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령기의 의의(Concept)
2. 부모와의 관계
3. 학령기의 발달과제와 부모의 역할
4. 교사와의 관계
5. 학령기의 교사의 역할
2. 부모와의 관계
3. 학령기의 발달과제와 부모의 역할
4. 교사와의 관계
5. 학령기의 교사의 역할
본문내용
사랑하고 존경하며, 그들이 학교생활을 하는 데 성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학생들의 자존감을 키워주며, 교사가 아동들을 도덕적으로 대함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도덕성이 무엇인지를 경험할 수 있게 해 준다.
2. 교사는 본보기가 될 수 있다. 교사는 교실 안팎에서 높은 수준의 존중과 책임감을 시범보이는 윤리적인 사람이다. 교사는 또한 학교 생활과 크게는 세상살이 속에서 도덕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에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도덕적 관심과 도덕적 추론의 본보기가 될 수 있다.
3. 교사는 윤리적인 스승이 될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다른 사람들이나 자기 자신에게 해를 입혔을 때 설명, 학급 토론, 이야기 해 주기, 개인적인 격려, 그리고 교정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도덕적 가르침과 지도를 제공해 준다.
교사의 역할을 4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면 다음과 같다.
1) 양육자로서의 역할
교사는 어린이의 건강을 돌보고 안전을 지켜주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사랑과 위안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최대한 가정과 같은 분위기 속에 넣을 수 있어야 한다. 양육뿐 아니라 어린이의 교육적 요구가 무엇인지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자칫 양육에만 치우칠 때는 모든 프로그램이 그 성과를 다하게 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교수자로서의 역할
교사의 역할은 크게 두가지 모습을 지닌다. 첫째는 지식전달자의 입장이다. 책이나 전시물, 시청각 보조물을 통해 교수활동을 하며 이야기하고 시범을 보이는 일을 하는 것은 직접적 교수방법이다.
이와는 달리 어린이의 반응이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간접적인 교수방법이 있다. 즉 학습상황을 창의적으로 만들거나, 교수자원을 어린이에게 직접 만나게 해 주거나, 현실에서 어린이가 감지한 것을 사고하도록 이끄는 질문을 던지는 일 등이다. 이 방법은 그가 감지하고 있는 세계에 직접 작용하여 자신의 지식을 창조해 주는 근거가 된다.
3) 안내자로서의 역할 (상호작용자)
교사는 아동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런 상호작용의 가치는 어떤 특정수업의 실제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교사는 아동의 안내자로서 도움자로서 봉사해야 한다. 아동이 신뢰감을 지닐 수 있도록 교실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아동이 한 사람의 학습자로, 하나의 인간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도와주고, 의사결정의 안내자는 물론 학습을 돕는 풍부한 환경의 제시자가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교사는 어린이에게 따뜻함을 주고 마음의 지주가 되어 주어야 한다. 아동이 현재 있는 그대로의 모습대로 받아들여져 강인함과 취약함을 모두 지닌 전인적인 인간으로 교사에게 받아들여져야 한다 . 어린이와의 개별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교사는 그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
교육자들은 보조교사, 혹은 기타 교사를 돕는 인적 자원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역할 구분을 강력히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향은 의사결정자로서의 교사역할을 설명해 주는 좋은 근거가 된다.
대부분 교사 보조자들은 거의 교사대리자로서 행동을 하게 된다. 전문가와 전문 보조자 사이의 중요한 차이는 성인과 아동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종류에 있는 것이 아니고 이런 행동들에 수반되는 책임문제에 있다. 보조자들이 교사의 일을 많이 돕고는 있지만 교실내 활동에 대해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그 학습을 책임짓는 사람은 교사인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아동에 대한 올바른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란 따뜻한 사랑을 기본으로 아동에게 관심을 가지며 지켜봐주는 역할이라고 생각된다. 못한다고 혼내거나 해주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잘해낼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독립성과 책임감을 길러주는 역할을 해야하며, 건전한 사고형성을 이루도록 도와줘야 하고 성의 적절한 사회적 역할을 학습시켜주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Reperance
인간성장·발달과 건강 김계숙 저 신광출판사 1995년
아동심리학 김경희 저 박영사 1991년
아동의 성장·발달과 양육 Elizabeth B. Hurlock 양서원 1992년
http://my.netian.com/~hewadal2/menu/kinder/baby3.htm
http://www.ks.ac.kr/~jhpark/ceteach1.htm
http://myhome.hananet.net/~kjkm/data3-3.htm
http://home.hanmir.com/~cheyuk/4-50.htm
http://www..drchoi.pe.kr/develop5html
2. 교사는 본보기가 될 수 있다. 교사는 교실 안팎에서 높은 수준의 존중과 책임감을 시범보이는 윤리적인 사람이다. 교사는 또한 학교 생활과 크게는 세상살이 속에서 도덕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에 반응하는 것에 의하여 도덕적 관심과 도덕적 추론의 본보기가 될 수 있다.
