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윈도XP의 개발 과정과 다른 윈도우os 와의 관계
(1) 9x커널을 포기한 이유
(2)윈도XP와 윈도우2000
(3)윈도XP와 윈도우Me
2. 윈도우 XP의 기능 및 특징
(1) 윈도XP 홈 에디션
(2)윈도우 XP Professtional의 특징적 기능들
3. 윈도우 xp의 문제점
4. 윈도우 xp의 향후 발전방향
(1) 9x커널을 포기한 이유
(2)윈도XP와 윈도우2000
(3)윈도XP와 윈도우Me
2. 윈도우 XP의 기능 및 특징
(1) 윈도XP 홈 에디션
(2)윈도우 XP Professtional의 특징적 기능들
3. 윈도우 xp의 문제점
4. 윈도우 xp의 향후 발전방향
본문내용
달 MS는 SQL 서버와 모든 버전의 윈도우에 적용되는 다른 결함들을 수정했다. MS는 또한 아웃룩 익스프레스를 위한 경고를 발표했다. 올해 현재 MS는 61개의 보안 경고를 발표했다. 이는 2001년 전체에 발표된 경고보다 약간 많은 것이다.
이번 새로운 경고들은 또한 MS가 보안상 유출로 인해 2만명의 윈도우 베타 테스터들이 사용하는 웹 서버에 접속이 가능해졌다고 시인한 날과 같은 날 발표됐다. MS는 테스터들에게 그들의 패스워드를 바꿀 것을 권장했다.
4. 윈도우 xp의 향후 발전방향
닷넷 서버 2003의 개발이 거의 끝나가면서 MS는 윈도우 XP의 차기 버전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현재의 사안은 윈도우 XP의 후속 제품의 출시일에 관한 것과 그 출시일에 맞춰서 자사의 데스크톱과 서버 제품들도 재조정한다는 결정에 관한 것입니다. MS관계자는 "왜 MS는 이 닷넷 서버 출시를 먼저 해결해야 할까? 왜냐하면 MS가 이 닷넷 서버 제품을 어느 정도 해결해놓기 전에는 윈도우의 차기 버전에 대해 초점을 완전히 맞추기는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차세대 윈도우가 어떤 것일지는 불확실합니다. 지금까지 MS에서는 차기 버전이 2004년도에 나오기로 계획된 '롱혼'이 될 것이라고 말해왔지만 현재 롱혼의 스케줄은 비공식적으로 2005년도로 밀려난 상태입니다. 또한 이 회사는 그 중간에 윈도우 XP의 새 버전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9월 윈도우를 담당하고 있는 경영자 짐 올친은 "나는 롱혼 프로젝트에 내 일과의 대부분을 사용한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롱혼이 출시되려면 아주 여러 해가 걸려야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소식통들은 현재 MS는 롱혼의 기능을 코드명 블랙콤이라는 또 다른 윈도우 버전과 통합하는 것에 대해 고려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전했습니다. 그렇게 되면 출시일은 또다시 2005년도 말이나, 2006년도까지 밀려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MS는 회사들이 할인된 가격으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살 수 있게 해주는 자사의 라이선싱 6라는 프로그램 때문에라도 윈도우 새 버전의 출시를 그렇게까지 늦출 수는 없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의하면 고객들은 2, 3년짜리 계약을 맺어서 일년 단위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위해 미리 가격을 지급합니다. 이 때문에 MS가 그 계약 기간 동안 자사의 제품에 대한 새로운 버전을 출시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가트너 분석가 마이클 실버는 "고객들이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에 대해 이미 지불했는데 제품이 나오지 않는다면 불평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저희는 생각합니다. 라이선싱 6 때문데에 MS는 제품을 제 때에 출시해야만 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MS가 대량 라이선스 고객들도 만족시키고, 코드명 유콘의 SQL 서버의 차기 버전을 위한 운영체제 기능도 점검하기 위해 2003년 말이나 2004년에는 윈도우 XP의 임시 버전을 출시할 것이라고 많은 분석가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같이 시간표가 바뀌게 되면 윈도우의 데스크탑 및 서버 버전의 기본 기능과 출시일을 맞추기도 더 쉬울 것입니다. 예를 들면, MS는 윈도우 NT 4와 2000의 데스크톱과 서버 버전을 출시할 때 거의 동시에 출시했습니다. 하지만 MS는 이번에 윈도우 XP에 있어서는 서로 따로 하자는 전략입니다. 이유는 소비자용과 사업용 데스크톱 운영체제를 단일 코드 기반으로 만드는데 시간이 들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운영체제의 발전방향(xp가 되었던 어쨌든,)에 대해 생각해보자면,,
첫째, 시 운영체제의 기본 조건은 안정성 (Robustness)입니다.
xp가 기존 버전에 비해 안정성이 향상되었다는 자료가 많은데(사실인거 같네요^^; xp사용하다가 전처럼 그럼 블루스크린이 나타나거나 치명적오류라는 다시 부팅을 할수 밖에 없는 불가피한 일이 벌어지는 일은 극히 적어진것 같네요),운영체제에 있어 완벽한 안정성의 기준은 어떤 제한없이 계속 발전되어야 할 부분이므로,차기 버전이 어떤 Os이더라도 계속 발전될수있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두번째는 아래에 특정서비스에 대한 표준화에 대한 글도 나왔었는데요.
