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노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세포 노화의 기전 ]

2.[ 노화에 따른 세포의 변화 ]

본문내용

해되어 노화색소인
lipofuscin으로 변환된다.
6. 세포막의 변화
세포막은 세포 안과 밖, 세포 내에서 세포 소기관 사이의 영양분, 대사물질, 이온의 이동을 조절하며, 세포와 세포사이의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화에 따른 가장 큰 변화는 세포막의 주요 성분인 지질의 변화이다.
노화에 따라 cholesterol : phospholipid의 비율이 증가되며 이는 막의 유동성의 변화를 초래한다.
세포막 단백질의 기능 변화 ; 칼슘이동에 필요한 Ca : Mg-ATPase 활성은 나이에 따라 변화가 없으며 오히려 노화된 세포에서 증가하는 반면 Na : K-ATPase 활성은 감소된다.
특히 세포막 특이 효소인 5'-nucleotidase 활성은 나이에 따라 감소한다.
7. 단백질 합성의 변화
단백질 합성은 노화에 따라 저하된다.
유전자 발현의 감소, mRNA가 핵에서 세포질로의 이동 저하, 합성기구의 성능저하 때문이다.
8. Carbonyl기에 의한 변화
핵산, 단백질, 지질의 Carbonyl기에 의한 변화는 노화된 세포나 퇴행성 질환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변화이다.
자세한 내용은 노인병학회의 노인병학 교과서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1.1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