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가설(Hypothesis)
제 1종의 오류(TypeⅠ Error)와 제 2종의 오류(TypeⅡ Error)
2.검정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모평균 차이에 대한 검정
대응비교(Paired T-test)
가설(Hypothesis)
제 1종의 오류(TypeⅠ Error)와 제 2종의 오류(TypeⅡ Error)
2.검정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모평균 차이에 대한 검정
대응비교(Paired T-test)
본문내용
over {S_p {root{ 1 over n_1 + 1 over n_2 }}} ~∼~ t(n_1 + n_2 -2)
,
다만
S_p = root {{ (n_1 -1 ) S_1^2 + (n_2 -1) S_2^2 } over {n_1 + n_2 -2 }}
④ 기각역을 정한다.
H_1 ~:~ mu_1 > mu_2
일 때,
T>= t_alpha (n_1 + n_2 -2)
H_1 ~:~ mu_1 < mu_2
일 때,
T<= -t_alpha (n_1 +n_2 -2)
H_1 ~:~ mu_1 != mu_2
일 때,
vert T vert <= t_alpha/2 (n_1 + n_2 -2)
⑤ 검정통계량
T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기각여부를
결정한다.
한 페인트제조회사에서는 신상품의 유성페인트를 개발했으며 기존의 페인트보다 빠르게 마른다고 선전하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상품과 신상품을 각각 5 종류의 벽에 칠한 후 건조 시간을 측정한 결과 아래의 표를 얻었다. 신상품은 기존의 인기 상품보다 유의 수준 95%에서 건조시간에서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는가?
인기상품
X_1
신상품 (
X_2
)
48
46
44
46
43
42
43
45
44
43
①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운다.
H_0 ~:~ mu_1 =mu_2
H_1 ~:~ mu_1 > mu_2
② 유의수준
alpha
를 설정한다.
alpha =0.05
③ 검정통계량
T
값을 구한다.
BAR X_1 = 45.4
,
BAR X_2 =43.4
,
S_p = 2.55
T= {bar X_1 - bar X_2 } over {S_p {root{ 1 over n_1 + 1 over n_2 }}} = 1.98
④ 기각역을 정한다.
vert T vert >= t_0.05 (8) =1.86
⑤ 검정통계량
T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기각여부를 결정한다.
t_0.05 (8)=1.86 < 1.98
H_0
를 기각한다. 즉 신상품은 기존의 상품보다 건조시간에 있어서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1.2.3. 대응비교(Paired T-test)
앞 절에서 배운 내용은 두 표본이 두 모집단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추출된 경우였다. 그러나 어느 실험에서 두 실험을 비교하고자 할 때에는 동질적인 실험단위를 얻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정 두통약이 사용자의 혈압을 저하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할 때, 사용자 20명을 랜덤하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 전, 후를 관찰하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나이 등의 이유로 혈압의 저하에 변동이 심할 경우에 실제로는 혈압을 저하시키면서
S_p
의 값이 커지므로 이러한 차이를 판별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응 개념을 이용한다. 즉 실험단위를 동질적인 쌍으로 묶은 다음, 각 쌍의 실험단위에서 랜덤하게 선택하여 두 처리를 적용하고, 각 쌍에서 관측값의 차를 이용하여 두 모평균의 차에 관한 추론 문제를 다룰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을 대응 비교라고 한다.
대응비교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2
n
처리 1 (
X_1
)
X_11
X_21
cdots cdots
X_1n
처리 2 (
X_2
)
X_12
X_22
cdots cdots
X_2n
차이(
D =X_1 - X_2
)
D_1
D_2
cdots cdots
D_n
이와 같이 추출된
X_1i
와
X_2i
의 차로 만들어진
D_i
들은
X_1
과
X_2
가 정규분포를 따를 때,
H_0 ~ :~ mu_1 = mu_2
하에서 0에 관하여 대칭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D_i
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두 평균의 비교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먼저
D_1 ,D_2 , cdots , D_n
의 표본평균과 표본분산은 다음과 같다.
bar D = sum from i=1 to n D_i
,
S_D ^2 = {sum from i=1 to n (D_i - bar D ) ^2} over{ n-1}
①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운다.