운영체제 역시 표준화에 부합되야 하는 것이겠지요. 어떤 특정 회사의 방침이나,이익을 따진 개발방향보다, 보편성이나 확장성(extensibility)과 이식성(portability) 이 고려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요.(아래에 특정하드웨어지원이나 특정언어에대한지원은 지양되어야겠지요)-->OS는 모든 소프트웨어의 기반 소프트웨어로 OS를 한 기업이 독점적으로 소유할 경우 정보사회의 한 축을 한 기업에서 독점적으로 소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세번째는 사용자위주의 향상된 서비스개선입니다.
운영체제에서 '..를 복구하시겠습니까?'혹은 '도움말을 참조하시겠습니까?'등의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아보신적이 있으신가요?(컴도사한테 한번 물어보는게 더 직빵입니다..^^;)또, 업데이트가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완벽한 업데이트를 보셨나요?
이 사항도 첫번째 조건과 같이 끝이 안보이는 작업이겠지만..늘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겠지요.
마지막 하나는 제 극히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PC의 성능이 급격히 향상됨에 따라, 워크스테이션과 PC의 구분이 점점 어려워지고 워크스테이션에 채용되던 운영체제 구성 기술들이 급격히 PC용 운영체제에 옮겨지고 있다고 하더라도,중대형 서버시장에서윈도우os의 자리는 비교적 적다고 봅니다.(사실상 실제 서버사용한개발들이윈도우계열에서 이루어지긴 한다지만요..) 물론 윈도우os가 클라이언트사용자를 주 대상으로 삼겠다면 이야기할 사항은 아니겠지만,서버기능이 추가 개선되는 점을 보니, 서버쪽 시장도 무시 못한다는 뜻인것 같은데요.(딱히 저에게 윈도우서버 와 중대형 서버의 차이를 꼬집어봐라..하면 그런 항목들을 조목조목 집어낼 정도의 내공은 없기때문에^^;) 사실 xp가 어떤기능이 훨씬 좋아졌더라 ..하더라도 아직 기업에서 xp를 서버도입으로 고려하고 있는 기업은 아직 많지 않지 않을까요?
따라서, 주장하고 싶은 점은 서버급 시장에서의 자리매김 즉 굳이 말한다면 서버쪽 기능에 대한 강화라고 해야 할까요??
이번 새로운 경고들은 또한 MS가 보안상 유출로 인해 2만명의 윈도우 베타 테스터들이 사용하는 웹 서버에 접속이 가능해졌다고 시인한 날과 같은 날 발표됐다. MS는 테스터들에게 그들의 패스워드를 바꿀 것을 권장했다.
4. 윈도우 xp의 향후 발전방향
닷넷 서버 2003의 개발이 거의 끝나가면서 MS는 윈도우 XP의 차기 버전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습니다. 현재의 사안은 윈도우 XP의 후속 제품의 출시일에 관한 것과 그 출시일에 맞춰서 자사의 데스크톱과 서버 제품들도 재조정한다는 결정에 관한 것입니다. MS관계자는 "왜 MS는 이 닷넷 서버 출시를 먼저 해결해야 할까? 왜냐하면 MS가 이 닷넷 서버 제품을 어느 정도 해결해놓기 전에는 윈도우의 차기 버전에 대해 초점을 완전히 맞추기는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차세대 윈도우가 어떤 것일지는 불확실합니다. 지금까지 MS에서는 차기 버전이 2004년도에 나오기로 계획된 '롱혼'이 될 것이라고 말해왔지만 현재 롱혼의 스케줄은 비공식적으로 2005년도로 밀려난 상태입니다. 또한 이 회사는 그 중간에 윈도우 XP의 새 버전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9월 윈도우를 담당하고 있는 경영자 짐 올친은 "나는 롱혼 프로젝트에 내 일과의 대부분을 사용한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롱혼이 출시되려면 아주 여러 해가 걸려야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소식통들은 현재 MS는 롱혼의 기능을 코드명 블랙콤이라는 또 다른 윈도우 버전과 통합하는 것에 대해 고려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전했습니다. 그렇게 되면 출시일은 또다시 2005년도 말이나, 2006년도까지 밀려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MS는 회사들이 할인된 가격으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살 수 있게 해주는 자사의 라이선싱 6라는 프로그램 때문에라도 윈도우 새 버전의 출시를 그렇게까지 늦출 수는 없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의하면 고객들은 2, 3년짜리 계약을 맺어서 일년 단위로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위해 미리 가격을 지급합니다. 이 때문에 MS가 그 계약 기간 동안 자사의 제품에 대한 새로운 버전을 출시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가트너 분석가 마이클 실버는 "고객들이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에 대해 이미 지불했는데 제품이 나오지 않는다면 불평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저희는 생각합니다. 라이선싱 6 때문데에 MS는 제품을 제 때에 출시해야만 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MS가 대량 라이선스 고객들도 만족시키고, 코드명 유콘의 SQL 서버의 차기 버전을 위한 운영체제 기능도 점검하기 위해 2003년 말이나 2004년에는 윈도우 XP의 임시 버전을 출시할 것이라고 많은 분석가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같이 시간표가 바뀌게 되면 윈도우의 데스크탑 및 서버 버전의 기본 기능과 출시일을 맞추기도 더 쉬울 것입니다. 예를 들면, MS는 윈도우 NT 4와 2000의 데스크톱과 서버 버전을 출시할 때 거의 동시에 출시했습니다. 하지만 MS는 이번에 윈도우 XP에 있어서는 서로 따로 하자는 전략입니다. 이유는 소비자용과 사업용 데스크톱 운영체제를 단일 코드 기반으로 만드는데 시간이 들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운영체제의 발전방향(xp가 되었던 어쨌든,)에 대해 생각해보자면,,
첫째, 시 운영체제의 기본 조건은 안정성 (Robustness)입니다.
