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의 유령 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페라의 유령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 설명

2. 짧은 감상

3. 공연을 보면서 아쉬웠던점

4. 관련 기사 (매일경제 6월 25일자)

본문내용

계자들은 \"연습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이래서 제대로 된 작품이 되겠느냐\"고 비난했고, 제미로 측은 결국 팬텀 역에 외국인 배우를 기용하기로 잠정적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9월 말 지금의 팬텀인 유영석 씨가 발굴됐고, `오페라의 유령` 팀은 10월부터 본격적인 연습에 들어갔다.
12월 2일 오프닝 나잇(Opening Night). 2개월의 짧은 연습기간 때문인지 곳곳에 작은 실수들이 있었고, 배우들 역시 `필(feel)`을 체득하지 못한 듯 보였다.
하지만 100억원을 들인 뮤지컬이라는 점, `오페라의 유령`을 서울에서 볼 수 있다는 사실, 크리스마스, 연말, 신년 분위기가 공연에 호재로 작용했다.
한편 `오페라의 유령`의 티켓판매와 관련된 마케팅 기법은 국내 공연계에 길이 남을만한 하나의 모델을 마련했다.
7개월 간의 장기공연을 염두에 두고 전월의 티켓예매율이 70%를 상회할 때 비로소 다음달 의 티켓박스를 오픈한다는 전략. 예매문화에 익숙지 않은 국내 관객들은 예매를 서둘렀으며, 제미로 측은 주당 2억원 정도의 운영비를 이 예매수입으로 충당했다.
흥행이 순조로운 항해를 계속하자 작품의 완성도도 눈에 띄게 좋아졌다.
팬텀 역의 유영석, 라울의 류정한은 자체 팬클럽이 구성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으며, 공연을 4회 이상 보는 `팬텀 마니아` 층도 생겨났다.
한 뮤지컬 관계자는 \"100회 공연을 가졌던 2월 28일을 기점으로 전혀 다른 `오페라의 유령`이 됐다\"고 평하기도 했다.
■\"아직도 더 배우고 싶다\"
첫 기획부터 지금까지 `오페라의 유령`에 계속되는 비난이 있다. 바로 국내 창작 뮤지컬이 아니라는 점. 제미로 공동대표 설도윤 씨는 이에 대해 \"반드시 창작뮤지컬을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은 국내 뮤지컬 시장을 다지는 게 더 중요하다\"면서 \"아직도 더 배워야 할 것이 많다. 로열티를 물고서라도 더 배우고 싶다\"고 말했다.
설 대표의 말처럼 `오페라의 유령`은 마니아 층으로만 여겼던 뮤지컬 관객을 일반인까지 확대했다. 또한 공연계에 `예매문화`를 정착시키는 데도 일조했다.
특히 오리지널 스태프가 공연제작의 전부문에 투입되고, 여기에 국내 스태프가 1대1로 따라붙어 선진 제작시스템을 전수받기도 했다.
더 `배우려는 의도` 때문일까. 제미로 측은 내년 2월 1일부터 뮤지컬 `캐츠` 오리지널팀을 초청해 공연할 예정이며, 이후 `왕과 나` `미녀 와 야수` 등 2005년까지는 외국명작 뮤지컬을 계속 무대에 올릴 예정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1.2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