3. 교사는 윤리적인 스승이 될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다른 사람들이나 자기 자신에게 해를 입혔을 때 설명, 학급 토론, 이야기 해 주기, 개인적인 격려, 그리고 교정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도덕적 가르침과 지도를 제공해 준다.
교사의 역할을 4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면 다음과 같다.
1) 양육자로서의 역할
교사는 어린이의 건강을 돌보고 안전을 지켜주는 사람이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사랑과 위안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최대한 가정과 같은 분위기 속에 넣을 수 있어야 한다. 양육뿐 아니라 어린이의 교육적 요구가 무엇인지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자칫 양육에만 치우칠 때는 모든 프로그램이 그 성과를 다하게 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교수자로서의 역할
교사의 역할은 크게 두가지 모습을 지닌다. 첫째는 지식전달자의 입장이다. 책이나 전시물, 시청각 보조물을 통해 교수활동을 하며 이야기하고 시범을 보이는 일을 하는 것은 직접적 교수방법이다.
이와는 달리 어린이의 반응이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간접적인 교수방법이 있다. 즉 학습상황을 창의적으로 만들거나, 교수자원을 어린이에게 직접 만나게 해 주거나, 현실에서 어린이가 감지한 것을 사고하도록 이끄는 질문을 던지는 일 등이다. 이 방법은 그가 감지하고 있는 세계에 직접 작용하여 자신의 지식을 창조해 주는 근거가 된다.
3) 안내자로서의 역할 (상호작용자)
교사는 아동과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런 상호작용의 가치는 어떤 특정수업의 실제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교사는 아동의 안내자로서 도움자로서 봉사해야 한다. 아동이 신뢰감을 지닐 수 있도록 교실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아동이 한 사람의 학습자로, 하나의 인간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도와주고, 의사결정의 안내자는 물론 학습을 돕는 풍부한 환경의 제시자가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교사는 어린이에게 따뜻함을 주고 마음의 지주가 되어 주어야 한다. 아동이 현재 있는 그대로의 모습대로 받아들여져 강인함과 취약함을 모두 지닌 전인적인 인간으로 교사에게 받아들여져야 한다 . 어린이와의 개별적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교사는 그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
교육자들은 보조교사, 혹은 기타 교사를 돕는 인적 자원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역할 구분을 강력히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향은 의사결정자로서의 교사역할을 설명해 주는 좋은 근거가 된다.
대부분 교사 보조자들은 거의 교사대리자로서 행동을 하게 된다. 전문가와 전문 보조자 사이의 중요한 차이는 성인과 아동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종류에 있는 것이 아니고 이런 행동들에 수반되는 책임문제에 있다. 보조자들이 교사의 일을 많이 돕고는 있지만 교실내 활동에 대해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그 학습을 책임짓는 사람은 교사인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아동에 대한 올바른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란 따뜻한 사랑을 기본으로 아동에게 관심을 가지며 지켜봐주는 역할이라고 생각된다. 못한다고 혼내거나 해주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잘해낼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독립성과 책임감을 길러주는 역할을 해야하며, 건전한 사고형성을 이루도록 도와줘야 하고 성의 적절한 사회적 역할을 학습시켜주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Reperance
인간성장·발달과 건강 김계숙 저 신광출판사 1995년
아동심리학 김경희 저 박영사 1991년
아동의 성장·발달과 양육 Elizabeth B. Hurlock 양서원 1992년
http://my.netian.com/~hewadal2/menu/kinder/baby3.htm
http://www.ks.ac.kr/~jhpark/ceteach1.htm
http://myhome.hananet.net/~kjkm/data3-3.htm
http://home.hanmir.com/~cheyuk/4-50.htm
http://www..drchoi.pe.kr/develop5html
추천자료
아동기 어린이의 사회성발달과 정서발달, 아동기 어린이의 생활지도 이론, 거짓말하는 아동(...
아동발달의 개념과 아동기의 네 단계(태내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에 따른 주요발달현상...
아동발달의 개념과 아동기의 네 단계에 따른 주요 발달 현상과 발달에 관한 중요한 쟁점들 에...
[아동 발달] 아동기 신체발달 - 아동기의 일반적 이해, 신체발달(신체구조, 치아 및 시각, 두...
아동기의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의 특징을 각기 제시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
유아기와 아동기 (유아기의 개념과 발달적 특성 및 연령에 따른 발달, 걸음마기 개념과 발달...
[영유아嬰乳兒발달] 아동연구의 역사와 발달단계 - 아동기의 구분, 인간 발달단계...
[영유아발달] 아동의 신체발달과 운동발달의 특징 및 체력 요소 - 신체적 발달, 운동기능의 ...
[아동기 성역할 발달] 아동기 성역할 발달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예시 2가지를 자신의 입...
아동기 신체발달(아동기 신체크기 및 구조, 아동기 운동발달 및 건강관리)
아동기의 행동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 ...
[부모교육 A형] 유아기 및 아동기 발달특성을 영역별로 설명하고 유아기 및 아동기 발달시기...
[부모교육 A형] 유아기 및 아동기 발달특성을 영역별로 설명하고 유아기 및 아동기 발달시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