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화
2. 구강으로의 소화
3. 위에서의 소화
4. 소장에서의 소화
5. 대장에서의 소화
6. 소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
2. 구강으로의 소화
3. 위에서의 소화
4. 소장에서의 소화
5. 대장에서의 소화
6. 소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
본문내용
으로 들어오면 십이지 장벽의 점막이 자극을 받아 secretin이란 호르몬을 분비 혈관내로 방출된 후 췌장에 도달하면 PH7∼8가량의 알카리성 물질인 췌액을 분비하게 됨(알카 리성 물질이 위액의 산성을 중화)
십이지장점막에 췌액의 분비 촉진
- CCK이라는 호르몬 분비 : 췌액의 소화효소를 증가
- 펩톤, 아미노사, 지방산 등에 의하여 생산이 촉진
췌액의 하루 분비량은 700∼1000ml
췌장액의 생리작용
탄수화물 분해효소 : 아밀라아제(amylase)는 탄수화물 전분과 글리코겐까지 가수분해, 맥아당을 만듬
단백질 분해효소
enterokinase
· 펩시노겐(pepsinogen) ----------------> 펩신(pepsin)
trypsin
· 트립시노겐(trypsinogen) ---------> 트립슨(trypsin)
(chymotrypsin,procarboxypeptidase도 같은 기전)
지방 분해효소 : 리파아제(lipase)는 췌장에서 분비된 직푸에는 그 작용 약함
답즙산엽에 의해 작용 강화됨
지방산과 글리세롤를 가수분해
췌장액 분비조절
부교감신경계 흥분시 : 췌액분비 항진
교감신경계 흥분시 : 췌액분비 감소
세크레틴, CCK와 같은 호르몬에 의해 췌장액 분비가 촉진
특징 : 3대 영양소를 분해는 효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곳
③ 담즙
담즙분비와 배출
신경과 호르몬에 의해 조절
담즙의 하루 분비량은 500∼800ml
답즙의 운반 경로
: 간세포에서 생산되는 분비물 담모세관 소엽간담관 엽간담관 좌· 우간관 간문 총간관과 담낭관 총담관 십이지장유두로 개구
회장간순환(담즙산염 순환)
: 담즙산염은 간에서 총담관을 통해 나옴 소장의 원위부위인 회장에서 혈액 으로 재흡수 간문맥계 순환 간으로 옴 다시 답즙에 포함되어 새로 운 담즙산염을 생산 계속 순환
담즙의 생리작용
지방의 소화촉진 : 담즙에 의해 유화해주고, lipase 지방산 + 글리세롤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촉진
Fe, Ca의 흡수를 촉진
경도의 설사작용
장관내 부패를 방지
담즙색소, 호르몬, 독물, 약물, cholesterol 등의 배설작용
담즙의 성분 : 소화효소는 없으나 지방성분의 소화에 없어서는 안될 담즙색소, 담즙산염, cholesterol이 함유
담즙색소 : bilirubin은 화학변화 일으켜 stercobliln으로 되어 배변색을 타나냄
담즙산염 : 지방산, 글리세롤 등의 미세입자로 분해하여 장잠막에서 흡수용이 하게 해줌(회장간순환함)
④ 간의 기능
답즙의 생성
· 포르피린환을 가진 단백질의 분해대사산물을 처리(정화).
· conjugated bile salt의 분비
· cholesterol 분비
· phospholipid lecithin의 분비
· fat과 fatty acid의 분비
· 단백질의 분비(albumin, alkarine phosphate, Ig)
· 전해질과 물의 분비
물질의 합성과 저장 : 탄수화물·단백질·지방질 대사
다른 기능들 : 비타민과 철의 저장, 방어 및 해독작용, 어떤 호르몬의 불활성,
세균의 파괴, 혈액량 조절
(5) 소화 호르몬
① secretin
구조 :2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작용 - 위산 분비억제, 펩시노겐분비 억제,
유문괄약근 수축, 중탄산염이 풍부한 췌장액 대량분비,
CCK기능을 강화하여 췌장 소화효소 분비작용을 촉진
② gastrin
구조 : 1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작용 - 위점막 성장 촉진, 위운동의 촉진,
펩시노겐분비 촉진, 위산 분비 촉진,
유문· Oddi·회맹부괄약근을 이완, 하부식도괄약근의 수축
③ CCK
구조 : 33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작용 - 유문괄약근의 수축, 세크레틴의 작용을 도와 줌,
췌장 소화효소 분비 촉진, 담낭의 수축, Oddi괄약근의 이완
5. 대장에서의 소화
1) 대장의 해부학적 구조
(1) 위치 : 전체길이 1.5m. 복강의 상하좌우 주위를 에워싸는 상태로 위치