H_0 ~:~ mu_1 =mu_2
H_1 ~:~ mu_1 = mu_2
(또는
mu > mu_0
,
mu_1 < mu_2
)
② 유의수준
alpha
를 설정한다.
③ 검정통계량
T
값을 구한다.
대표본일 경우 :
Z = bar D over {S_D / root n}
소표본일 경우 :
T = bar D over {S_D / root n}
④ 기각역을 정한다.
⑤ 검정통계량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기각여부를
결정한다.
특정 두통약 사용자의 혈압을 저하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0명을 대상으로 두통약 사용 전, 후의 혈압을 측정한 결과 다음의 자료를 얻었다.
번 호
1
2
3
4
5
6
7
8
9
10
사용전(
X_1
)
75
80
72
76
70
80
78
82
90
85
사용후(
X_2
)
70
78
75
70
65
80
70
80
85
86
이 자료에 의하면, 두통약은 유의수준 95%에서 혈압을 저하시킨다고 할 수 있는가?
①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운다.
H_0 ~:~ mu_1 =mu_2
H_1 ~:~ mu_1 > mu_2
번 호
1
2
3
4
5
6
7
8
9
10
사용전(
X_1
)
75
80
72
76
70
80
78
82
90
85
사용후(
X_2
)
70
78
75
70
65
80
70
80
85
86
차 이(
D_1
)
5
2
-3
6
-5
0
8
2
5
-1
② 유의수준
alpha
를 설정한다.
alpha = 0.05
③ 검정통계량
T
값을 구한다. 소표본이므로
t-Test
를 한다.
Bar D =2.9
,
S_D = 3.48
T &= bar D over {S_D / root n} = 2.64
④ 기각역을 정한다.
t_0.05 (9) = 1.833
⑤ 검정통계량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기각여부를 결정한다.
t_0.05 (9) = 1.833 < 2.64
H_0
를 기각한다. 즉 두통약은 혈압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다만
S_p = root {{ (n_1 -1 ) S_1^2 + (n_2 -1) S_2^2 } over {n_1 + n_2 -2 }}
④ 기각역을 정한다.
H_1 ~:~ mu_1 > mu_2
일 때,
T>= t_alpha (n_1 + n_2 -2)
H_1 ~:~ mu_1 < mu_2
일 때,
T<= -t_alpha (n_1 +n_2 -2)
H_1 ~:~ mu_1 != mu_2
일 때,
vert T vert <= t_alpha/2 (n_1 + n_2 -2)
⑤ 검정통계량
T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기각여부를
결정한다.
한 페인트제조회사에서는 신상품의 유성페인트를 개발했으며 기존의 페인트보다 빠르게 마른다고 선전하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상품과 신상품을 각각 5 종류의 벽에 칠한 후 건조 시간을 측정한 결과 아래의 표를 얻었다. 신상품은 기존의 인기 상품보다 유의 수준 95%에서 건조시간에서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는가?
인기상품
X_1
신상품 (
X_2
)
48
46
44
46
43
42
43
45
44
43
①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운다.
H_0 ~:~ mu_1 =mu_2
H_1 ~:~ mu_1 > mu_2
② 유의수준
alpha
를 설정한다.
alpha =0.05
③ 검정통계량
T
값을 구한다.
BAR X_1 = 45.4
,
BAR X_2 =43.4
,
S_p = 2.55
T= {bar X_1 - bar X_2 } over {S_p {root{ 1 over n_1 + 1 over n_2 }}} = 1.98
④ 기각역을 정한다.
vert T vert >= t_0.05 (8) =1.86
⑤ 검정통계량
T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기각여부를 결정한다.
