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돌연변이유발, 돌연변이 및 돌연변이체
1 용어
2 돌연변이 유형과 표기법
3 돌연변이체의 생화학적 기초
4 돌연변이 유발
5 돌연변이 다발생지점
6 복귀
1 용어
2 돌연변이 유형과 표기법
3 돌연변이체의 생화학적 기초
4 돌연변이 유발
5 돌연변이 다발생지점
6 복귀
본문내용
발생
11.4.4 돌연변이유발 유전자
돌연변이유발 유전자 (mutator gene): 다른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야기시키는 유전자
i) DNA 중합효소의 편집기능이 상실될 경우
ii) dam 유전자
DNA methylation에 관여
부정합 회복계가 작동시 모가닥의 염기를 수정할 경우 돌연변이 발생
11.4.5 부위특이성 돌연변이 유발
i) 결실의 생성
ii) DNA의 특별한 영역내 임의적 부위에서의 점 돌연변이
iii) 특별한 염기쌍에서의 점 돌연변이
11.5 돌연변이 다발생지점
보통의 돌연변이보다 20~500배 더 빈번하게 변하는 부위
i) 세균의 DNA분자내의 cytosine의 약 1%가 methyl화 되어 5-methylcytosine으로 됨
5-methylcytosine이 탈아미노화되어 thymine이 생성
G·MeC → G·T → A·T
ii) 반복서열을 지닌 DNA 분자에서 결실이 자주 발생
11.6 복귀
복귀 돌연변이 (back mutation, renerse mutation): 돌연변이에서 야생형의 형질을 회복하는 역과정
복귀 돌연변이주: 복귀주 (revertant)
자연돌연변이 유발의 결과로 임의적으로 일어남
11.6.1 다른자리 복귀주
다른자리 돌연변이 (second-site mutation, suppressor mutation): 돌연변이된 부위가 아닌
다른 자리애서 돌연변이가 일어남
11.6.2 틀변경 돌연변이의 다른자리 복귀
복귀는 반드시 돌연변이돈 원위치와 거의 인접해 있어야 한다.
두가지 변화가 일어나는 polypeptide 사슬 중 그 단편 부분은 본질적인 변화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11.6.3 유전자간 복귀
돌연변이주 표현형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다른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적 억제
두 단백질 A와 B가 상호작용할 때 단백질 A의 결합부위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그 단백질이 단백질 B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해함. 단백질 B의 결합부위에서 또 다른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돌연변이 B 단백질이
돌연변이 A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도록 이 결합부위를 변경함
11.6.4 돌연변이 유발원과 발암물질 검출방법으로 쓰이는 복귀
Ames test: 염기치환이나 틀 변경 돌연변이에 의해 만들어진 Salmonella typhimurium의 histidine 요구성
돌연변이주 (His-)가 His +로 복귀되는지로 검사
11.6.5 인체 돌연변이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한적 다형화 현상 (RFLP)
11.4.4 돌연변이유발 유전자
돌연변이유발 유전자 (mutator gene): 다른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야기시키는 유전자
i) DNA 중합효소의 편집기능이 상실될 경우
ii) dam 유전자
DNA methylation에 관여
부정합 회복계가 작동시 모가닥의 염기를 수정할 경우 돌연변이 발생
11.4.5 부위특이성 돌연변이 유발
i) 결실의 생성
ii) DNA의 특별한 영역내 임의적 부위에서의 점 돌연변이
iii) 특별한 염기쌍에서의 점 돌연변이
11.5 돌연변이 다발생지점
보통의 돌연변이보다 20~500배 더 빈번하게 변하는 부위
i) 세균의 DNA분자내의 cytosine의 약 1%가 methyl화 되어 5-methylcytosine으로 됨
5-methylcytosine이 탈아미노화되어 thymine이 생성
G·MeC → G·T → A·T
ii) 반복서열을 지닌 DNA 분자에서 결실이 자주 발생
11.6 복귀
복귀 돌연변이 (back mutation, renerse mutation): 돌연변이에서 야생형의 형질을 회복하는 역과정
복귀 돌연변이주: 복귀주 (revertant)
자연돌연변이 유발의 결과로 임의적으로 일어남
11.6.1 다른자리 복귀주
다른자리 돌연변이 (second-site mutation, suppressor mutation): 돌연변이된 부위가 아닌
다른 자리애서 돌연변이가 일어남
11.6.2 틀변경 돌연변이의 다른자리 복귀
복귀는 반드시 돌연변이돈 원위치와 거의 인접해 있어야 한다.
두가지 변화가 일어나는 polypeptide 사슬 중 그 단편 부분은 본질적인 변화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11.6.3 유전자간 복귀
돌연변이주 표현형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다른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적 억제
두 단백질 A와 B가 상호작용할 때 단백질 A의 결합부위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그 단백질이 단백질 B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해함. 단백질 B의 결합부위에서 또 다른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돌연변이 B 단백질이
돌연변이 A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도록 이 결합부위를 변경함
11.6.4 돌연변이 유발원과 발암물질 검출방법으로 쓰이는 복귀
Ames test: 염기치환이나 틀 변경 돌연변이에 의해 만들어진 Salmonella typhimurium의 histidine 요구성
돌연변이주 (His-)가 His +로 복귀되는지로 검사
11.6.5 인체 돌연변이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한적 다형화 현상 (RF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