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반편견 교육의 정의
2.반편견 교육의 목표
3.반편견 교육의 필요성
4.영역 편견의 시작 시기
5.Hall과 Rhomberg의 편견의 영역 10가지
6. 유아, 부모, 교사를 위한 반편견 교육
7. 반편견 교육의 실제
8. 반 편견 교육과정을 위한 환경 구성
9. 느낀점
10.반편견 교육을 위한 도서
2.반편견 교육의 목표
3.반편견 교육의 필요성
4.영역 편견의 시작 시기
5.Hall과 Rhomberg의 편견의 영역 10가지
6. 유아, 부모, 교사를 위한 반편견 교육
7. 반편견 교육의 실제
8. 반 편견 교육과정을 위한 환경 구성
9. 느낀점
10.반편견 교육을 위한 도서
본문내용
등
-문화적 다양성: 요리, 식습관, 일할 때의 도구와 옷들, 다양한 문화들을 모두 반영하여 보 여 주는 경축일에 이용되는 물건들, 학급 내 유아들의 다양한 가정과 다양한 집단의 물건 들
-특별한 도구: 다양하고 특별한 요구를 지닌 사람들이 이용하는 도구들을 가까이 하고 탐색 할 수 있도록 한다. (휠체어, 목발, 시각장애인 지팡이, 두꺼운 안경, 보청기 등)
-인형: 실제의 모습을 갖춘 여러 인종의 인형들, 다양한 옷을 입은 여자와 남자 인형들, 정 상인, 장애인을 나타내는 인형들을 포함해야 한다.
언어 영역
-성 역할, 인종적·문화적 배경, 특별한 요구와 능력, 직업의 범위, 연령의 범위 등의 다양 성을 반영해야 한다.
-정확한 이미지와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모든 집단의 사람들이 하는 일상생활 (일하는 것, 가족들과 함께 있는 것, 유아들과 관련 된 문제 해결하기, 축하하기 등)의 모습을 보여준다.
-집단 내의 유아들과 가정의 다양성을 묘사하여야 한다.
-다양한 가정의 생활형태와 종교, 경제적인 배경을 묘사하여야 한다.
-다양한 언어들을 보여주어야 한다. 브레일식 점자, 신호, 다른 나라 언어들로 이루어진 철 자 책들과 이야기들을 보여준다.
조형 미술 영역
-다양한 인종적·민족적 배경의 남자·여자들을 묘사해 내는 다양한 배경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음률 영역
-정기적으로 들려주는 음악은 여려 다양한 집단의 문화적 형태를 반영하여야 한다.
·수·조작놀이 영역
-다양한 인종, 민족, 성, 신체적인 능력, 직업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다.
9. 느낀점
지난 학기에 반 편견 교육을 처음 접했는데 그때 우리나라에 자료들이 너무 없다는 것을 느껴서 이번 과제는 다소 부담이 있었다. 반 편견 프로그램이 처음 미국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특별히 다루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라 미흡한 면이 많았고 그러한 반 편견 프로그램이 많이 없었다.
교사들이 다양한 자극으로 유아들이 장애아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역지사지의 정신을 길러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 자신이 명확한 판단이 있어야하고 반 편견을 실천하는 사람으로서 자기 교정이 있어야 유아들을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것을 생각하면서 이제까지 내가 얼마나 많은 편견을 갖고 사회를 살아왔는지 다시 한번 반성하는 기회도 되었다.
다문화 다민족 시대에서 사는 유아들에게 성인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을 심어주지 않고ㅡ 아직 그러한 개념이 없는 유아들에게 장애아도 우리와 같은 아이라는 사고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 우리 어른들의 가장 중요한 몫이라고 생각했다.
