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진다.
그 후 마침내 藏(수)의 행보가 다가온다. 더 이상의 고밀도를 견딜 수 없는 우주는 대통합을 위한 작은 섬광과 함께 깊은 잠으로 빠져든다. 대우주 전체가 블랙홀(black hole)이 되는 것이다. 드디어 시간은 역전하며 급속히 태초의 시간대로 바뀌며 공간은 시야에서 사라진다."라고 상생으로 우주변화과정을 설명한다.
식물상극은 "줄기(목)는 꽃을 이기고, 꽃(토)은 뿌리(수)를 이기고, 뿌리(수)는 잎(화)을 이기고, 잎(화)은 열매(금)를 이기고, 열매(금)는 줄기(목)를 이기는 먹고 먹히는 힘의 사슬을 상극의 순환이라고 하는 것이다."라고 식물로 상극을 설명한다.
천적은 "어느 곳에 그 환경만 서식하는 특이한 동물이 있다고 하자. 그러면 그놈과 밀접한 관계에 밀접한 관계에 있으면서 일방적으로 그놈을 잡아먹는 천적의 동물이 존재하게 되어 있다. 이처럼 이기고 지는 관계의 두 동물이 함께 있으면 지는 동물이 절대로 멸종하지 않는다. 당하는 입장의 동물은 자신의 생명력을 보존하기 위해 끊임없이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노력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숙명적 필요악이 바로 천적이다."라고 천적을 필요극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지금까지 몇 가지 요소를 설명했지만 오행의 오묘함은 아직도 내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좀더 그 분야에 대해 알려면 음양과 오행의 오묘한 진리를 깨달아야 할 것이다. 오행은 뭘까? 라는 책이 그리 어렵게 나온 책이 아니지만 오행을 알려면 음양에 대해서도 알아야 할 것이다. 서두에서도 말한바와 같이 음양을 세분화하면 오행이 되듯 오행을 알기위해서는 음양도 알아야 할 것이다.
그 후 마침내 藏(수)의 행보가 다가온다. 더 이상의 고밀도를 견딜 수 없는 우주는 대통합을 위한 작은 섬광과 함께 깊은 잠으로 빠져든다. 대우주 전체가 블랙홀(black hole)이 되는 것이다. 드디어 시간은 역전하며 급속히 태초의 시간대로 바뀌며 공간은 시야에서 사라진다."라고 상생으로 우주변화과정을 설명한다.
식물상극은 "줄기(목)는 꽃을 이기고, 꽃(토)은 뿌리(수)를 이기고, 뿌리(수)는 잎(화)을 이기고, 잎(화)은 열매(금)를 이기고, 열매(금)는 줄기(목)를 이기는 먹고 먹히는 힘의 사슬을 상극의 순환이라고 하는 것이다."라고 식물로 상극을 설명한다.
천적은 "어느 곳에 그 환경만 서식하는 특이한 동물이 있다고 하자. 그러면 그놈과 밀접한 관계에 밀접한 관계에 있으면서 일방적으로 그놈을 잡아먹는 천적의 동물이 존재하게 되어 있다. 이처럼 이기고 지는 관계의 두 동물이 함께 있으면 지는 동물이 절대로 멸종하지 않는다. 당하는 입장의 동물은 자신의 생명력을 보존하기 위해 끊임없이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노력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숙명적 필요악이 바로 천적이다."라고 천적을 필요극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지금까지 몇 가지 요소를 설명했지만 오행의 오묘함은 아직도 내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좀더 그 분야에 대해 알려면 음양과 오행의 오묘한 진리를 깨달아야 할 것이다. 오행은 뭘까? 라는 책이 그리 어렵게 나온 책이 아니지만 오행을 알려면 음양에 대해서도 알아야 할 것이다. 서두에서도 말한바와 같이 음양을 세분화하면 오행이 되듯 오행을 알기위해서는 음양도 알아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