(2) 대장의 구성
① 맹장 : 회맹구와 회맹판이 있음
충수라는 매장하단에 붙여있는 맹관은 연동운동으로 내용물 배출 못함
② 결장 : 상행·횡행·하행·S상 결장으로 구성
③ 직장 : 항문관은 내괄약근(불수의적근)과 외괄약근(수의적근)으로 구성
(3) 대장벽
① 점막 : 반월주름과 대장선이 있음
② 점막하조직 :
③ 근육층 : 결장끈으로 인하여 결장팽기 만들어짐
④ 장막/외막 : 황행·S상결장은 장막으로 그 밖은 외막으로 덮여 있음
2) 대장의 소화 작용 : 수분 흡수와 비타민 재흡수 함
3) 대장의 운동
(1) haustral 수축 : 결장뉴 수축 중간 중간에(2.5cm) 윤주근 수축(수축되지 않은 곳은 팽기됨)
(2) 집단운동(mass movement) : 횡행결장 S상 결장 직장
(3) 배변
① 배변반사 : 집단운동에 의해 직장의 내용물이 충만
직장의 stretching receptor 활성화. ( 30∼40mmHg)
천수의 배변중추 자극 직장수축, 내항문괄약근 이완
② 고위중추인 대뇌피질에서 수의적 조절 : 외항문 괄약근 이완
③ 복압 상승 : 직장 내압이 100∼120mmHg까지 올려지면 배변촉진 됨
6. 소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소화가 쉽게 빨리 되게 하는 몇가지 조건
① 으깬 것, 간 것, 걸른 것 등의 분해가 잘 된 식품
② 걸른 음식을 제외하고 모든 음식은 잘 씹으면 소화가 쉬움
③ 액체 음식은 고체 음식보다 흡수가 더 빠름
④ 심한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음식을 조금씩 여러번 주어서 소화가 쉽도록 함
2) 소화가 잘 안 되는 원인
① 음식을 잘못 먹었을 때 : 너무 지방이 많은 음식, 너무 농축된 단음식, 산을 생성하 는 과일이나 야채
② 과식은 소화관을 피로하게 함
③ 음식을 먹지 않을 때 소화가 안됨
④ 거의 씹지 않고 삼키기 때문
⑤ 익숙치 못한 음식을 먹을 때
⑥ 음식의 조리가 잘못 되었을 때
⑦ 피곤할 때 음식을 먹는 경우
⑧ 정신적으로 불안하거나 감정이 복잡할 때
⑨ 운동부족
⑩ 과음했을 때
3) 음식의 포만감은
① 위에 머무는 시간
② 음식물의 의한 위액 분비의 양에 의해 측정
육류는 위안에서 생리학적으로 활동이 가장 크므로 포만감이 가장 좋음.
십이지장점막에 췌액의 분비 촉진
- CCK이라는 호르몬 분비 : 췌액의 소화효소를 증가
- 펩톤, 아미노사, 지방산 등에 의하여 생산이 촉진
췌액의 하루 분비량은 700∼1000ml
췌장액의 생리작용
탄수화물 분해효소 : 아밀라아제(amylase)는 탄수화물 전분과 글리코겐까지 가수분해, 맥아당을 만듬
단백질 분해효소
enterokinase
· 펩시노겐(pepsinogen) ----------------> 펩신(pepsin)
trypsin
· 트립시노겐(trypsinogen) ---------> 트립슨(trypsin)
(chymotrypsin,procarboxypeptidase도 같은 기전)
지방 분해효소 : 리파아제(lipase)는 췌장에서 분비된 직푸에는 그 작용 약함
답즙산엽에 의해 작용 강화됨
지방산과 글리세롤를 가수분해
췌장액 분비조절
부교감신경계 흥분시 : 췌액분비 항진
교감신경계 흥분시 : 췌액분비 감소
세크레틴, CCK와 같은 호르몬에 의해 췌장액 분비가 촉진
특징 : 3대 영양소를 분해는 효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곳
③ 담즙
담즙분비와 배출
신경과 호르몬에 의해 조절
담즙의 하루 분비량은 500∼800ml
답즙의 운반 경로
: 간세포에서 생산되는 분비물 담모세관 소엽간담관 엽간담관 좌· 우간관 간문 총간관과 담낭관 총담관 십이지장유두로 개구
회장간순환(담즙산염 순환)
: 담즙산염은 간에서 총담관을 통해 나옴 소장의 원위부위인 회장에서 혈액 으로 재흡수 간문맥계 순환 간으로 옴 다시 답즙에 포함되어 새로 운 담즙산염을 생산 계속 순환
담즙의 생리작용
지방의 소화촉진 : 담즙에 의해 유화해주고, lipase 지방산 + 글리세롤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촉진
Fe, Ca의 흡수를 촉진
경도의 설사작용
장관내 부패를 방지
담즙색소, 호르몬, 독물, 약물, cholesterol 등의 배설작용
담즙의 성분 : 소화효소는 없으나 지방성분의 소화에 없어서는 안될 담즙색소, 담즙산염, cholesterol이 함유
담즙색소 : bilirubin은 화학변화 일으켜 stercobliln으로 되어 배변색을 타나냄
담즙산염 : 지방산, 글리세롤 등의 미세입자로 분해하여 장잠막에서 흡수용이 하게 해줌(회장간순환함)
④ 간의 기능
답즙의 생성
· 포르피린환을 가진 단백질의 분해대사산물을 처리(정화).
