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천황제 시기의 통치정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1. 측천 황제의 등극 배경

2. 측천황제의 정책
1) 수렴 정치
2) 고종의 죽음과 측천의 집권
3) 공포 정치
4) 무주 혁명
5) 미륵보살의 표리

3. 측천 시대의 종말과 평가
1) 측천 시대의 종말
2) 측천 시대의 평가

맺음말

본문내용

당조 및 무주의 대외적 위세가 잠시라도 동요된 적이 없었다는 사실에서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태종이 마련한 대당 제국의 판도는 최대로까지 확장되었던 것은 실로 무측천의 치세하에서였다.
그밖에 무측천은 거듭되는 개원을 포함하여 제도나 조직의 개혁. 개칭을 어이없을 정도로 수없이 단행했는데, 그것이 분명 보수적인 정치가에게는 미혹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을지라도 전통에 속박당하여 한 자리에 정체하려는 속성을 가진 정치 세계를 늘 뒤흔들어 일신시키는 데는 유효하였다. 그러한 상징 조작을 교묘하게 되풀이함으로써 현세 이탈적인 카리스마성에 계속 광택을 더하였던 것이다.
측천무후는 중국 3천 년 역사 가운데 유일한 여황제였다. 줄곧 극단적인 남성 우월주의 사상으로 여자가 정권을 계승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던 중국에서 여자가 황제로 등극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나 측천무후는 날카로운 지혜와 후안무치의 행동, 남자들도 따를 수 없는 대담한 여심 등 완전히 자기의 실력에 의지하여 제위에 올랐으니 당시 사회 통념상 놀라운 일이었다.
그러므로 그녀는 생전의 여러 가지 가혹한 행위에도 불구하고 역사가들로부터 뛰어난 정치가의 한 사람으로 황제의 지위에 걸 맞는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맺음말
고종이 죽자 정계에는 구심점이 없는 상황이었고, 여기서 서로가 정치적인 주도권을 장악하려고 수단을 가리지 않았다. 이에 자신의 아들인 황제를 폐위시키는 데에 무측천이 간여하면서 무측천은 정치 일선에 나서게 되었으며,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려고 무측천은 정치에 뛰어들게 되었으며, 그 후 고도의 정치적인 수완을 발휘하면서 자신의 권력 강화를 꾀하게 된다. 무씨 일파를 통하여 정치를 운영하게 되었지만, 실제로는 구시대(舊時代)의 관료들을 적극 활용하면서, 그의 정치적인 입지를 강화할 수 있었다.
무측천이 황제의 모친인 황태후로서 권위를 가지고 정국 운영을 진행하면서도, 그녀가 가진 정권 장악의 합리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점차로 권위의 확립을 꾀하게 되었고, 이를 신비성을 가진 여제(女帝)의 출현(出現)이라던가 명당(明堂)의 건립(建立) 등으로 백성들의 주목을 끌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힘을 빌어서 자신의 정권 장악을 합리화사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와 더불어, 법 규정을 강화한다던가, 공포 정치를 강행한다던가 함으로써 규제를 강화하는 방법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시책들이 제대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을 모두 경제적인 안정이 뒷받침되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무주왕조(武周王朝)는 의식 절차를 잘 활용하면서,
) 唐 전반기의 儀禮에 관해서는 H. J. Wechsler, Offerings of Jade Silk: Ritual and Symbol in the Legitimation of the T'ang Dynasty, Yale에 잘 정리되어 있다.
백성들로 하여금 계속 왕조의 정통성이나 무주왕조와 하늘과의 연결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무주 정권의 권위 진작은 비단 국내에서만 강조되는 것이 아니라, 국외의 새외 민족에까지 강요하였던 것이고, 그러한 파급 효과가 바로 무주 정권의 중엽부터 계속적인 외침으로 나타났다고 할 것이다.
무측천은 탁월한 정치적 감각의 소유자였던 것 같다. 그녀는 권력을 자신이 믿는 사람에게 어느 정도 위임하면서도 반드시 이에 대한 견제 세력을 만들어 두는 것을 잊지 않았다. 그리하며 무씨 일파들은 무측천 이후 정권이 자신들에게 오는 것인 줄로 착각하고 열심히 활약하였던 것이었다.
장씨 형제가 당시에 권력 서열 제2인자로까지 생각될 수 있을 정도로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던 것을 모두 무측천의 양해 아래서 있을 수 있는 사태였던 것이다. 그리고 무측천으로서는 그러한 방법을 통해서만이 확실하게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당시의 상황으로서는 당조(唐朝)의 부활이라든가 하는 것이 거론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으며, 장씨 형제라는 타도의 대상을 제거하기 위한 '신룡(神龍)의 혁명'이 성공한 연후에야 이 정변을 합리화시키는 과정에서 급작하게 떠오른 것이 당조 부활이라는 명목이었던 것이다.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제였기에 그녀에 필적할 사람은 없다. 흔히 한 고조의 황후였던 여후(呂后)와 비교되지만, 여후는 그 질투심에서 고종이 사랑했던 척(戚)부인을 참살한 일이 측천과 비슷할 뿐, 여후에게는 한 왕조를 빼앗을 야심도, 능력도 없었다. 유명한 양귀비(楊貴妃)의 경우는 현종(玄宗)의 익애(溺愛)에 의해 양씨 일족이 발호했으나 양귀비 자신으로서는 여걸이라고 할 수 있을 만한 정치적인 여성은 아니었다. 측천에 제일 가까운 여성은 청의 서태후(西太后)인데 그 권모 술수로 최고 권력자가 되어 광서제(光緖帝)를 유폐하거나 만년에 자신을 관음보살에 비유한 점등은 측천과 흡사하지만, 그녀 역시 '수렴 정치'를 했을 뿐이었다.
이렇게 살펴보면 측천이야말로 공전절후(空前絶後)의 여걸로서 그 끝없는 권세욕과 저항하는 자는 가차없이 배제하는 탄압 정치의 잔인성은 비할 바가 없고, 게다가 늙어서도 괴승(怪僧)이나 미청년을 가까이하여 벌인 난행으로 후세까지 '여의군(如意君)'이라는 추명을 남기기도 하여 그녀의 생애는 매우 다채롭다.
◆ 참고 문헌 ◆
누노메 조후, 구리하라 마쓰오, 《중국의 역사 (수당오대)》, 혜안. 2001
나카노 미요코, 《영웅의 역사9, 여인 천하》, 솔 출판사, 2000
정성한 편역. 《인물로 보는 중국 역사》, 신원문화사, 1994
황인우, 《허드슨 강변에서 중국사를 이야기하다》, 푸른 역사, 2001
변인석, 《당대 문화사 총설》, 한올 아카데미, 1994
안정애, 양정현, 《한 권으로 보는 중국사 100장면》, 가람 기획
미야자키 이치사다, 《중국 중세사》, 서원, 1990
강용규, 《인물 중국사》, 학민사, 1994
중국사 연구회 옮김, 《중국 통사》, 청년사, 1989
김영진 편저, 《중국 오천년사 中》, 대광 서림, 1989
김희영, 《이야기 중국사》, 청아 출판사, 1990
임대희, <측천황제 통치 시기의 정치와 인물>, 동아시아의 인간상, 1995
임대희, <측천황태후 집정 시기의 정치와 인물>, 위진수당사 연구, 1996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12.01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