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계급의 지도자상을 보여주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모든 문제를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대립과 투쟁으로 보고 있는데 이처럼 카프에서 요구하는 도식에 맞추기 위해 많은 작위성과 도식성을 드러내게 된다.
희준과 갑숙의 만남에서도 둘만의 애정관계보다는 동지애다 중요하다는 관념적 원칙을 내세우고 있는데 이것 또한 프로 문학다운 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마름의 딸 갑숙의 공장 노동자로서의 변모와 노동쟁의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그녀를 너무 이상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농민들의 생활 묘사 속에서 생동감 있는 투쟁의 모습 등을 생생하게 노출시키지 않고 유기적으로 작품에 녹아들게 한 점에서 이 작품의 미덕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작품이 일제시대의 프로문학 내지 농민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희준과 갑숙의 만남에서도 둘만의 애정관계보다는 동지애다 중요하다는 관념적 원칙을 내세우고 있는데 이것 또한 프로 문학다운 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마름의 딸 갑숙의 공장 노동자로서의 변모와 노동쟁의에서 보여주는 모습은 그녀를 너무 이상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농민들의 생활 묘사 속에서 생동감 있는 투쟁의 모습 등을 생생하게 노출시키지 않고 유기적으로 작품에 녹아들게 한 점에서 이 작품의 미덕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작품이 일제시대의 프로문학 내지 농민소설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