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 <월마트> 사례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 - <월마트>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거시환경분석

3. 경쟁자분석

4. 소비자분석

5. 자사환경분석

6. SWOT분석

7. STP분석

8. 4P전략

9. 맺는말

☞ 해당 자료는 한글2002로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다운받으시는 회원님 컴퓨터에 한글2002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어있어야 정상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련시책과 실효성 있는 지원제도를 보강하기 위해 관련법 개정안을 제출되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산업자원부 공고 제2001-172호 참조
Ⅲ. 경쟁자 분석
1. 직접적 경쟁 상품
미국 월마트 역사는 30년 이상이지만, 한국 월마트의 경우는 겨우 5년에 불과하다. 시장의 성장과 market share의 선점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시장 선도군의 기업들의 상황과 전략들을 알아보는 것은 후발주자인 월마트에게 매우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대형 할인 매장 중 매출, 점포 수에서 선두 그룹을 달리는 속칭 Big 4-이마트, 롯데마트, 까르푸, 삼성 홈 플러스-를 우리의 경쟁자로 선정, 이들을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1) 각사의 점포수와 매출액
순위
개점연도
1993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5(예상치)
1
이마트
1
6
9
13
19
27
41
49
81
2
롯데마트
3
8
17
24
32
62
3
까르푸
3
3
6
11
20
22
25
38
4
홈플러스
1
1
2
7
14
21
55
현재 월마트와 경쟁하고 있는 상위 4사의 점포수 변화와 예상치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할인점으로 이마트의 창동점이 1993년에 문을 열었다. 1996년엔 프랑스계 기업인 까르푸가 3개의 점포를 열며 우리나라 시장에 진입하였다. 홈플러스는 1997년 대구점을 시작으로 진입하였다. 1999년엔 영국 최대의 식품, 잡화 판매회사인 테스코와 합작하여 삼성테스코가 되었다. 까르푸는 1996년 서울 중동에 1호점을 개설하였다. 롯데마트는 1998년 다른 회사보다 약간 늦게 진출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롯데마트와 홈플러스가 매장을 적극적으로 늘려 수에서 까르푸를 추월하였다. 2005년에도 이마트가 확고한 1위를 지킬것으로 예상되고 롯데마트,홈플러스가 그 뒤를 추격할 것으로 보인다.
(단위:10억원)
2000년
2001년
2002년
이마트
2,359
3,430
5,600
롯데마트
1,012
1,274
2,300
까르푸
1,039
1,149
2,000
홈플러스
563
1,256
2,400
매출액 측면에서 보면 2002년 현재 이마트가 1위, 나머지 3사가 2조원 수준을 보이고 있다. 2000년에서 2001년으로 넘어가면서 홈플러스의 매출이 2배로 늘어나는데 이것은 매장수가 2배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2002년 홈플러스가 롯데마트를 추월하였는데, 매장숫자로 비교하면 오히려 10개나 적다. 점포당 매출과 평당 매출에서 홈플러스가 상당한 우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2) 각사의 주요 매출 지표
구분
점포수
연간매출액 (억원)
매장 총면적 (평)
점포당
매출 지표(백만원)
면적(평)
연간매출액(억원)
1일 점포당 매출액
연간 매출액
1일 평당 (천원)
이마트
41
34,300
116,512
2,842
836.6
232.4
29.4
81.8
롯데마트
24
12,743
70,059
2,919
531
181.9
18.2
52.8
까르푸
22
11,490
79,397
3,609
522.3
145.1
14.5
40.2
홈플러스
14
12,562
47,102
3,364
897.3
249.3
26.7
74.1
업계 1위인 이마트가 전체적인 부분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 1일 점포당 매출에서 홈플러스가 이마트보다 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은 매장이 평균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까르푸의 순으로 평당 매출수준을 보여주고 있는데, 유독 까르푸의 수준이 낮다. 까르푸의 평균 매장 면적은 가장 큰데, 매장 당 매출이 낮다. 효율적인 매장 활용에서 뒤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3) 수익률 비교
1999년 순익
2000년 순익
2001년 순익
2002년 순익
이마트
22,204
69,748
188,964
246,167
롯데 마트
59,239
149,785
222,003
250,996
까르푸
-8,898
23,910
25,532
6,922
삼성홈플러스
-5,333
-36,674
-38,329
38,667
 여기서 이마트와 롯데마트는 모기업인 신세계백화점과 롯데백화점의 수치를 포함했다.
 1999년엔 롯데마트의 순익이 이마트의 2배 이상인데, 2002년엔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롯데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순익에 대한 기여가 변 화가 없다고 가정한다면, 이것은 할인점 업계에서의 급성장이 가져온 결과라 할 수 있다. 2003년엔 신세계가 유통업계에서 롯데를 누르고 1위 로 오를 것이다. 까르푸는 2000년 적자를 벗어난후 지속적인 흑자를 보이고 있다. 홈플러스는 2002년에서야 순익을 내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1999~2001년 사이의 급격한 점포확장 때문이다. 2년사이에 점포수가 2개에서 14개로 7배 증가했다.
4) 각 사의 PB (Private Brand) 상품
PB 상품이란 할인점 자체에서 상표를 만들어 파는 상품을 말한다. PB 상품이 좋은 점은 광고비,판촉비등이 타사 브랜드 제품보다 적게 들기 때문에 이익을 많이 남길수 있는 점이다. 비용이 적은 것을 가격으로 환원하여 더 싸게 더 많이 팔수 있다. 이마트가 이부분에서 가장 앞서고 있다. 이마트의 높은 수익률의 한 원인이다.
2. 각 할인점 분석
1) 이마트 -최고의 매출을 자랑하는 국내 토종 할인점
① 입지선점
현재 대형 할인점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달리고 있는 이마트는 전국 최대의 점포망을 구축하고 있다. 이마트의 입지 선점은 저코스트의 운영과 제조업체에 대한 교섭력, 즉 유통 과정에서의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타 업체보다 저렴한 가격의 상품 공급으로 이어가고 있다.
② MD 차별화
이마트가 최고의 할인점으로 자리잡은 또다른 이유는 다른 할인점과 달리 의류를 위시한 상품 구성면에서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을 최대한 고려했기 때문이다. 이마트는 저렴하고 다양한 상품을 구비하여, 기존의 백화점과 재래시장에 익숙한 국내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는 상품을 제공하였다. 또한 IMF이후 실속 구매를 선호하는 소비패턴에 맞추어 의류제조 회사와 협력, 소비자 니즈에 맞는 저렴한 신상품을 집중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의류매장을 섹션 매장으로 만들어 조명, 집기, 디스플레이를 강화하고 전문사원을 배

키워드

마케팅,   월마트,   swot,   stp,   이마트,   4P
  • 가격3,0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03.11.05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0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