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토양오염
■ 토양오염의 정의
■ 토양오염물질의 종류
■ 원인과 영향
■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토양오염 대책기준
■ 토양오염의 대책으로써의 기술개발 동향
■ 국내 토양오염정화 및 프로젝트 수행 현황
■ 국내 토양오염 사례
■ 외국의 토양오염 사례(미국 미시간주)
□ 대기오염
■ 대기오염의 정의
■ 대기오염의 원인
■ 대기오염 물질의 종류
■ 대기오염의 영향
■ 각종 배출량의 방출량과 영향
■ 국내 대기오염 사례
■ 외국 대기오염 사례(미국 LA)
□ 수질오염
■ 수질오염의 정의
■ 수질오염의 원인
■ 수질오염 물질의 종류
■ 수질오염의 지표
■ 수질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수질오염 대책
■ 국내 수질오염 사례
■ 외국 수질오염 사례(미나마타병)
□ 참고문헌
■ 토양오염의 정의
■ 토양오염물질의 종류
■ 원인과 영향
■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토양오염 대책기준
■ 토양오염의 대책으로써의 기술개발 동향
■ 국내 토양오염정화 및 프로젝트 수행 현황
■ 국내 토양오염 사례
■ 외국의 토양오염 사례(미국 미시간주)
□ 대기오염
■ 대기오염의 정의
■ 대기오염의 원인
■ 대기오염 물질의 종류
■ 대기오염의 영향
■ 각종 배출량의 방출량과 영향
■ 국내 대기오염 사례
■ 외국 대기오염 사례(미국 LA)
□ 수질오염
■ 수질오염의 정의
■ 수질오염의 원인
■ 수질오염 물질의 종류
■ 수질오염의 지표
■ 수질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수질오염 대책
■ 국내 수질오염 사례
■ 외국 수질오염 사례(미나마타병)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로 인하여 1976년 일본 동경에서는 큰 소동이 일어났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1991년 3월 낙동강 상류 지역에 페놀이 흘러 들어 큰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은 수질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 유기인 : 농약 중에 파라티온, 메틸파라티온, 이피엔 등에 유기인이 들어 있으며 독성이 매우 강하다. 중독 증세는 두통, 전신 권태, 현기증, 시력 감퇴, 언어장애, 전신 경련 등을 일으키며 심하면 죽기까지 한다.
○ 수질오염 대책
. 수질개선과 맑은 물 공급을 위한 투자확대
1994년 초 낙동강 수질오염사고를 계기로 1993∼1997년까지 총 5조5,539억 원을 투자하여 하수처리장 52개소 등 환경기초시설 216개소를 완공하였다. 1996년에는 '물관리종합대책'을 수립하고 2005년까지 26조9천억 원을 투자하여 244개소에 하수처리장 설치 등 547개소의 환경기초시설을 확충할 예정이다.
- 정수장에서 깨끗한 물을 보내도 상수관이 노후하여 수돗물 불신의 원인이 되었다. 노후상수관 개량사업을 확대하여 누수율(현재 15.3%)을 줄이고 있다. 1997년 말 현재 16년 이상된 노후관은 19,770㎞로 상수관 총연장의 18%에 이른다. 누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연간 3,500억 원이다.
- 현재 세계인구의 약 1/3이 물부족 상태로 살고 있으며, 2025년까지 세계인구의 2/3가 물부족 상태에 놓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부터는 전국적으로 물부족 상태에 처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양은 13억㎦로 추정되며, 이 중 바닷물이 96.5%를 차지하고 민물은 2.6%에 불과하다. 민물 중 99.66%는 빙산이나 빙하, 지하수의 형태로 존재하고 나머지 0.34%가 호수, 하천 등의 지표수와 대기중의 수증기로 존재한다.
. 수질규제기준 강화와 감시체계 구축
1997년부터 배출부과금에 기본부과금제도를 도입하여 농도규제를 배출총량규제로 전환하였다.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고,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인에 대한 배출규제도 신설하였다. 수질환경기준 I 급수 달성 대상 지역인 청정지역도 확대되었다.
- 배출허용기준은 개별배출업소에 적용되는 규제기준으로서 환경기준과 하천의 자정능력을 감안하여 설정하고 있다.
- 방류수수질기준은 하수·폐수 및 분뇨처리시설과 같은 종말처리시설에 적용되는 기준으로 BOD, COD, SS 3개 항목을 적용하다가 1996년부터는 총질소, 총인 항목을 추가하고 있다.
수질오염의 철저한 감시를 위해 수질자동측정소를 확대 설치하고, 환경사범대책위원회의 구성과 4대강 환경감시대를 발족하였다.
하천의 유역별 수질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는 수질개선목표를 설정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도록 할 예정이다.
○ 국내 수질오염 사례
두 번에 걸쳐 일어난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질오염 사건이다. 페놀은 유독물로 피부암과 생식이상을 일으키고 태아에도 영향을 끼치는 유해물질이다.
