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무심천 지류하천현황과 오염원
① 청원군 가덕면 상대리 : 자연하천
② 청주시 방서동 방서교 : 자연하천과 직선화된 하천이 공존.
③ 청주시 서문동 서문교 : 도심하천- 콘크리트로 포장됨
④ 청주시 신봉동 율량천 합수지점 : 직선화된 하천
⑤ 청주시 문암동 까치내 : 자연하천
2. <주요 오염원>
3. 무심천의 콘크리트화에 따른 오염과 피해
4. <개발로 황폐화되고 있는 무심천>
5. 무심천의 현실과 단상
1) 단상 하나
2) 단상 둘
3) 단상 셋
6. 무심천 복원 방안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7.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1)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도시계획의 수립
2) 무심천 하천 정비의 기본 방향 설정
3)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정비 계획
8. <복원의 이점>
9. 현재 청주시의 노력
1) 무심천 공원화
2) 하상주차장철거
12. 앞으로의 우리...
① 청원군 가덕면 상대리 : 자연하천
② 청주시 방서동 방서교 : 자연하천과 직선화된 하천이 공존.
③ 청주시 서문동 서문교 : 도심하천- 콘크리트로 포장됨
④ 청주시 신봉동 율량천 합수지점 : 직선화된 하천
⑤ 청주시 문암동 까치내 : 자연하천
2. <주요 오염원>
3. 무심천의 콘크리트화에 따른 오염과 피해
4. <개발로 황폐화되고 있는 무심천>
5. 무심천의 현실과 단상
1) 단상 하나
2) 단상 둘
3) 단상 셋
6. 무심천 복원 방안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7.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1)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도시계획의 수립
2) 무심천 하천 정비의 기본 방향 설정
3) 자연형 하천으로의 복원 정비 계획
8. <복원의 이점>
9. 현재 청주시의 노력
1) 무심천 공원화
2) 하상주차장철거
12. 앞으로의 우리...
본문내용
장철거)
< 무심천 공원화 >
1) 현황 및 계획동기
무심천의 현황은 도시 중심부로 하천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활하수는 차집관로 시설로 유입되고 있어 특별한 점오염원은 없으나 주변에서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이 지형이 낮은 무심천으로 유입되며, 특히 적은 강우나 초기 우수시에 심한 악취가 나고 하천의 수질 환경을 오염시키며, 주거지역확충에 따라 녹지가 감소되고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여 하천의 유지수가 감소되어 갈수기에는 수중 생태계가 파괴가 반복되고 있다. 또한 도심교통대책으로 건설한 하상 시설물(도로및주차장)로 하천내 초지면적은 감소되고 콘크리트로 피복되어 하도 내의 지표온도 상승으로 폭염시 초기우수가 수온을 상승시켜 물고기의 집단 폐사와 하천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된고 있다.
이러한 요인을 제거하고자 우선 실현 가능한 자연하천 공법을 발굴하여 오염물질의 직접유입을 차단하고 하천의 자정작용의 조건을 향상시켜 자연적으로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이 유도되도록 무심천 공원화 사업 실시설계를 계획하였다.