xp가 기존 버전에 비해 안정성이 향상되었다는 자료가 많은데(사실인거 같네요^^; xp사용하다가 전처럼 그럼 블루스크린이 나타나거나 치명적오류라는 다시 부팅을 할수 밖에 없는 불가피한 일이 벌어지는 일은 극히 적어진것 같네요),운영체제에 있어 완벽한 안정성의 기준은 어떤 제한없이 계속 발전되어야 할 부분이므로,차기 버전이 어떤 Os이더라도 계속 발전될수있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 생각합니다.
두번째는 아래에 특정서비스에 대한 표준화에 대한 글도 나왔었는데요.
운영체제 역시 표준화에 부합되야 하는 것이겠지요. 어떤 특정 회사의 방침이나,이익을 따진 개발방향보다, 보편성이나 확장성(extensibility)과 이식성(portability) 이 고려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요.(아래에 특정하드웨어지원이나 특정언어에대한지원은 지양되어야겠지요)-->OS는 모든 소프트웨어의 기반 소프트웨어로 OS를 한 기업이 독점적으로 소유할 경우 정보사회의 한 축을 한 기업에서 독점적으로 소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세번째는 사용자위주의 향상된 서비스개선입니다.
운영체제에서 '..를 복구하시겠습니까?'혹은 '도움말을 참조하시겠습니까?'등의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을 받아보신적이 있으신가요?(컴도사한테 한번 물어보는게 더 직빵입니다..^^;)또, 업데이트가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완벽한 업데이트를 보셨나요?
이 사항도 첫번째 조건과 같이 끝이 안보이는 작업이겠지만..늘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겠지요.
마지막 하나는 제 극히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PC의 성능이 급격히 향상됨에 따라, 워크스테이션과 PC의 구분이 점점 어려워지고 워크스테이션에 채용되던 운영체제 구성 기술들이 급격히 PC용 운영체제에 옮겨지고 있다고 하더라도,중대형 서버시장에서윈도우os의 자리는 비교적 적다고 봅니다.(사실상 실제 서버사용한개발들이윈도우계열에서 이루어지긴 한다지만요..) 물론 윈도우os가 클라이언트사용자를 주 대상으로 삼겠다면 이야기할 사항은 아니겠지만,서버기능이 추가 개선되는 점을 보니, 서버쪽 시장도 무시 못한다는 뜻인것 같은데요.(딱히 저에게 윈도우서버 와 중대형 서버의 차이를 꼬집어봐라..하면 그런 항목들을 조목조목 집어낼 정도의 내공은 없기때문에^^;) 사실 xp가 어떤기능이 훨씬 좋아졌더라 ..하더라도 아직 기업에서 xp를 서버도입으로 고려하고 있는 기업은 아직 많지 않지 않을까요?
따라서, 주장하고 싶은 점은 서버급 시장에서의 자리매김 즉 굳이 말한다면 서버쪽 기능에 대한 강화라고 해야 할까요??
키워드
추천자료
운영체제의 개념과 그 이해
운영체제에 관한 보고서
[운영체제] 운영체제론 용어정리
운영체제 용어정리
운영체제
운영체제 리눅스의 정의와 특징
현재 32비트 운영체제에 비해 64비트 운영체제가 가지는 장점
SCSI(스카시)와 BUS, SCSI(스카시)의 개념, SCSI(스카시)의 등장 배경, SCSI(스카시)의 장점,...
[일본항공, 일본항공산업, 항공산업, 민영화, 노사관계]일본항공(일본항공산업)의 변천과정, ...
지방정부의 BSC(Balanced Score Card) 운영체제 및 BSC의 실무적 체계와 운영상의 이슈
[컴퓨터의 이해 공통] 1. 스마트 폰에 대하여 현재를 기준으로 아래의 사항을 A4 용지 2페이...
컴퓨터의이해1공통) 스마트폰 & QR코드에 대하여 서술 - 스마트폰의 정의와 대표적인 스...
[영어영문학과 공통] 1. 본인이 사용 중이거나 또는 최신 스마트폰을 1개 선정하고 아래의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