1차 페놀오염은 1991년 3월 16일 구미공단 두산전자에서 페놀원액이 파손된 파이프를 통해 낙동강으로 유입되어 발생하였다. 정수장에서는 페놀원액의 유입사실을 모르고 염소투입량을 늘렸다. 이 결과 염소와 페놀이 반응하여 클로로페놀을 생성,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오염된 정수장 물이 대구시 거의 모든 지역에 식수로 공급되어, 이 물을 식수로 마신 일부 주민들은 두통과 구토 증세를 보이기도 하였다.
2차 페놀오염은 두산전자가 다시 조업을 시작한지 5일만인 4월 22일 발생하였다. 부실 보수공사로 인해 페놀탱크 파이프 이음새 부분이 파열되어 페놀원액 1.3톤 가량이 낙동강으로 유입되면서 대구지역에 다시 식수공급이 중단되었다.
이 사고에 대해 피해보상을 요구한 신고건수는 1,958건에 액수는 24억 5천만원에 이르렀다. 이 중에는 임산부 8명이 자연유산, 임신중절 등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피해보상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두산그룹에 대한 국민들의 항의로 두산식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전국적으로 행해졌다.
○ 외국 수질오염 사례(미나마타병)
미나마타병은 중금속에 의한 수질오염의 대표적인 사례로 공장폐수에 섞여 있는 수은이 생물체와 사람의 체내에 축적되어 심하면 마비 증상을 일으키며 죽음으로 몰고가는 무서운 병이다.
1950년대 초 일본 규슈에 있는 미나마타라는 어촌마을에 하늘을 날던 갈매기들이 갑자기 땅에 떨어지고, 집에서 기르던 고양이가 입에서 거품을 내뿜고 하는 괴이한 일이 일어났다. 주민들도 손과 발이 마비되고 통증과 오한, 두통, 시각장애, 언어장애 등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격렬한 고통과 마비증상으로 죽음으로 이어졌다.
초기에는 보건당국과 의사들조차도 이 병의 원인을 알지 못하였으나 나중에야 수은 중독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다. 이에 대한 증거로 마나마타 만의 해수와 퇴적물 그리고 그 부근에서 잡히는 물고기에서 다량의 수은이 검출되었다.
오염원은 만에 인접한 신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의 미나마타 공장의 폐수로 밝혀졌다. 질소공장에서 배출된 폐수에 함유된 수은은 바닷물에 희석은 되었지만 미생물에 의해 더욱 독성이 강한 유기수은으로 변하여,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체내에 축적되었고 먹이사슬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농도가 더욱 진해졌다. 그리하여 고농도의 유기수은이 축적된 물고기를 오랫동안 섭취한 갈매기, 고양이, 사람들에게 수은중독 증세가 나타난 것이다.
이 사건으로 43명이 사망하고 111명이 치유불능의 마비증상과 고통으로 일생을 보내게 되었고 기형으로 태어난 어린이만도 19명에 이르렀다.
<參考文獻 및 資料>
□ 참고문헌
○ 조성호·전영권(1999), <지구환경과학의 이해>,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 이민효(2002), <토양·지하수 오염>, 동화기술
○ 동종인외(2000), <대기오염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인터넷사이트
○ 환경부 (http://www.moenv.go.kr)
○ 환경중계소 (http://myhome.naver.com/peace0209/main.htm)
○ 그린맨 (http://www.greenman.pe.kr)
. 유기인 : 농약 중에 파라티온, 메틸파라티온, 이피엔 등에 유기인이 들어 있으며 독성이 매우 강하다. 중독 증세는 두통, 전신 권태, 현기증, 시력 감퇴, 언어장애, 전신 경련 등을 일으키며 심하면 죽기까지 한다.
○ 수질오염 대책
. 수질개선과 맑은 물 공급을 위한 투자확대
1994년 초 낙동강 수질오염사고를 계기로 1993∼1997년까지 총 5조5,539억 원을 투자하여 하수처리장 52개소 등 환경기초시설 216개소를 완공하였다. 1996년에는 '물관리종합대책'을 수립하고 2005년까지 26조9천억 원을 투자하여 244개소에 하수처리장 설치 등 547개소의 환경기초시설을 확충할 예정이다.
- 정수장에서 깨끗한 물을 보내도 상수관이 노후하여 수돗물 불신의 원인이 되었다. 노후상수관 개량사업을 확대하여 누수율(현재 15.3%)을 줄이고 있다. 1997년 말 현재 16년 이상된 노후관은 19,770㎞로 상수관 총연장의 18%에 이른다. 누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연간 3,500억 원이다.
- 현재 세계인구의 약 1/3이 물부족 상태로 살고 있으며, 2025년까지 세계인구의 2/3가 물부족 상태에 놓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0년부터는 전국적으로 물부족 상태에 처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양은 13억㎦로 추정되며, 이 중 바닷물이 96.5%를 차지하고 민물은 2.6%에 불과하다. 민물 중 99.66%는 빙산이나 빙하, 지하수의 형태로 존재하고 나머지 0.34%가 호수, 하천 등의 지표수와 대기중의 수증기로 존재한다.