2) 범위 및 개요
구 분
위 치
과 업 개 요
비 고
상류구역
지북동시계 ~ 방서교
자연생태형 하천유지
2.5Km
중류구역
방서교 ~ 율량천 유입부
친수형 근린 공간 조성
6.0Km
하류구역
율량천유입부 ~ 미호천합류부
자연생태 유지 및 복원
3.5Km
3) 구체적 계획
①구역별 정비계획
무심천을 3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도심상류구역(지북동시계~방서교)과 하류구역(제2운천교하류)은 자연생태형 보전 구역으로 선정하고 기존 보에 어도를 확보하고 여울과 못이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중류구역(방서교~율량천유입부)는 친수형 자연하천구역으로 선정하여 하상 콘크리트구조물을 녹지 복원화 하고 수중보, 수질정화시설, 분수대, 산책로을 조성하여 유황개선과 지류유입 오염 하천수를 자연정화하고 퇴적토를 제거하여 습지원을 조성하여 홍수시 저류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②하도정비
1)하상도로 및 주차장 복원
2)산 책 로 시 설
3)사행수로의 유도
③유황개선
무심천내의 부족한 수량(水量)을 확보하고 폭기 및 자정작용을 증대키며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 및 여울과 소(沼)의 구성을 위한 저수로를 이용한 저류방법인 수중보 및 거석보 설치와 시민의 정서 안정과 볼거리 제공을 위하여 분수대설치 계획
④자연정화시설 조성
1)하천의 자연정화 공법
2)유입지류에 정화시설 조성
3)수질 정화 공법
4) 하상주차장 철거
청주시내를 가로지르는 무심천 하상주차장이 철거된다.
청주시는 시민들의 휴식처인 무심천을 친환경적인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해 올 연말까지 15억여원을 들여 철거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철거구간은 청주대교 인근의 콘크리트 하상 주차장 1만3000여㎡이다.
시는 또 영운동 수영교에서 서문대교사이 3.2㎞ 무심천에 물고기와 식물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줄포 등 수생식물도 심어 시민들의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하상 주차장 이용률이 그리 높지 않아 주차장을 철거, 시민들의 휴식처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02년 4월 8일<동아일보>中-
9. 앞으로의 우리...
많은 청주시민들이 무심천을 청주를 대표하는 도시의 상징의 하나로 꼽는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청주 시민들의 가슴 한 쪽에 무심천에 대한 아련한 추억과 애정이 간직되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 문제는 시민들의 가슴속에 묻혀 있는 무심천의 추억과 애정이 무심천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려는 꿈과 구체적인 실천으로 나타날 때, 자연환경이 살아나고 시민들이 즐겨 찾는 무심천으로 변할 수 있다는 데 있는 것인데 막연한 상징으로 느끼는 무심천을 보다 살아있고 즐겨찾는 공간으로 만들어가려면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다양한 실천을 활성화하는 일이 무심천을 살리는 첫걸음일 것이다. 현재 청주시나 시민사회단체가 할 일은 일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거나 이벤트성 일회용 행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무심천에 대해 어떤 일을 하든 시민들과 함께 하려는 의지와 태도로 시민들의 의한, 무심천을 만들어가려는 노력이 기본이 되고 바탕이 되어야 한다. 현재 무심천은 청주시민들의 관심과 여러 시민단체의 노력의 결과로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 근래 들어 물고기와 백로떼가 눈에 띄게 늘었고, 낚시꾼도 많아진 것을 볼수 있다. 청주시는 또한 우리는 몇 가지 정책변화만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 우리세대와 후세까지 함께 생각하며 삶의 터전을 만들어 나가는 종합적인 계획을 통해 청주의 젖줄 '무심천'을 살려나가야 할 것이다.
< 무심천 공원화 >
1) 현황 및 계획동기
무심천의 현황은 도시 중심부로 하천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활하수는 차집관로 시설로 유입되고 있어 특별한 점오염원은 없으나 주변에서 발생되는 비점 오염물이 지형이 낮은 무심천으로 유입되며, 특히 적은 강우나 초기 우수시에 심한 악취가 나고 하천의 수질 환경을 오염시키며, 주거지역확충에 따라 녹지가 감소되고 불투수면적이 증가하여 하천의 유지수가 감소되어 갈수기에는 수중 생태계가 파괴가 반복되고 있다. 또한 도심교통대책으로 건설한 하상 시설물(도로및주차장)로 하천내 초지면적은 감소되고 콘크리트로 피복되어 하도 내의 지표온도 상승으로 폭염시 초기우수가 수온을 상승시켜 물고기의 집단 폐사와 하천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된고 있다.
