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일본에서의 종교 형성
2.일본인의 종교관과 국민성
3.일본종교의 특징
-싱크레티즘(重層신앙)
-교단귀속과 종교적 관심
-가정의 종교와 개인의 종교
-절대성과 관용성
4.일본의 기독교의 전래
5. 현대의 신종교
2.일본인의 종교관과 국민성
3.일본종교의 특징
-싱크레티즘(重層신앙)
-교단귀속과 종교적 관심
-가정의 종교와 개인의 종교
-절대성과 관용성
4.일본의 기독교의 전래
5. 현대의 신종교
본문내용
가 공통하는 집단의 규범을 철저하게 지키면서 그 영향권의 틀 안에서 안주하려한다. 일본인은 고립을 싫어한다. 이것은 집단주의로도 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빨간 신호에서도 모두가 건너 간 다면 무섭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전에 언급된바 있는 무라하치부(村八部)와 같이 반대의견이 있어도 8%의 다수 의견에 따라야 한다는 사고방식으로 본심이 아니지만 전 체에 맞추는 경우가 많다. 신사의 종교행사에 참가하지 아니하면 화를 깨뜨리는 것이 라고 인식하고 있다.
▣ 현대의 신종교
'신종교'라는 용어는 다소 어색하고 불분명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일본에서의 '신종교'란 상당히 보편적으로 쓰여지고 있는 용어이며 이는 불교, 기독교, 이슬람과 같은 역사종교와 비교해서 쓰여지는 말이다. 1950년대 '신흥종교'라는 용어가 사이비적이고 불순한 뉘앙스를 풍긴다 하여 대체용어로서 쓰여지기 시작했으며 이후 나쁜 이미지를 벗고 기존종교와 대치하면서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에너지와 참신성을 담은 적극적인 의미로 쓰여진 경우가 많았다. 신종교는 근대 이전의 역사종교와 민속종교로부터 많은 부분을 계승하였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내세구원이 아닌 현세구원을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초월적 힘을 가진 신불(神佛)에 대한 신앙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일상적인 윤리실천 및 심(心)의 향상이 가장 요구되어진다.
일본의 대표적인 신종교로서는 창가학회, 입정교성회, 생장의 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신도수는 수백만에 달하기도 한다. 한국인의 귀에도 익을법한 단체로서는 천리교와 오옴진리교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오옴진리교는 특유의 폐쇄성과 극단적인 행동으로 국민과 정부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다. 그러나 창가학회나 천리교 등의 경우는 세계 각지로의 해외선교까지 성공하여 미국, 브라질, 한국, 대만 등에 많은 신자를 확보하고 있다.
일본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최근 일종의 붐으로 신종교의 성격을 가진 단체들이 증가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뉴에이지 운동이 관심을 불러 일으켜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여호와의 증인, 한국의 통일교, 기타 기 수련이나 무예단체같이 종교로서의 성격이 모호한 단체 등도 각자 나름대로 세력을 넓혀가고 있다.
* 참고 자료
-" 종교를 알아야 일본을 안다", 고이케 나가유키 / 철학과현실사
-"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 시마조노 스스무 / 청년사
-" 일본의 문화와 종교정책", 김종문 / 신원문화사 / 1998년
▣ 현대의 신종교
'신종교'라는 용어는 다소 어색하고 불분명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일본에서의 '신종교'란 상당히 보편적으로 쓰여지고 있는 용어이며 이는 불교, 기독교, 이슬람과 같은 역사종교와 비교해서 쓰여지는 말이다. 1950년대 '신흥종교'라는 용어가 사이비적이고 불순한 뉘앙스를 풍긴다 하여 대체용어로서 쓰여지기 시작했으며 이후 나쁜 이미지를 벗고 기존종교와 대치하면서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에너지와 참신성을 담은 적극적인 의미로 쓰여진 경우가 많았다. 신종교는 근대 이전의 역사종교와 민속종교로부터 많은 부분을 계승하였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내세구원이 아닌 현세구원을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초월적 힘을 가진 신불(神佛)에 대한 신앙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일상적인 윤리실천 및 심(心)의 향상이 가장 요구되어진다.
일본의 대표적인 신종교로서는 창가학회, 입정교성회, 생장의 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신도수는 수백만에 달하기도 한다. 한국인의 귀에도 익을법한 단체로서는 천리교와 오옴진리교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오옴진리교는 특유의 폐쇄성과 극단적인 행동으로 국민과 정부로부터 지탄을 받고 있다. 그러나 창가학회나 천리교 등의 경우는 세계 각지로의 해외선교까지 성공하여 미국, 브라질, 한국, 대만 등에 많은 신자를 확보하고 있다.
일본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최근 일종의 붐으로 신종교의 성격을 가진 단체들이 증가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뉴에이지 운동이 관심을 불러 일으켜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여호와의 증인, 한국의 통일교, 기타 기 수련이나 무예단체같이 종교로서의 성격이 모호한 단체 등도 각자 나름대로 세력을 넓혀가고 있다.
* 참고 자료
-" 종교를 알아야 일본을 안다", 고이케 나가유키 / 철학과현실사
-" 현대일본 종교문화의 이해", 시마조노 스스무 / 청년사
-" 일본의 문화와 종교정책", 김종문 / 신원문화사 / 199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