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기반 사회복지 실천 문헌의 고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온라인 기반 사회복지 실천 문헌의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An Exploration of Helping Processes in an Online Self-Help Group Focusing on Issues of Dsability.
(장애 이슈에 초점을 둔 온라인 자조 그룹 내에 원조 과정의 연구)

2.Connecting group members through telephone & computer groups.
(전화와 컴퓨터를 통한 집단 구성원들간의 연계)

3.Online HELP : Cancer Patients Participate in a Computer-Mediated Support Group
(온라인을 통한 도움 : 암환자들의 컴퓨터를 매개로 한 지지그룹의 참여)

4.Receiving social support online:
implication for health education
(온라인상에서 사회적 지지받기: 보건교육을 위한 함의)

본문내용

용에 단어들을 덧붙혀 컴퓨터 의사소통의 문맥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온라인 지지그룹의 회원은 부가적인 의사소통 통로를 선택할 수 있다. 개인적 이메일, snail mail, 전화 통화, 사적 그룹 잡담이나 특별한 외출 등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활발하게 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단지 메시지만 읽는 숨어있는 현상이 온라인 그룹의 독특한 현상이다. 면대면 그룹에서는 대개 일정정도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수동적인 온라인 회원은 가장 선호하는 방법으로 낮은 수준의 가시도와 참여를 선택할 것이다.(면대면이건 온라인이건 상관없이). 수줍어하는 회원은 자신이 온라인 그룹의 기준과 스타일을 이해할 때까지 숨어있기를 선호할 것이다. 가족, 친구, 건강 케어 전문가와 간호제공자들이 온라인 그룹의 회원들이 될 수 있다. 그룹 과정을 방해하지 않고 특별한 장애와 상태를 지닌 사람들이 직면하고 있는 이슈에 대해 이해나 통찰 등을 얻기 위해서다. 읽지만 참여는 하지 않는 회원 중 수 백명 혹은 수 천명의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연구자들은 주목해왔다. 숨어있는 사람들이 읽기만하면서 어떤 이득을 얻는지 더 연구되어야 할 주제이다.
Davison 등은 면대면 지지 그룹이 더 비싼 진단과 치료와 연결되어 있는 듯하다고 언급했다. 반면 온라인 그룹은 잘 이해되지 못하고, 치료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고 혹은 전통적인 건강 케어에서 간과했던 상황에 관심을 갖는다. 온라인 그룹은 지위의 변화시킬 옹호그룹과 정치적 활동을 집결시키는데 종종 사용된다.
대부분의 온라인 그룹은 공적인 행정구조나 합의할만한 지침과 기준을 지니고 있지 않다. 많은 그룹은 자주 물어보는 질문들이라는 창을 가지고 있다. 어떤 온라인 그룹은 포스팅이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았는지 그룹의 목적에서 너무 벗어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중재자를 두고 있다. 이 사람은 신입회원을 환영하고 그룹의 규치과 기준을 설명하고, 행정적 질문에 답변하는 역할을 한다. (대개 자신을 나타내지 않고 유머를 가지고).
온라인 그룹 회원들은 시, 그림, 잡지 내용등을 나누기도 한다. 이런 자기표현의 방식은자긍심을 치료하고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창피하거나 자기자각을 최소하면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쓰는 것으로 인해 우울증과 외로움을 경감시키고 고통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혹자는 메시지를 보낸 후에 카다르시스를 느꼈다고 한다. 이런 것이 전통적인 그룹에 비해 온라인 그룹이 지닌 두드러진 잇점이다.
가끔 온라인 포럼의 회원들이 동정이나 주의집중을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타인을 속이기도 한다. 이런 일은 사이버공간에서 일어나는데 면대면이나 전화교류에서도 있을 수 있다. 이런 속임수를 경험하게 되면 회원들은 부끄러움, 불신, 의심등을 경험하게 된다. 너무나 드라마틱하고 일관성이 없고 모순될 경우 이런 인공적이로 꾸미기 장애를 의심해볼만 하다.
VI. 건강교육과 건강증진을 위한 함의
앞에 언급했듯이, 온라인 지지그룹이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타인과 의사소통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이롭기도 하고 해롭기도 하다. 더욱이, 온라인 지지를 원하는 사람들 중 나이, 성별, 인성의 차이가 있다. 온라인지지 그룹의 유용성은 매우 다른데 질병의 유형과 체계화된 웹사이트의 기능 등에 따라 결정된다. 면대면 지지그룹이 어떻게 기능하는가에 대한 지식이 온라인 그룹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다음은 건강교육 전문가들을 위한 몇가지 내용이다.
1. 이르기 어려운 것에 이르기
온라인 지지그룹은 건강교육으로 다가갈 수 없는 혹은 다가가기 어려운 그룹에 다가갈 수 있는 잠재능력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남성은 면대면보다 온라인을 선호한다고 한다. 이것은 질병이나 여러 상황으로 인해 그룹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그룹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2. 비용 효과성
온라인지지 그룹은 다수의 사람들에게 지지, 격려, 정보를 제공할 비용 효과적인 방법이다. 교통비용, 물리적인 모임 공간 그리고 그룹 촉진을 위한 전문가 의존도를 최소화하므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건강 정보와 교육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소비자 역량강화
소비자와 공급자간 관계의 혁신 그리고 의료정보의 민주화를 몇몇 저자들은 지적한바 있다. 온라인 그룹에서 얻은 정보를 나누고 취하는 것으로 인해 역량강화(권한부여)가 이루어진다. 이것은 건강교육을 위한 적절한 환경이 된다 왜냐면 건강에 대해 준비된 청중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부정확하고 부족절한 정보를 다루어야 하는 어려움 역시 있다.
4. 필요한 과학기술 기술 등
건강교육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있어 온라인 그룹의 발전과 함께 건강교육지도자들은 과학기술과 관련된 기술을 가져야만 한다. 즉 온라인 의사소통을 위하 목록과 그룹 그리고 기술들을 짤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온라인 의사소통시 청각적, 시각적 cue가 부재하기 때문에 교육자들은 효과적인 온라인 의사소통을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인 훈련을 받아야 한다. 건강교육의 전문적 발달은 이 분야에 대한 건강교육 대학원의 기술 진보에 달려 있다.
5. 연구 이슈
건강교육 메시지 전달의 효과성 및 효율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또 다른 연구 과제로 숨어있는 현상에 대한 조사, 온라인 그룹에서 유머의 사용과 이것의 역할, 그리고 온라인 그룹회원을 위한 건강 결과물의 질과 특성 등이 있을 것이다.
VII. 결론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될수록 컴퓨터 중재 의사소통은 더 활발하게 될 것이다. 면대면 만남이 불가능하거나 싫은 사람들에겐 이런 지지그룹이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면대면 만남과 비교할 때 개선되어야 할 사항도 있다. 건강교육의 입장에서 온라인 의사소통의 발달은 시사하는 바가 큰데 건강교육자들이 교육활동을 위해 메시지를 적절하게 만들고 이런 포럼을 이용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남게 되었다. 만족도를 높히고 의료적 통제에 순응하면서 바라는 건강의 결과물을 성취하고 또한 교육의 방법으로 온라인지지 그룹을 사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온라인 지지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독특한 특성과 욕구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도 더 필요하다.

키워드

hanju98,   juno592,   몽모이,   야오이,  
  • 가격무료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3.10.0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4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