- 참고문헌 -
http://groups.msn.com/sungakids/page7.msnw
http://www.kuniverse.co.kr/adult/professional/anti-bias/anti1.htm
반편견 교육과정(어린이에게 대응능력을 길러주는 도구), 이경우 이은화, 창지사, 1999
유아교육과정 이기숙, 정민사, 2001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과 교육활동, 류진희, 양서원, 2001
반편견 교육과정을 통한 인간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 대회, 1998
10.기타
반편견 교육을 위한 도서
-반편견 관련 주제-
능력(장애)
신념(편견)
다른 사람 이해
편견에 대응하기
문제 해결
-반편견 관련 주제-
능력(청각장애)
가족
다른 사람 이해
의사 전달하는 방법(몸짓, 수화 등)
-반편견 관련 주제-
장애
편견에 대응하기
다른 사람 이해
협동
-반편견 관련 주제-
고정관념
양성성
문제해결
편견에 대응하기
-반편견 관련 주제-
다문화
문화간 유사성과 차이점
인종
민족적 정체성
-문화적 다양성: 요리, 식습관, 일할 때의 도구와 옷들, 다양한 문화들을 모두 반영하여 보 여 주는 경축일에 이용되는 물건들, 학급 내 유아들의 다양한 가정과 다양한 집단의 물건 들
-특별한 도구: 다양하고 특별한 요구를 지닌 사람들이 이용하는 도구들을 가까이 하고 탐색 할 수 있도록 한다. (휠체어, 목발, 시각장애인 지팡이, 두꺼운 안경, 보청기 등)
-인형: 실제의 모습을 갖춘 여러 인종의 인형들, 다양한 옷을 입은 여자와 남자 인형들, 정 상인, 장애인을 나타내는 인형들을 포함해야 한다.
언어 영역
-성 역할, 인종적·문화적 배경, 특별한 요구와 능력, 직업의 범위, 연령의 범위 등의 다양 성을 반영해야 한다.
-정확한 이미지와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모든 집단의 사람들이 하는 일상생활 (일하는 것, 가족들과 함께 있는 것, 유아들과 관련 된 문제 해결하기, 축하하기 등)의 모습을 보여준다.
-집단 내의 유아들과 가정의 다양성을 묘사하여야 한다.
-다양한 가정의 생활형태와 종교, 경제적인 배경을 묘사하여야 한다.
-다양한 언어들을 보여주어야 한다. 브레일식 점자, 신호, 다른 나라 언어들로 이루어진 철 자 책들과 이야기들을 보여준다.
조형 미술 영역
-다양한 인종적·민족적 배경의 남자·여자들을 묘사해 내는 다양한 배경의 예술가들의 작품을 전시한다.
·음률 영역
-정기적으로 들려주는 음악은 여려 다양한 집단의 문화적 형태를 반영하여야 한다.
·수·조작놀이 영역
-다양한 인종, 민족, 성, 신체적인 능력, 직업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다.
9. 느낀점
지난 학기에 반 편견 교육을 처음 접했는데 그때 우리나라에 자료들이 너무 없다는 것을 느껴서 이번 과제는 다소 부담이 있었다. 반 편견 프로그램이 처음 미국에서 출발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특별히 다루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라 미흡한 면이 많았고 그러한 반 편견 프로그램이 많이 없었다.
교사들이 다양한 자극으로 유아들이 장애아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역지사지의 정신을 길러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 자신이 명확한 판단이 있어야하고 반 편견을 실천하는 사람으로서 자기 교정이 있어야 유아들을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것을 생각하면서 이제까지 내가 얼마나 많은 편견을 갖고 사회를 살아왔는지 다시 한번 반성하는 기회도 되었다.
다문화 다민족 시대에서 사는 유아들에게 성인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을 심어주지 않고ㅡ 아직 그러한 개념이 없는 유아들에게 장애아도 우리와 같은 아이라는 사고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 우리 어른들의 가장 중요한 몫이라고 생각했다.
- 참고문헌 -
http://groups.msn.com/sungakids/page7.msnw
http://www.kuniverse.co.kr/adult/professional/anti-bias/anti1.htm
반편견 교육과정(어린이에게 대응능력을 길러주는 도구), 이경우 이은화, 창지사, 1999
유아교육과정 이기숙, 정민사, 2001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실습과 교육활동, 류진희, 양서원, 2001
반편견 교육과정을 통한 인간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 대회, 1998
10.기타
반편견 교육을 위한 도서
-반편견 관련 주제-
능력(장애)
신념(편견)
다른 사람 이해
편견에 대응하기
문제 해결
-반편견 관련 주제-
능력(청각장애)
가족
다른 사람 이해
의사 전달하는 방법(몸짓, 수화 등)
-반편견 관련 주제-
장애
편견에 대응하기
다른 사람 이해
협동
-반편견 관련 주제-
고정관념
양성성
문제해결
편견에 대응하기
-반편견 관련 주제-
다문화
문화간 유사성과 차이점
인종
민족적 정체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