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주의 역사가 헤르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계몽주의 역사가 헤르더

인민주의
표현주의
다원주의

본문내용

삶의 모든 형식들 각각이 각자에 고유한 관점(존재하는 유일한 관점)에서만 이해 가능한 것이라면, 그래서 매 형식이<유기체적> 전체요, 반복될 수도 뒤섞일 수도 없는 목적과 수단을 지닌 패턴이라면 그 삶의 형식들을 객관적으로 인식 가능한 전 우주적 진보속의 연결고리들로 차등화한다는 일도 불가능해진다. 말하자면 인간성이 불확실하게나마 전진해가는 최종목표와 근접한 정도에 따라, 혹은 그 최종 목표를 반영하는 정도에 따라, 진보의 어떤 단계를 다른 단계보다 더 가치잇는 것으로 차등화하는 일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이같은 입장을 시종일관 견지한 점에서, 헤르더의 <세계관>은 근대의; 완벽주의적 철학들과 비록 공통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뚜렷하게 구별된다. 헤르더의 세계관은 보쉬에나 버크의 <신정론>과 동떨어진 만큼 이성의 성장에 의해 결정되는 진보론과도, 볼테르의 <상식론>과도 동떨어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것은 헤겔주의자들이 말하는 사회의 점진적인 자기 해방이라는 이상과도 동떨어진 것이다.
참고문헌: 이사야 벌린 <비코와 헤르더> 학지사 1997
헤르배르트 슈내델바하 <헤겔 이후의 역사철학> 문우출판사 1986
헤르더 <또 다른 역사철학> 학지사 1997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1.08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1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