t_0.05 (8)=1.86 < 1.98
H_0
를 기각한다. 즉 신상품은 기존의 상품보다 건조시간에 있어서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1.2.3. 대응비교(Paired T-test)
앞 절에서 배운 내용은 두 표본이 두 모집단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추출된 경우였다. 그러나 어느 실험에서 두 실험을 비교하고자 할 때에는 동질적인 실험단위를 얻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정 두통약이 사용자의 혈압을 저하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할 때, 사용자 20명을 랜덤하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 전, 후를 관찰하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나 나이 등의 이유로 혈압의 저하에 변동이 심할 경우에 실제로는 혈압을 저하시키면서
S_p
의 값이 커지므로 이러한 차이를 판별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응 개념을 이용한다. 즉 실험단위를 동질적인 쌍으로 묶은 다음, 각 쌍의 실험단위에서 랜덤하게 선택하여 두 처리를 적용하고, 각 쌍에서 관측값의 차를 이용하여 두 모평균의 차에 관한 추론 문제를 다룰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을 대응 비교라고 한다.
대응비교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2
n
처리 1 (
X_1
)
X_11
X_21
cdots cdots
X_1n
처리 2 (
X_2
)
X_12
X_22
cdots cdots
X_2n
차이(
D =X_1 - X_2
)
D_1
D_2
cdots cdots
D_n
이와 같이 추출된
X_1i
와
X_2i
의 차로 만들어진
D_i
들은
X_1
과
X_2
가 정규분포를 따를 때,
H_0 ~ :~ mu_1 = mu_2
하에서 0에 관하여 대칭인 정규분포를 따른다.
D_i
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두 평균의 비교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먼저
D_1 ,D_2 , cdots , D_n
의 표본평균과 표본분산은 다음과 같다.
bar D = sum from i=1 to n D_i
,
S_D ^2 = {sum from i=1 to n (D_i - bar D ) ^2} over{ n-1}
①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운다.
H_0 ~:~ mu_1 =mu_2
H_1 ~:~ mu_1 = mu_2
(또는
mu > mu_0
,
mu_1 < mu_2
)
② 유의수준
alpha
를 설정한다.
③ 검정통계량
T
값을 구한다.
대표본일 경우 :
Z = bar D over {S_D / root n}
소표본일 경우 :
T = bar D over {S_D / root n}
④ 기각역을 정한다.
⑤ 검정통계량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기각여부를
결정한다.
특정 두통약 사용자의 혈압을 저하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0명을 대상으로 두통약 사용 전, 후의 혈압을 측정한 결과 다음의 자료를 얻었다.
번 호
1
2
3
4
5
6
7
8
9
10
사용전(
X_1
)
75
80
72
76
70
80
78
82
90
85
사용후(
X_2
)
70
78
75
70
65
80
70
80
85
86
이 자료에 의하면, 두통약은 유의수준 95%에서 혈압을 저하시킨다고 할 수 있는가?
①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운다.
H_0 ~:~ mu_1 =mu_2
H_1 ~:~ mu_1 > mu_2
번 호
1
2
3
4
5
6
7
8
9
10
사용전(
X_1
)
75
80
72
76
70
80
78
82
90
85
사용후(
X_2
)
70
78
75
70
65
80
70
80
85
86
차 이(
D_1
)
5
2
-3
6
-5
0
8
2
5
-1
② 유의수준
alpha
를 설정한다.
alpha = 0.05
③ 검정통계량
T
값을 구한다. 소표본이므로
t-Test
를 한다.
Bar D =2.9
,
S_D = 3.48
T &= bar D over {S_D / root n} = 2.64
④ 기각역을 정한다.
t_0.05 (9) = 1.833
⑤ 검정통계량 값이 기각역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하여 기각여부를 결정한다.
t_0.05 (9) = 1.833 < 2.64
H_0
를 기각한다. 즉 두통약은 혈압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집중경향치와 변산도
대학생의 신용카드 사용의 실태 (소비자행동 마케팅
한·미 은행고객의 지속적 인터넷뱅킹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분석
설문조사 가이드 (설문지 작성방법과 질문의 예)
회귀분석
스포츠마케팅의새로운도전과과제
공무원 시험 경쟁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회귀분석
2010년 1학기 행정계량분석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경영분석을위한기초통계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행정계량분석 기말시험 핵심체크
176.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_AMOS18_SEM_인과관계분석_구조방정...
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대한 분석(spss).pptx
2017년 1학기 경영분석을위한기초통계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경영분석을위한기초통계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