각사의 촉진활동에 대한 투자는 막대했고, 그 방법도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동원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들로 볼 때 한국통신프리텔의 촉진믹스는 광고와 판매촉진 도구를 주로 사용하면서 홍보에도 상당히 공을 들인 것으로 보이며 상대적으로 인적판매는 그 비중이 적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 정확한 비중을 알기 위해서는 각 부문에 지출된 비용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판촉예산의 경우 그 포함범위가 애매하고, 광고예산 역시 97년 하반기 자료밖에 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믹스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으로 행해졌다.
이제 이동전화시장은 PLC상의 성숙기에 이른 것 같다. 신규가입자의 증가추세는 매우 둔화되었고 이제 관건은 기존고객을 얼마나 잘 붙잡아두고, 타사의 고객을 얼마나 유인하는가에 달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4월 이후의 이러한 시장의 변화는 한국통신프리텔의 촉진믹스에도 상당한 변화를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 각 이동전화업체들은 신규고객의 확보에만 치중해 기존가입고객들에 대한 서비스를 등한시했던 것이 사실이며, 이는 대부분의 행사가 신규고객유치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것에서도 확인된다. 때문에 기존고객들은 이러한 업체들의 행동에 적지 않은 불만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제 잠재적인 신규고객은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이미 어지간한 사람은 모두 이동전화를 한 대씩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 업체들의 시설투자도 이제 막바지에 이르렀다. 모든 업체들의 전국적인 망구성이 마무리단계에 들어갔다. 때문에 추가적인 시설투자는 이전에 비하여 그 필요가 매우 경감될 것이며 이는 재정적 부담을 줄여 가격경쟁으로 치닫게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고객들의 주된 관심 역시 통화품질이나 전국통화 등에서 일정수준을 모두 만족시키게 됨으로써 각종 부가기능과 인터넷 접속기능, 고객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요금제도 등으로 옮겨갈 것이 거의 확실하며 이는 올해 집중적으로 증가한 고객들의 의무가입기간이 끝나는 2000년 1/4분기 이후에 타사고객 쟁탈전의 양상이 벌어질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국통신프리텔은 이러한 변화를 미리 예측하여 1광고에서는 회상광고와 다양한 부가기능 알리기에 집중하면서 2상용고객 우대제도, 신형단말기로의 보상교환 행사 등의 판촉도구를 통하여 기존고객을 유지함과 동시에 타사의 고객을 유치하고자하는 촉진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016은 사업시작 이후 시장의 변화를 매우 잘 읽어내는 예리한 분석에로 시의적절한 광고와 판촉행사를 진행하고 각 언론의 요구에 부흥하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홍보효과를 거두었으며 그 결과는 줄곧 업계 1위를 지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입자 수 역시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지는 200만명을 훨씬 넘어섬으로써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갖게됐다. 앞으로의 시장판세는 인터넷과의 결합이라는 화두가 좌우할 것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예상이다. 이미 시작된 각 업체들의 인터넷 경쟁에서 한국통신프리텔이 어떤 모습으로 대응하는가를 지켜보는 것은 매우 흥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등>
1. 유동근, 촉잔관리론, 선일문화사, 1999.
2. 林鍾沅, 現代마아케팅原論, 법문사, 1996.
3. 한국경제신문, 1997/10/02
4. 서울경제신문, 1999/02/22
5. 매일경제신문, 1999/04/26
6. PC통신, 나우누리, 한국통신프리텔 포럼
7. 인터넷, http://www.pcs.co.kr
8. 기타 한국통신 홍보물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