이러한 요인을 제거하고자 우선 실현 가능한 자연하천 공법을 발굴하여 오염물질의 직접유입을 차단하고 하천의 자정작용의 조건을 향상시켜 자연적으로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이 유도되도록 무심천 공원화 사업 실시설계를 계획하였다.
2) 범위 및 개요
구 분
위 치
과 업 개 요
비 고
상류구역
지북동시계 ~ 방서교
자연생태형 하천유지
2.5Km
중류구역
방서교 ~ 율량천 유입부
친수형 근린 공간 조성
6.0Km
하류구역
율량천유입부 ~ 미호천합류부
자연생태 유지 및 복원
3.5Km
3) 구체적 계획
①구역별 정비계획
무심천을 3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도심상류구역(지북동시계~방서교)과 하류구역(제2운천교하류)은 자연생태형 보전 구역으로 선정하고 기존 보에 어도를 확보하고 여울과 못이 자연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중류구역(방서교~율량천유입부)는 친수형 자연하천구역으로 선정하여 하상 콘크리트구조물을 녹지 복원화 하고 수중보, 수질정화시설, 분수대, 산책로을 조성하여 유황개선과 지류유입 오염 하천수를 자연정화하고 퇴적토를 제거하여 습지원을 조성하여 홍수시 저류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②하도정비
1)하상도로 및 주차장 복원
2)산 책 로 시 설
3)사행수로의 유도
③유황개선
무심천내의 부족한 수량(水量)을 확보하고 폭기 및 자정작용을 증대키며 어류의 서식처를 제공 및 여울과 소(沼)의 구성을 위한 저수로를 이용한 저류방법인 수중보 및 거석보 설치와 시민의 정서 안정과 볼거리 제공을 위하여 분수대설치 계획
④자연정화시설 조성
1)하천의 자연정화 공법
2)유입지류에 정화시설 조성
3)수질 정화 공법
4) 하상주차장 철거
청주시내를 가로지르는 무심천 하상주차장이 철거된다.
청주시는 시민들의 휴식처인 무심천을 친환경적인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하기 위해 올 연말까지 15억여원을 들여 철거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철거구간은 청주대교 인근의 콘크리트 하상 주차장 1만3000여㎡이다.
시는 또 영운동 수영교에서 서문대교사이 3.2㎞ 무심천에 물고기와 식물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줄포 등 수생식물도 심어 시민들의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하상 주차장 이용률이 그리 높지 않아 주차장을 철거, 시민들의 휴식처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02년 4월 8일<동아일보>中-
9. 앞으로의 우리...
많은 청주시민들이 무심천을 청주를 대표하는 도시의 상징의 하나로 꼽는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청주 시민들의 가슴 한 쪽에 무심천에 대한 아련한 추억과 애정이 간직되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 문제는 시민들의 가슴속에 묻혀 있는 무심천의 추억과 애정이 무심천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려는 꿈과 구체적인 실천으로 나타날 때, 자연환경이 살아나고 시민들이 즐겨 찾는 무심천으로 변할 수 있다는 데 있는 것인데 막연한 상징으로 느끼는 무심천을 보다 살아있고 즐겨찾는 공간으로 만들어가려면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다양한 실천을 활성화하는 일이 무심천을 살리는 첫걸음일 것이다. 현재 청주시나 시민사회단체가 할 일은 일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거나 이벤트성 일회용 행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무심천에 대해 어떤 일을 하든 시민들과 함께 하려는 의지와 태도로 시민들의 의한, 무심천을 만들어가려는 노력이 기본이 되고 바탕이 되어야 한다. 현재 무심천은 청주시민들의 관심과 여러 시민단체의 노력의 결과로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 근래 들어 물고기와 백로떼가 눈에 띄게 늘었고, 낚시꾼도 많아진 것을 볼수 있다. 청주시는 또한 우리는 몇 가지 정책변화만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 우리세대와 후세까지 함께 생각하며 삶의 터전을 만들어 나가는 종합적인 계획을 통해 청주의 젖줄 '무심천'을 살려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