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관련이론
3.실험장치 및 방법
4.실험결과 및 검토
5.결론
6.참고문헌 및 목록
2.관련이론
3.실험장치 및 방법
4.실험결과 및 검토
5.결론
6.참고문헌 및 목록
본문내용
.35
2.49
0.0599
1378.7
하임계
레이놀즈수
(난류 층류)
1
1000
0.001
16.14
6.20
0.1493
3433.8
2
1000
0.001
12.14
8.24
0.1985
4565.2
3
1000
0.001
14.07
7.11
0.1713
3939.0
4
1000
0.001
17.58
5.69
0.1371
3152.5
5
1000
0.001
10.43
9.59
0.2310
5313.7
평 균
1000
0.001
14.07
7.36
0.1774
4080.8
Fig. 3 Comparison critical upper Reynolds number
Fig. 4 Comparison critical below Reynolds number
일정한 동점성계수(
nu
, 동일한 유체)는 동일한 관에서의 Re수의 차이는 속도 즉 유량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흐름 상태, 레이놀즈수와의 관계 및 층류와 난류의 개념을 이해하고 유량(속도)을 달리함으로써 천이유동에서의 임계Re를 구하기 위해 일정 유량에 따른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방법으로 Table 1 과 같은 측정치를 얻었다. Fig. 2 와 Fig. 3에서 볼 수 있듯이 측정값은 상임계 Reynolds number의 이론식값인 " Re
CONG `
2300 "과 하임계 Reynolds number의 이론값인 " Re
CONG `
4000 "과 차이를 보였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주위의 진동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일정 유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눈으로 측정하는데 오차가 컸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른 실험방법으로 일정 시간에 따른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하는 것이 결과값에서 더 정확한 측정이 될 수도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이 방법으로는 일정 시간을 먼저 체크한 후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량측정에 좀 더 정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5. 결 론
상임계 Reynolds Number를 구하는 실험에서 평균 Reynolds Number = 1378.7
실험하기 전에 예상했던 "Re < 2300 이면 층류" 이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임계 Reynolds Number를 구하는 실험에서 평균 Reynolds Number = 4080.8
이론적으로 적용하는"Re > 4000 이면 난류" 이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에서의 문제점
이론값과의 오차의 원인은 적은측정횟수, 주관적인 천이상태 판별기준, 진동에 의한 측정기기의 진동, 메스실린더 눈금의 육안측정으로 인한 비 정밀측정 등으로 고려된다.
6. 참고문헌 및 부록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2000,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ifthth edition, Scitech, pp.76~92.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1994,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ourth edition, Hee joong dang, pp.72~85
2.49
0.0599
1378.7
하임계
레이놀즈수
(난류 층류)
1
1000
0.001
16.14
6.20
0.1493
3433.8
2
1000
0.001
12.14
8.24
0.1985
4565.2
3
1000
0.001
14.07
7.11
0.1713
3939.0
4
1000
0.001
17.58
5.69
0.1371
3152.5
5
1000
0.001
10.43
9.59
0.2310
5313.7
평 균
1000
0.001
14.07
7.36
0.1774
4080.8
Fig. 3 Comparison critical upper Reynolds number
Fig. 4 Comparison critical below Reynolds number
일정한 동점성계수(
nu
, 동일한 유체)는 동일한 관에서의 Re수의 차이는 속도 즉 유량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흐름 상태, 레이놀즈수와의 관계 및 층류와 난류의 개념을 이해하고 유량(속도)을 달리함으로써 천이유동에서의 임계Re를 구하기 위해 일정 유량에 따른 시간을 측정하는 실험방법으로 Table 1 과 같은 측정치를 얻었다. Fig. 2 와 Fig. 3에서 볼 수 있듯이 측정값은 상임계 Reynolds number의 이론식값인 " Re
CONG `
2300 "과 하임계 Reynolds number의 이론값인 " Re
CONG `
4000 "과 차이를 보였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주위의 진동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일정 유량을 측정함에 있어서 눈으로 측정하는데 오차가 컸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른 실험방법으로 일정 시간에 따른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하는 것이 결과값에서 더 정확한 측정이 될 수도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이 방법으로는 일정 시간을 먼저 체크한 후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량측정에 좀 더 정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5. 결 론
상임계 Reynolds Number를 구하는 실험에서 평균 Reynolds Number = 1378.7
실험하기 전에 예상했던 "Re < 2300 이면 층류" 이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임계 Reynolds Number를 구하는 실험에서 평균 Reynolds Number = 4080.8
이론적으로 적용하는"Re > 4000 이면 난류" 이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에서의 문제점
이론값과의 오차의 원인은 적은측정횟수, 주관적인 천이상태 판별기준, 진동에 의한 측정기기의 진동, 메스실린더 눈금의 육안측정으로 인한 비 정밀측정 등으로 고려된다.
6. 참고문헌 및 부록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2000,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ifthth edition, Scitech, pp.76~92.
Yusangsin. Baesincheo. Seosangho., 1994, "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 Fourth edition, Hee joong dang, pp.72~85
추천자료
- 마찰계수측정실험
-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손실두 측정)
-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손실두 측정)예비보고서
- Hot-wire를 이용한 평균속도와 난류측정
-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손실두 측정)
- 열선풍속계(Hot-wire를 이용한 평균속도와 난류측정)
- Reynolds No. 측정
- Re 변화에 따른 파이프 압력강하 측정
-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손실두 측정)
- 레이놀드 실험 보고서
- [지능기계공학 실험] 외부유동과 내부유동
- 유체_가시화_실험
- reynolds수 실험레포트 완료
- [실험] (결과) 자동차 풍동실험 : 에어터널 안을 흐르는 풍동을 이용, 차량모델의 외부유동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