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간계획
2. 조사방법
3. 조사내용
4. 결론
2. 조사방법
3. 조사내용
4. 결론
본문내용
) 40cm / 검은색 층(B) 20cm / 담갈색 층(C) 15cm
(mud 主, granule) (중조립 sand : mud = 1:1) (중조립 sand-풍화 多)
<2조>
⑤ 유기물 공급 없어서, redish 해짐
② 물에 잠기고, 유기물 공급되어 black layer 형성(1.5cm정도)
<4조>
< 논바로 옆 Trench >
* 호수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mud 보다 sand가 많다.
(clastic 한 sediments 들의 유입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지시)
<5조>
* sand의 유입(풍화 산화물-산화상태) → 최하단 층 붉은계열
* sand maturity ⇒ 좋지 않음
※ 해석 : 전체적으로 보면 이전에 해양환경의 영향을 증명하는 clastic sand층이 최하단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점차 lgoon에서 lake sediment system의 증거로 mud층이 교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쇄설성 퇴적물이 mud층 위에 퇴적될 것으로 판단된다.
▲ 세부분석
<표 3-1> Rp3-A 층준별 sieve 분석
Phi
mm
weight(g)
cumulative
weight(g)
weight(%)
cumulative
weight(%)
-2
4.76
0
0
0
-1
2.00
13.2
6.529482
6.529482
0
1.4
16.48
8.151959
14.68144
0
0.84
21.38
10.57578
25.25722
1
0.42
24.2
11.97072
37.22794
2
0.25
10.4
5.14444
42.37238
3
0.149
15.56
7.696874
50.06925
4
0.063
67.5
33.38939
83.45865
이하
33.44
16.54135
100
합 계
202.16
202.16
100
100
<표 3-2> Rp3-B 층준별 sieve 분석
Phi
mm
weight(g)
cumulative
weight(g)
weight(%)
cumulative
weight(%)
-2
4.76
28.84
9.575033
9.575033
-1
2.00
76.56
25.41833
34.99336
0
1.4
84.08
27.91501
62.90837
0
0.84
34.06
11.3081
74.21647
1
0.42
31.22
10.36521
84.58167
2
0.25
20.46
6.792829
91.3745
3
0.149
11.44
3.798141
95.17264
4
0.063
10.22
3.393094
98.56574
이하
4.32
1.434263
100
합 계
301.2
301.2
100
100
<표 3-3> Rp3-C 층준별 sieve 분석
Phi
mm
weight(g)
cumulative
weight(g)
weight(%)
cumulative
weight(%)
-2
4.76
2.28
0.779061
0.779061
-1
2.00
24.36
8.323652
9.102713
0
1.4
77.82
26.59058
35.6933
0
0.84
65.64
22.42876
58.12205
1
0.42
68.14
23.28299
81.40504
2
0.25
30.74
10.50366
91.9087
3
0.149
8.48
2.89756
94.80626
4
0.063
8.84
3.02057
97.82683
이하
6.36
2.17317
100
합 계
292.66
292.66
100
100
. 편광 현미경 분석
< open 1×10 배율 >
< cross 1×10 배율 >
* biotite 와 석영, 장석류와 화산암편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roundness 와 sphericity 가 모두 좋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성분성숙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종 결
conclusion
○ RP1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주변 소양강 상류지점 = Terrestrial system
○ RP2 : 동해수련원 주변 - 오산해수욕장 = Transitional system
○ RP3 : 강원도 고성 송지호 = Transitional system
1. terristrial system
본 조사 지역은 수량의 변화에 의한 수계의 복잡한 구조로 망상하천과
굴곡도가 낮은 하천을 거쳐 굴곡도가 높은 사행천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를 띠고 있다. 이 곳에서 형성되는 퇴적물은 극조립의 sand들로부터
grain size 의 범위가 다양한데, 따라서 분급정도가 매우 떨어지고 복잡한
수계구조로 인한 사층리가 건설중인 교량아래 일어났음을 지시해 주고 있다.
대체로 이곳 퇴적물들은 이동거리와 운반거리가 짧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분급이 불량하고 조립질이 우세하며 대개 자갈과 조립의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퇴적작용의 debris flow, strea flood, 그리고 sheet flood에 의해
이루어 졌다.
2. transitional system - coastal system
본 조사지역과 같은 해안지역은 해수면 변동이나 조구조변화, 그리고 기후
등에 의해 퇴적작용의 type이 결정된다. 특히 기후면에서는 계절에 따라
연안류의 이동이 달라짐으로써 주기적인 유수의 방향변화로 새로운 퇴적구조
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해수면 변동은 swash 와 backwash의 영향 범위를
결정해 줌으로써 퇴적구조를 반영한다. 역으로 이러한 퇴적구조를 바탕으로
해수면의 변동 범위를 유추해 낼 수 있다. 또한 조구조변화도 해안에 내재
하고 있는 환경 energy를 제어하기도 하고, additional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요한 변수자로의 역할을 한다. 더불어 이러한 해안지역은 해수의 작용 뿐만
아니라 바람의 의한 퇴적작용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transitional system - lacustrine system
모래와 조립질의 퇴적물은 호수의 해안이나 호수저면에 퇴적된다. 따라서
조사결과 호수에 가까운 쪽을 Trenching 한 조(組)는 호수로부터 멀리 떨어진
組 보다는 상대적으로 조립질의 퇴적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곳과 해성환경과
비교할 때 호안에 퇴적되는 모래와 자갈은 분급 및 원마가 불량한데 이는
파도가 훨씬 미약하고 조류의 영향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mud 主, granule) (중조립 sand : mud = 1:1) (중조립 sand-풍화 多)
<2조>
⑤ 유기물 공급 없어서, redish 해짐
② 물에 잠기고, 유기물 공급되어 black layer 형성(1.5cm정도)
<4조>
< 논바로 옆 Trench >
* 호수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mud 보다 sand가 많다.
