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 들어가며-유학의 필요성
2 유학의 출발과 종점
3. 유학정보검색 방법
1 들어가며-유학의 필요성
2 유학의 출발과 종점
3. 유학정보검색 방법
본문내용
cience", "Information Study"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간혹 컴퓨터공학전공에서 "information retrieval"로도 표현됩니다.
내가 원하는 전공을 선택하기 위해 위 그림에서 "Admissions & Student Services"부분을 클릭하여 열거된 대학원과정가운데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을 선정한다.
5) 해당 위치에서 입학에 따른 조건을 알기 위해 "Course & Program"을 다음과 같이 선택한다.
6) 해당 내용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입수한다.(교수의 전공, 개설과목 등)
이상의 예는 해당 정보 입수의 간단한 예입니다. 이를 간단히 단계별로 개조식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 모든 대학은 웹사이트를 갖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는 웹사이트 주소가 대부분 "edu"로 끝납니다. 물론 일반 대학이 아닐 경우에도 "edu"기호가 붙는 연구기관이 있습니다. 대학명이 비슷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대학명으로 찾기 보다는 지역으로 찾거나 학과명(전공명)으로 찾는 것이 좋습니다.
- 키워드(학과명 등)검색보다는 디렉토리 검색이 바람직합니다. 왜냐하면 전공에 이형정보가 많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경우도 정치외교학과가 국제관계학과, 정치학과, 외교학과, 국제선린학과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키워드로 정치외교학과를 검색할 경우에 학생 본인이 원하는 정보를 놓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원하는 대학에 접근하면, 여러분들은 대학졸업후 대부분 대학원(석사과정)과정에 진학하는 것이지 학부에 진학하는 것이 아니란 것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학원과 학부는 입학에 대한 요구성적과 공식시험(토플 등), 등록금의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학원과정을 보시기 바랍니다. 간혹 학부에는 없지만 대학원에는 개설된 전공이 있습니다.
- 공식성적을 원하는 경우는 그 대학의 전체적인 기준이 있으며 이는 학과나 학부에서 요구하는 것이 아니란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즉, 대학교(혹은 대학원) 본부에 공식시험에 관한 기준과 정보가 있으며, 등록금 및 장학금, 기숙사 제도에 관한 정보가 있습니다. 전공학과에서는 교수나 전공과목에 대한 정보가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특정 대학웹사이트에서 반드시 학과와 본부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함께 열람하여야 합니다.r
내가 원하는 전공을 선택하기 위해 위 그림에서 "Admissions & Student Services"부분을 클릭하여 열거된 대학원과정가운데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을 선정한다.
5) 해당 위치에서 입학에 따른 조건을 알기 위해 "Course & Program"을 다음과 같이 선택한다.
6) 해당 내용에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입수한다.(교수의 전공, 개설과목 등)
이상의 예는 해당 정보 입수의 간단한 예입니다. 이를 간단히 단계별로 개조식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 모든 대학은 웹사이트를 갖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는 웹사이트 주소가 대부분 "edu"로 끝납니다. 물론 일반 대학이 아닐 경우에도 "edu"기호가 붙는 연구기관이 있습니다. 대학명이 비슷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대학명으로 찾기 보다는 지역으로 찾거나 학과명(전공명)으로 찾는 것이 좋습니다.
- 키워드(학과명 등)검색보다는 디렉토리 검색이 바람직합니다. 왜냐하면 전공에 이형정보가 많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경우도 정치외교학과가 국제관계학과, 정치학과, 외교학과, 국제선린학과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어 키워드로 정치외교학과를 검색할 경우에 학생 본인이 원하는 정보를 놓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원하는 대학에 접근하면, 여러분들은 대학졸업후 대부분 대학원(석사과정)과정에 진학하는 것이지 학부에 진학하는 것이 아니란 것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학원과 학부는 입학에 대한 요구성적과 공식시험(토플 등), 등록금의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학원과정을 보시기 바랍니다. 간혹 학부에는 없지만 대학원에는 개설된 전공이 있습니다.
- 공식성적을 원하는 경우는 그 대학의 전체적인 기준이 있으며 이는 학과나 학부에서 요구하는 것이 아니란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즉, 대학교(혹은 대학원) 본부에 공식시험에 관한 기준과 정보가 있으며, 등록금 및 장학금, 기숙사 제도에 관한 정보가 있습니다. 전공학과에서는 교수나 전공과목에 대한 정보가 있을 뿐입니다. 따라서 특정 대학웹사이트에서 반드시 학과와 본부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함께 열람하여야 합니다.r
추천자료
두뇌한국21(Brain Korea 21)에 관한 조사
영어 격차 현상
1920년대 소설의 특성
한국 대학의 문제와 구조개혁
[개발사례]사설기숙사개발PPT
사교육(학원, 과외)의 개념과 시작, 사교육(학원, 과외)의 범위와 기관, 사교육(학원, 과외)...
공교육(학교교육)의 의미, 공교육(학교교육)의 현황, 공교육(학교교육)의 문제점, 공교육(학...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고찰
필리핀 어학 연수 선택시 의사 결정 과정
[IT인력(정보기술인력), 직무유형]IT인력(정보기술인력)의 직무유형, IT인력(정보기술인력)의...
[기업분석] 한국 샌드위치 전문점 서브웨이(Subway)의 마케팅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pptx
토익(TOEIC)의 목적과 필요성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학교사회사업론 공통] 학교사회복지의 (1)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2) 자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