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문화관광자원의 의의
1) 문화와 관광산업
2) 문화관광자원의 의의
3) 선행연구
2.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난타
1) 난타의 개요
2) 난타의 주요 특성
Ⅲ. 조사설계와 결과 분석
Ⅳ. 결 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1. 문화관광자원의 의의
1) 문화와 관광산업
2) 문화관광자원의 의의
3) 선행연구
2.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난타
1) 난타의 개요
2) 난타의 주요 특성
Ⅲ. 조사설계와 결과 분석
Ⅳ. 결 론
본문내용
되어야 할 자료
구분
교육과 사고
배치와 접근
문화적 상징
예술과 오락성
상호교류및 공연참여
합계
전 체
3
5
22
111
135
276
1.1%
1.8%
8.0%
40.2%
48.9%
100.0%
Ⅳ. 결 론
본 연구는 새로운 공연문화로 정착한 난타의 문화관광자원적 특성 및 관광객의 관람특성 연구를 통하여 문화관광자원의 활성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이론적 범위로 난타의 문화관광자원적 활성화에 관한 연구를 위한 이론과 선행연구의 검토와 관광객 방문특성을 중심으로 한 실증적 특성을 조사·분석하였으며, 난타공연장을 공간적 범위로 하고 시간적 범위로는 2002년 10월 6일부터 10월 15일까지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난타 관람객에 대하여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적 특성으로는 관람객의 주요 거주지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근거리 관람객이었으며, 20대와 30대 연령층의 고학력자와 비교적 안정적 소득 계층이 많았고 회사원 및 학생계층의 관람이 주로 이루어 졌다.
관람행태적 특성으로는 친구나 친지, 부부, 지인 등과의 동반이 많았으며, 교통수단으로는 지하철과 승용차의 이용이 많았다. 관람경험은 대부분 처음이 많았으며, 재관람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지출비용은 평균 54,600원을 지출하였고 남자와 고학력, 30대 연령층의 지출규모가 크며, 난타의 관광자료 입수는 주로 인터넷을 통해 공연장의 위치와 예술이나 오락적 공연내용을 알기 위한 것이며, 관람후의 평가로는 재방문의사가 아주 높으나 실질적인 재방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관람 후의 느낌으로는 난타에 대한 현대문화적 상징성과 오락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통문화나 관람자간의 상호교류나 직접적인 참여성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자원적 특성으로는 교육성에 있어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공간성에 있어서는 연령과 월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상징성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예술성에 있어서는 연령과 학력에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성에 있어서는 학력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난타공연의 문화관광자원적 특성에는 기존 유적관광중심의 문화관광자원 특성에서 중요한 요인이었던 상징성이 상대적으로 제외되고 교육성, 공간성, 예술성, 활동성 요소를 중심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문화관광자원적 효율성제고에 있어서는 자료 제공방법으로는 인터넷과 팜플렛의 제공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되어야 할 자료의 내용으로는 예술과 오락성, 상호교류와 참여 등의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통한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관람객의 주요 거주지역인 경인지역에 대한 선별적 광고매체선택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주요 관람 층인 회사원과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공연시간의 할애와 특별 참여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지역별·계층별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친구나 친지, 지인 형태의 동반관람이 많으므로 동반좌석의 설치, 동반자쿠폰의 발행, 공연프로그램에 동반참여를 유도한 체험적 이벤트, 동반을 요하는 특정 기념일을 반영한 공연 컨텐츠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지하철 이용자가 많으므로 지하철 역내 간이공연을 통한 홍보를 겸한 문화이벤트 행사와 재관람 의사를 실질적인 재관람으로 유도하기 위해 할인 등 각종 혜택이 제공되는 membership management program의 도입을 고려해야한다. 넷째, 관람객이 공연에 직접참여하고 관람객간의 상호의사소통과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기존 쌍방향공연에서 다방향의 공연프로그램 도입이 요구된다. 다섯째,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이 교육성에 있어서 연령별, 공간성에 있어서는 연령과 소득계층별, 예술성에 있어서는 연령과 학력별, 활동성에 있어서는 학력별로 다른 점을 활용한 세분화 마케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첫째, 내국인중심의 관람객 조사가 이루어 졌으며, 외국인 관람객과의 비교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둘째, 조사기간이 10일로 한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관람객의 변화와 행태의 연구가 미흡하였다. 셋째 조사기간내의 공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사되어 공연프로그램의 변경에 따른 일반적 공연문화의 특성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방향으로는 주요 관람객인 내국인과, 일본·미국·중국인 관람객간 비교를 통하여 외국인관광 활성화에 관한 연구와, 해외의 공연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관광자원적 특성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강명주, "남산골 한옥마을의 문화관광자원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p.11.
김재민, "관광자원개발론", 대왕사, 2001,
김진섭, "관광학개론", 남영문화사, 1981, pp.170∼184.
반정화, "일본인관광객의 문화관광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p.69.
서태양, "문화관광론", 대왕사, 1999, p.21.
손대현, "관광론", 일신사, 1990, p.186.
이경숙, "도산서원의 관광자원 가치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이광진, "한국 전통민속축제의 관광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p.14.
이정규, "문화관광객의 구매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pp.3∼4.
이항구, "관광학 총론", 탐구당, 1992, p.118.
최승이, "국제관광론", 대왕사, 1993, p.77.
한국관광공사, 관광정보, 1995(5,6월호)
Gunn, C. A., Tourism Planning, New York, Talor & Francis Ltd, 1988, p.4.