(clastic 한 sediments 들의 유입이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지시)
<5조>
* sand의 유입(풍화 산화물-산화상태) → 최하단 층 붉은계열
* sand maturity ⇒ 좋지 않음
※ 해석 : 전체적으로 보면 이전에 해양환경의 영향을 증명하는 clastic sand층이 최하단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점차 lgoon에서 lake sediment system의 증거로 mud층이 교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쇄설성 퇴적물이 mud층 위에 퇴적될 것으로 판단된다.
▲ 세부분석
<표 3-1> Rp3-A 층준별 sieve 분석
Phi
mm
weight(g)
cumulative
weight(g)
weight(%)
cumulative
weight(%)
-2
4.76
0
0
0
-1
2.00
13.2
6.529482
6.529482
0
1.4
16.48
8.151959
14.68144
0
0.84
21.38
10.57578
25.25722
1
0.42
24.2
11.97072
37.22794
2
0.25
10.4
5.14444
42.37238
3
0.149
15.56
7.696874
50.06925
4
0.063
67.5
33.38939
83.45865
이하
33.44
16.54135
100
합 계
202.16
202.16
100
100
<표 3-2> Rp3-B 층준별 sieve 분석
Phi
mm
weight(g)
cumulative
weight(g)
weight(%)
cumulative
weight(%)
-2
4.76
28.84
9.575033
9.575033
-1
2.00
76.56
25.41833
34.99336
0
1.4
84.08
27.91501
62.90837
0
0.84
34.06
11.3081
74.21647
1
0.42
31.22
10.36521
84.58167
2
0.25
20.46
6.792829
91.3745
3
0.149
11.44
3.798141
95.17264
4
0.063
10.22
3.393094
98.56574
이하
4.32
1.434263
100
합 계
301.2
301.2
100
100
<표 3-3> Rp3-C 층준별 sieve 분석
Phi
mm
weight(g)
cumulative
weight(g)
weight(%)
cumulative
weight(%)
-2
4.76
2.28
0.779061
0.779061
-1
2.00
24.36
8.323652
9.102713
0
1.4
77.82
26.59058
35.6933
0
0.84
65.64
22.42876
58.12205
1
0.42
68.14
23.28299
81.40504
2
0.25
30.74
10.50366
91.9087
3
0.149
8.48
2.89756
94.80626
4
0.063
8.84
3.02057
97.82683
이하
6.36
2.17317
100
합 계
292.66
292.66
100
100
. 편광 현미경 분석
< open 1×10 배율 >
< cross 1×10 배율 >
* biotite 와 석영, 장석류와 화산암편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roundness 와 sphericity 가 모두 좋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성분성숙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종 결
conclusion
○ RP1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주변 소양강 상류지점 = Terrestrial system
○ RP2 : 동해수련원 주변 - 오산해수욕장 = Transitional system
○ RP3 : 강원도 고성 송지호 = Transitional system
1. terristrial system
본 조사 지역은 수량의 변화에 의한 수계의 복잡한 구조로 망상하천과
굴곡도가 낮은 하천을 거쳐 굴곡도가 높은 사행천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를 띠고 있다. 이 곳에서 형성되는 퇴적물은 극조립의 sand들로부터
grain size 의 범위가 다양한데, 따라서 분급정도가 매우 떨어지고 복잡한
수계구조로 인한 사층리가 건설중인 교량아래 일어났음을 지시해 주고 있다.
대체로 이곳 퇴적물들은 이동거리와 운반거리가 짧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분급이 불량하고 조립질이 우세하며 대개 자갈과 조립의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퇴적작용의 debris flow, strea flood, 그리고 sheet flood에 의해
이루어 졌다.
2. transitional system - coastal system
본 조사지역과 같은 해안지역은 해수면 변동이나 조구조변화, 그리고 기후
등에 의해 퇴적작용의 type이 결정된다. 특히 기후면에서는 계절에 따라
연안류의 이동이 달라짐으로써 주기적인 유수의 방향변화로 새로운 퇴적구조
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해수면 변동은 swash 와 backwash의 영향 범위를
결정해 줌으로써 퇴적구조를 반영한다. 역으로 이러한 퇴적구조를 바탕으로
해수면의 변동 범위를 유추해 낼 수 있다. 또한 조구조변화도 해안에 내재
하고 있는 환경 energy를 제어하기도 하고, additional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요한 변수자로의 역할을 한다. 더불어 이러한 해안지역은 해수의 작용 뿐만
아니라 바람의 의한 퇴적작용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transitional system - lacustrine system
모래와 조립질의 퇴적물은 호수의 해안이나 호수저면에 퇴적된다. 따라서
조사결과 호수에 가까운 쪽을 Trenching 한 조(組)는 호수로부터 멀리 떨어진
組 보다는 상대적으로 조립질의 퇴적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곳과 해성환경과
비교할 때 호안에 퇴적되는 모래와 자갈은 분급 및 원마가 불량한데 이는
파도가 훨씬 미약하고 조류의 영향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