· conjugated bile salt의 분비
· cholesterol 분비
· phospholipid lecithin의 분비
· fat과 fatty acid의 분비
· 단백질의 분비(albumin, alkarine phosphate, Ig)
· 전해질과 물의 분비
물질의 합성과 저장 : 탄수화물·단백질·지방질 대사
다른 기능들 : 비타민과 철의 저장, 방어 및 해독작용, 어떤 호르몬의 불활성,
세균의 파괴, 혈액량 조절
(5) 소화 호르몬
① secretin
구조 :2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작용 - 위산 분비억제, 펩시노겐분비 억제,
유문괄약근 수축, 중탄산염이 풍부한 췌장액 대량분비,
CCK기능을 강화하여 췌장 소화효소 분비작용을 촉진
② gastrin
구조 : 1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작용 - 위점막 성장 촉진, 위운동의 촉진,
펩시노겐분비 촉진, 위산 분비 촉진,
유문· Oddi·회맹부괄약근을 이완, 하부식도괄약근의 수축
③ CCK
구조 : 33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작용 - 유문괄약근의 수축, 세크레틴의 작용을 도와 줌,
췌장 소화효소 분비 촉진, 담낭의 수축, Oddi괄약근의 이완
5. 대장에서의 소화
1) 대장의 해부학적 구조
(1) 위치 : 전체길이 1.5m. 복강의 상하좌우 주위를 에워싸는 상태로 위치
(2) 대장의 구성
① 맹장 : 회맹구와 회맹판이 있음
충수라는 매장하단에 붙여있는 맹관은 연동운동으로 내용물 배출 못함
② 결장 : 상행·횡행·하행·S상 결장으로 구성
③ 직장 : 항문관은 내괄약근(불수의적근)과 외괄약근(수의적근)으로 구성
(3) 대장벽
① 점막 : 반월주름과 대장선이 있음
② 점막하조직 :
③ 근육층 : 결장끈으로 인하여 결장팽기 만들어짐
④ 장막/외막 : 황행·S상결장은 장막으로 그 밖은 외막으로 덮여 있음
2) 대장의 소화 작용 : 수분 흡수와 비타민 재흡수 함
3) 대장의 운동
(1) haustral 수축 : 결장뉴 수축 중간 중간에(2.5cm) 윤주근 수축(수축되지 않은 곳은 팽기됨)
(2) 집단운동(mass movement) : 횡행결장 S상 결장 직장
(3) 배변
① 배변반사 : 집단운동에 의해 직장의 내용물이 충만
직장의 stretching receptor 활성화. ( 30∼40mmHg)
천수의 배변중추 자극 직장수축, 내항문괄약근 이완
② 고위중추인 대뇌피질에서 수의적 조절 : 외항문 괄약근 이완
③ 복압 상승 : 직장 내압이 100∼120mmHg까지 올려지면 배변촉진 됨
6. 소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소화가 쉽게 빨리 되게 하는 몇가지 조건
① 으깬 것, 간 것, 걸른 것 등의 분해가 잘 된 식품
② 걸른 음식을 제외하고 모든 음식은 잘 씹으면 소화가 쉬움
③ 액체 음식은 고체 음식보다 흡수가 더 빠름
④ 심한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음식을 조금씩 여러번 주어서 소화가 쉽도록 함
2) 소화가 잘 안 되는 원인
① 음식을 잘못 먹었을 때 : 너무 지방이 많은 음식, 너무 농축된 단음식, 산을 생성하 는 과일이나 야채
② 과식은 소화관을 피로하게 함
③ 음식을 먹지 않을 때 소화가 안됨
④ 거의 씹지 않고 삼키기 때문
⑤ 익숙치 못한 음식을 먹을 때
⑥ 음식의 조리가 잘못 되었을 때
⑦ 피곤할 때 음식을 먹는 경우
⑧ 정신적으로 불안하거나 감정이 복잡할 때
⑨ 운동부족
⑩ 과음했을 때
3) 음식의 포만감은
① 위에 머무는 시간
② 음식물의 의한 위액 분비의 양에 의해 측정
육류는 위안에서 생리학적으로 활동이 가장 크므로 포만감이 가장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