Jansen-Verbeke, M., & Van Rekorn, J., "Scanning Museum Visitors,: Urban Tourism Marketing",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23, No. 2, 1996, pp.364∼375.
2002년
11월
4일
원고접수
2002년
11월
26일
수정의뢰
2002년
12월
13일
최종통과
3인 익명심사 畢
구분
교육과 사고
배치와 접근
문화적 상징
예술과 오락성
상호교류및 공연참여
합계
전 체
3
5
22
111
135
276
1.1%
1.8%
8.0%
40.2%
48.9%
100.0%
Ⅳ. 결 론
본 연구는 새로운 공연문화로 정착한 난타의 문화관광자원적 특성 및 관광객의 관람특성 연구를 통하여 문화관광자원의 활성화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이론적 범위로 난타의 문화관광자원적 활성화에 관한 연구를 위한 이론과 선행연구의 검토와 관광객 방문특성을 중심으로 한 실증적 특성을 조사·분석하였으며, 난타공연장을 공간적 범위로 하고 시간적 범위로는 2002년 10월 6일부터 10월 15일까지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난타 관람객에 대하여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적 특성으로는 관람객의 주요 거주지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근거리 관람객이었으며, 20대와 30대 연령층의 고학력자와 비교적 안정적 소득 계층이 많았고 회사원 및 학생계층의 관람이 주로 이루어 졌다.
관람행태적 특성으로는 친구나 친지, 부부, 지인 등과의 동반이 많았으며, 교통수단으로는 지하철과 승용차의 이용이 많았다. 관람경험은 대부분 처음이 많았으며, 재관람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지출비용은 평균 54,600원을 지출하였고 남자와 고학력, 30대 연령층의 지출규모가 크며, 난타의 관광자료 입수는 주로 인터넷을 통해 공연장의 위치와 예술이나 오락적 공연내용을 알기 위한 것이며, 관람후의 평가로는 재방문의사가 아주 높으나 실질적인 재방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관람 후의 느낌으로는 난타에 대한 현대문화적 상징성과 오락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통문화나 관람자간의 상호교류나 직접적인 참여성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자원적 특성으로는 교육성에 있어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공간성에 있어서는 연령과 월소득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상징성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예술성에 있어서는 연령과 학력에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성에 있어서는 학력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난타공연의 문화관광자원적 특성에는 기존 유적관광중심의 문화관광자원 특성에서 중요한 요인이었던 상징성이 상대적으로 제외되고 교육성, 공간성, 예술성, 활동성 요소를 중심으로 적용될 수 있다.
문화관광자원적 효율성제고에 있어서는 자료 제공방법으로는 인터넷과 팜플렛의 제공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되어야 할 자료의 내용으로는 예술과 오락성, 상호교류와 참여 등의 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통한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관람객의 주요 거주지역인 경인지역에 대한 선별적 광고매체선택 및 홍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주요 관람 층인 회사원과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공연시간의 할애와 특별 참여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지역별·계층별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친구나 친지, 지인 형태의 동반관람이 많으므로 동반좌석의 설치, 동반자쿠폰의 발행, 공연프로그램에 동반참여를 유도한 체험적 이벤트, 동반을 요하는 특정 기념일을 반영한 공연 컨텐츠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지하철 이용자가 많으므로 지하철 역내 간이공연을 통한 홍보를 겸한 문화이벤트 행사와 재관람 의사를 실질적인 재관람으로 유도하기 위해 할인 등 각종 혜택이 제공되는 membership management program의 도입을 고려해야한다. 넷째, 관람객이 공연에 직접참여하고 관람객간의 상호의사소통과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기존 쌍방향공연에서 다방향의 공연프로그램 도입이 요구된다. 다섯째,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이 교육성에 있어서 연령별, 공간성에 있어서는 연령과 소득계층별, 예술성에 있어서는 연령과 학력별, 활동성에 있어서는 학력별로 다른 점을 활용한 세분화 마케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첫째, 내국인중심의 관람객 조사가 이루어 졌으며, 외국인 관람객과의 비교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둘째, 조사기간이 10일로 한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관람객의 변화와 행태의 연구가 미흡하였다. 셋째 조사기간내의 공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사되어 공연프로그램의 변경에 따른 일반적 공연문화의 특성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방향으로는 주요 관람객인 내국인과, 일본·미국·중국인 관람객간 비교를 통하여 외국인관광 활성화에 관한 연구와, 해외의 공연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관광자원적 특성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강명주, "남산골 한옥마을의 문화관광자원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p.11.
김재민, "관광자원개발론", 대왕사, 2001,
김진섭, "관광학개론", 남영문화사, 1981, pp.170∼184.
반정화, "일본인관광객의 문화관광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p.69.
서태양, "문화관광론", 대왕사, 1999, p.21.
손대현, "관광론", 일신사, 1990, p.186.
이경숙, "도산서원의 관광자원 가치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이광진, "한국 전통민속축제의 관광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p.14.
이정규, "문화관광객의 구매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pp.3∼4.
이항구, "관광학 총론", 탐구당, 1992, p.118.
최승이, "국제관광론", 대왕사, 1993, p.77.
한국관광공사, 관광정보, 1995(5,6월호)
Gunn, C. A., Tourism Planning, New York, Talor & Francis Ltd, 1988, p.4.
Jansen-Verbeke, M., & Van Rekorn, J., "Scanning Museum Visitors,: Urban Tourism Marketing",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 23, No. 2, 1996, pp.364∼375.
2002년
11월
4일
원고접수
2002년
11월
26일
수정의뢰
2002년
12월
13일
최종통과
3인 익명심사 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