. 수질규제기준 강화와 감시체계 구축
1997년부터 배출부과금에 기본부과금제도를 도입하여 농도규제를 배출총량규제로 전환하였다. 배출허용기준을 강화하고,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인에 대한 배출규제도 신설하였다. 수질환경기준 I 급수 달성 대상 지역인 청정지역도 확대되었다.
- 배출허용기준은 개별배출업소에 적용되는 규제기준으로서 환경기준과 하천의 자정능력을 감안하여 설정하고 있다.
- 방류수수질기준은 하수·폐수 및 분뇨처리시설과 같은 종말처리시설에 적용되는 기준으로 BOD, COD, SS 3개 항목을 적용하다가 1996년부터는 총질소, 총인 항목을 추가하고 있다.
수질오염의 철저한 감시를 위해 수질자동측정소를 확대 설치하고, 환경사범대책위원회의 구성과 4대강 환경감시대를 발족하였다.
하천의 유역별 수질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국가는 수질개선목표를 설정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도록 할 예정이다.
○ 국내 수질오염 사례
두 번에 걸쳐 일어난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질오염 사건이다. 페놀은 유독물로 피부암과 생식이상을 일으키고 태아에도 영향을 끼치는 유해물질이다.
1차 페놀오염은 1991년 3월 16일 구미공단 두산전자에서 페놀원액이 파손된 파이프를 통해 낙동강으로 유입되어 발생하였다. 정수장에서는 페놀원액의 유입사실을 모르고 염소투입량을 늘렸다. 이 결과 염소와 페놀이 반응하여 클로로페놀을 생성,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오염된 정수장 물이 대구시 거의 모든 지역에 식수로 공급되어, 이 물을 식수로 마신 일부 주민들은 두통과 구토 증세를 보이기도 하였다.
2차 페놀오염은 두산전자가 다시 조업을 시작한지 5일만인 4월 22일 발생하였다. 부실 보수공사로 인해 페놀탱크 파이프 이음새 부분이 파열되어 페놀원액 1.3톤 가량이 낙동강으로 유입되면서 대구지역에 다시 식수공급이 중단되었다.
이 사고에 대해 피해보상을 요구한 신고건수는 1,958건에 액수는 24억 5천만원에 이르렀다. 이 중에는 임산부 8명이 자연유산, 임신중절 등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피해보상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두산그룹에 대한 국민들의 항의로 두산식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전국적으로 행해졌다.
○ 외국 수질오염 사례(미나마타병)
미나마타병은 중금속에 의한 수질오염의 대표적인 사례로 공장폐수에 섞여 있는 수은이 생물체와 사람의 체내에 축적되어 심하면 마비 증상을 일으키며 죽음으로 몰고가는 무서운 병이다.
1950년대 초 일본 규슈에 있는 미나마타라는 어촌마을에 하늘을 날던 갈매기들이 갑자기 땅에 떨어지고, 집에서 기르던 고양이가 입에서 거품을 내뿜고 하는 괴이한 일이 일어났다. 주민들도 손과 발이 마비되고 통증과 오한, 두통, 시각장애, 언어장애 등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격렬한 고통과 마비증상으로 죽음으로 이어졌다.
초기에는 보건당국과 의사들조차도 이 병의 원인을 알지 못하였으나 나중에야 수은 중독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다. 이에 대한 증거로 마나마타 만의 해수와 퇴적물 그리고 그 부근에서 잡히는 물고기에서 다량의 수은이 검출되었다.
오염원은 만에 인접한 신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의 미나마타 공장의 폐수로 밝혀졌다. 질소공장에서 배출된 폐수에 함유된 수은은 바닷물에 희석은 되었지만 미생물에 의해 더욱 독성이 강한 유기수은으로 변하여,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들의 체내에 축적되었고 먹이사슬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농도가 더욱 진해졌다. 그리하여 고농도의 유기수은이 축적된 물고기를 오랫동안 섭취한 갈매기, 고양이, 사람들에게 수은중독 증세가 나타난 것이다.
이 사건으로 43명이 사망하고 111명이 치유불능의 마비증상과 고통으로 일생을 보내게 되었고 기형으로 태어난 어린이만도 19명에 이르렀다.
<參考文獻 및 資料>
□ 참고문헌
○ 조성호·전영권(1999), <지구환경과학의 이해>, 대구가톨릭대학교출판부
○ 이민효(2002), <토양·지하수 오염>, 동화기술
○ 동종인외(2000), <대기오염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인터넷사이트
○ 환경부 (http://www.moenv.go.kr)
○ 환경중계소 (http://myhome.naver.com/peace0209/main.htm)
○ 그린맨 (http://www.greenman.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