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측면이 인권을 낳았고, 그러한 인권의 부산물이 생태계 파괴다. 그러므로 근대 휴머니즘과 함께 기독교의 자연관도 비판만 할 수 없다. 우리가 자연을 극복하고 자연과 하나가 되어야 한다면 기독교의 자연관은 여전히 중요한 공헌을 한다.
더구나 성서에서 자연은 사람처럼 하나님의 피조물이라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피조물이란 하나님의 뜻 곧 로고스가 들어 있다는 얘기다. 하나님의 뜻이 들어 있는 자연을 어떻게 함부로 하는가? 그리고 자연에 로고스가 들어 있다면 사람과 자연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성서 정신에 들어있다.
물론 자연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에는 동양 사상이 큰 기여를 할 것이다. 그러나 자연의 회복이 인위의 파괴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기독교 정신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더구나 성서에서 자연은 사람처럼 하나님의 피조물이라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피조물이란 하나님의 뜻 곧 로고스가 들어 있다는 얘기다. 하나님의 뜻이 들어 있는 자연을 어떻게 함부로 하는가? 그리고 자연에 로고스가 들어 있다면 사람과 자연이 서로 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성서 정신에 들어있다.
물론 자연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데에는 동양 사상이 큰 기여를 할 것이다. 그러나 자연의 회복이 인위의 파괴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에서 기독교 정신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