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계몽주의 역사가 헤르더
인민주의
표현주의
다원주의
인민주의
표현주의
다원주의
본문내용
삶의 모든 형식들 각각이 각자에 고유한 관점(존재하는 유일한 관점)에서만 이해 가능한 것이라면, 그래서 매 형식이<유기체적> 전체요, 반복될 수도 뒤섞일 수도 없는 목적과 수단을 지닌 패턴이라면 그 삶의 형식들을 객관적으로 인식 가능한 전 우주적 진보속의 연결고리들로 차등화한다는 일도 불가능해진다. 말하자면 인간성이 불확실하게나마 전진해가는 최종목표와 근접한 정도에 따라, 혹은 그 최종 목표를 반영하는 정도에 따라, 진보의 어떤 단계를 다른 단계보다 더 가치잇는 것으로 차등화하는 일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이같은 입장을 시종일관 견지한 점에서, 헤르더의 <세계관>은 근대의; 완벽주의적 철학들과 비록 공통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뚜렷하게 구별된다. 헤르더의 세계관은 보쉬에나 버크의 <신정론>과 동떨어진 만큼 이성의 성장에 의해 결정되는 진보론과도, 볼테르의 <상식론>과도 동떨어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것은 헤겔주의자들이 말하는 사회의 점진적인 자기 해방이라는 이상과도 동떨어진 것이다.
참고문헌: 이사야 벌린 <비코와 헤르더> 학지사 1997
헤르배르트 슈내델바하 <헤겔 이후의 역사철학> 문우출판사 1986
헤르더 <또 다른 역사철학> 학지사 1997
참고문헌: 이사야 벌린 <비코와 헤르더> 학지사 1997
헤르배르트 슈내델바하 <헤겔 이후의 역사철학> 문우출판사 1986
헤르더 <또 다른 역사철학> 학지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