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TQM의 정의
1)토탈(Total)의 의미
2) TQM은 무엇인가?
2.TQM의 발생 배경
1) TQM의 발생배경
2) TQM도입의 필요성
3.TQM의 핵심 요소
1)TQM의 원칙
2)TQM의 구성요소
4.결 론
1)토탈(Total)의 의미
2) TQM은 무엇인가?
2.TQM의 발생 배경
1) TQM의 발생배경
2) TQM도입의 필요성
3.TQM의 핵심 요소
1)TQM의 원칙
2)TQM의 구성요소
4.결 론
본문내용
관리도 중요하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전술한 TQM의 개념에 입각해서 보건대 TQM의 궁극적 목표는 고객만족이며 이를 위해 조직의 모든 구성원과 자원들을 결집한 품질시스템으로 지속적인 품질 개선활동이 전개된다. 즉 조직의 결집된 노력을 바탕으로 하여 품질 및 서비스를 혁신하여 고객 만족 도를 극대화함으로서 기업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5가지 필수요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①고객 : 고객의 만족도가 TQM의 실행결과인 동시에 목표이다.
②종업원 : 조직구성원 특히 종업원의 참여없이는 목표의 효과적 달성은 어렵다.
③공급자 : 원자재를 비롯한 자원들을 공급하는 공급자들은 품질 수준에 영향을 주는 긴요한 조직구성원들
이다.
④경영자 : 조직, 구서원, 자원들을 결집하고 관리하며 이끌어나가는 배의 선장 격인 경영자의 의지와 역량이 TQM 성과를 좌우한다.
⑤과정/공정 : 활동의 과정(공정)은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 납기, 원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카틴(T.Cartin)은 이들 TQM의 요소들을 중심 하여 다음 표와 같은 TQM모델을 제시하였다. 그의 모델에서 보건대, TQM은 고객만족을 목표로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고객, 내/외부의 공급자, 경영자, 전구성원의 참여, 체계적인 분석기법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품질개선활동을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결과
이 과제를 통해 품질경영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특히 그 분야가 넓은 것에 많이 놀랐다. 보통의 경우 품질관리나 품질경영이라고 하면 생산 현장에서나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참고 문헌과 적용 사례를 찾아보다 보니 너무 많은 분야에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품질의 향상을 통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실제로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오늘날 TQM도입이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의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모든 부서가 지속적인 품질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조직이 품질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고경영자부터 종업원에 이르기까지 품질에 관한 교육훈련 통하여 품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며, 산업전반에 확산된 TQM 활성화 방안의 모색은 기업의 경쟁력 제고는 물론 무한 경쟁시대의 생존전략이 될 것이다.
TQM이라고 한다면 전 사적 품질경영이라고 하여 기업의 모든 부분에 걸친 품질의 향상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문화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는 구체적 제도의 적용에 앞서 그 기반을 다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최고 경영자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QM의 T를 TOP으로 보는 사람이 있을 정도이니 그 중요성이 어떨지 알 수 있다. 최고 경영자는 기업의 문화 조성과 전체적인 틀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에 따라 기업의 각 분야별로 적절한 품질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우리의 경우는 초기에 일본의 TQC를 받아들여 이용하였지만 이를 완벽하게 적용시키지 못하는 과정에 품질 관리에 엉성한 면이 있었다. 이에 좀 더 발전된 개념인 QM과의 합성을 통해 우리의 문화에 알맞은 새로운 TQM을 개발하는 게 시급하겠다.
5.참고문헌
1) TQM혁명과 작은 기업 큰 경영 / 이재관 / 법영사
2) 품질 경영 / 박재홍 / 삼중사
3) 서비스 품질관리 / 유동근 / 세종서적
4) TQM: 품질경영 / 안영진 / 博英社
5) TQM과 인적자원 / 배리 데일 , 케리 쿠퍼 , 박수규 번역 / 韓國經濟新聞
6) TQM에 의한 經營革新 : 운영방안과 실천사례 / 류한주 / 한국생산성본부
전술한 TQM의 개념에 입각해서 보건대 TQM의 궁극적 목표는 고객만족이며 이를 위해 조직의 모든 구성원과 자원들을 결집한 품질시스템으로 지속적인 품질 개선활동이 전개된다. 즉 조직의 결집된 노력을 바탕으로 하여 품질 및 서비스를 혁신하여 고객 만족 도를 극대화함으로서 기업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5가지 필수요소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①고객 : 고객의 만족도가 TQM의 실행결과인 동시에 목표이다.
②종업원 : 조직구성원 특히 종업원의 참여없이는 목표의 효과적 달성은 어렵다.
③공급자 : 원자재를 비롯한 자원들을 공급하는 공급자들은 품질 수준에 영향을 주는 긴요한 조직구성원들
이다.
④경영자 : 조직, 구서원, 자원들을 결집하고 관리하며 이끌어나가는 배의 선장 격인 경영자의 의지와 역량이 TQM 성과를 좌우한다.
⑤과정/공정 : 활동의 과정(공정)은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 납기, 원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카틴(T.Cartin)은 이들 TQM의 요소들을 중심 하여 다음 표와 같은 TQM모델을 제시하였다. 그의 모델에서 보건대, TQM은 고객만족을 목표로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고객, 내/외부의 공급자, 경영자, 전구성원의 참여, 체계적인 분석기법 등을 통하여 지속적인 품질개선활동을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4. 결과
이 과제를 통해 품질경영에 대하여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특히 그 분야가 넓은 것에 많이 놀랐다. 보통의 경우 품질관리나 품질경영이라고 하면 생산 현장에서나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참고 문헌과 적용 사례를 찾아보다 보니 너무 많은 분야에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품질의 향상을 통하여 국제적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실제로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오늘날 TQM도입이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의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모든 부서가 지속적인 품질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조직이 품질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고경영자부터 종업원에 이르기까지 품질에 관한 교육훈련 통하여 품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며, 산업전반에 확산된 TQM 활성화 방안의 모색은 기업의 경쟁력 제고는 물론 무한 경쟁시대의 생존전략이 될 것이다.
TQM이라고 한다면 전 사적 품질경영이라고 하여 기업의 모든 부분에 걸친 품질의 향상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문화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는 구체적 제도의 적용에 앞서 그 기반을 다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최고 경영자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QM의 T를 TOP으로 보는 사람이 있을 정도이니 그 중요성이 어떨지 알 수 있다. 최고 경영자는 기업의 문화 조성과 전체적인 틀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에 따라 기업의 각 분야별로 적절한 품질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우리의 경우는 초기에 일본의 TQC를 받아들여 이용하였지만 이를 완벽하게 적용시키지 못하는 과정에 품질 관리에 엉성한 면이 있었다. 이에 좀 더 발전된 개념인 QM과의 합성을 통해 우리의 문화에 알맞은 새로운 TQM을 개발하는 게 시급하겠다.
5.참고문헌
1) TQM혁명과 작은 기업 큰 경영 / 이재관 / 법영사
2) 품질 경영 / 박재홍 / 삼중사
3) 서비스 품질관리 / 유동근 / 세종서적
4) TQM: 품질경영 / 안영진 / 博英社
5) TQM과 인적자원 / 배리 데일 , 케리 쿠퍼 , 박수규 번역 / 韓國經濟新聞
6) TQM에 의한 經營革新 : 운영방안과 실천사례 / 류한주 / 한국생산성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