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청소년에 대하여
1) 청소년의 정의
2) 청소년 비행의 정의
2. 청소년 갈등
1) 갈등의 정의
2) 심리학 측면에서의 갈등
3. 청소년 갈등 원인
1) 머튼(Merton)의 아노미 이론
2) 서덜랜드(Sutherland)의 접촉이론
3) 허쉬(Hirschi)의 사회통제이론
4) 리머트(Lemert)의 낙인이론
1) 청소년의 정의
2) 청소년 비행의 정의
2. 청소년 갈등
1) 갈등의 정의
2) 심리학 측면에서의 갈등
3. 청소년 갈등 원인
1) 머튼(Merton)의 아노미 이론
2) 서덜랜드(Sutherland)의 접촉이론
3) 허쉬(Hirschi)의 사회통제이론
4) 리머트(Lemert)의 낙인이론
본문내용
로 대치하고자 하는 것으로 청소년들이 자신의 욕구불만족을 사회로부터 보상을 받고자하는 성향으로 전형적인 청소년비행의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아노미 이론은 청소년이 문화적 목표와 경제적 구조의 불일치를 통한 무 규범의 상태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비행의 성향을 지닐 수 있다고 봄으로써 사회학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주장과 서로 상반된 의견들이 있는데 Shaw와 Mackay(1969)는 청소년이 속한 사회계층과 비행이 크게 관련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2) 서덜랜드(Sutherland)의 접촉이론
서덜랜드(E.H. Sutherland)가 제시하는 차별적 접촉이론 혹은 차별적 관계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은 사회화 과정의 차원에서 한 개인이 일탈하게 되는 원인 파악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Sutherland 는 주장하기를 청소년은 비행을 조장하는 하위문화와 비행에 대하여 비판적인 상위문화의 상반된 문화적 역동과 대립 속에 살고 있으며, 비행에 대하여 비판적인 문화유형보다 비행을 조장하는 하위문화와 빈번히 관계를 맺게 되면 그 차별적인 관계를 통하여 비행자가 된다는 것이다. 차별적 접촉이론의 특징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청소년 비행은 타인과의 의사소통과정에서 학습되며, 학습될 때, 기술, 동기, 추진력, 합리화, 태도 등도 같이 학습되는데 이들은 법규범을 준수하는 집단에 속해있는지 위반하는 집단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비행의 유무가 결정되어 지며 법 위반이 쉬운 환경에서 청소년비행의 동기와 태도가 형성되기 쉽다는 것이다. 즉 법 위반에 있어서 우호적 측면이 비판적 측면보다 클 때 청소년은 비행을 저지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더랜드는 청소년의 비행원인들 중에서 주위환경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사회학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Trasler는 학교에서의 긴장과 과정이 비행 하위문화를 형성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비행을 저지를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준다고 주장하여 학교환경을 강조하고 있다.
3) 허쉬(Hirschi)의 사회통제이론
허쉬(Hirschi)의 사회통제이론(Social control theory)은 가정, 학교 및 친구와 관련된 요인들을 청소년비행의 주요 원인으로 다루고 있다. 그는 사회통제이론을 사회유대이론(Social bond theory)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유대가 약한 청소년의 비행은 사회유대가 강한 청소년의 비행 가능성보다 높다고 한다. 특 사회의 적응력이 비행의 주된 원인이 된다고 보는 것이다.
허쉬는 이러한 사회의 유대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기본 가정을 제시하는데 하나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일탈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사회는 인간과 반대로 반일탈적이라고 가정한다. 그래서 청소년은 일탈 가능성에 항상 놓여 있게 됨으로 이것을 통제할 수 있는 무엇인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사회라고 봄으로써 사회와의 유대가 강한 청소년일수록 일탈의 성향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고 본다. 따라서 이 이론은 사회 속에서의 인간의 강조하며, 특히 사회유대의 주요지표로서 애착(attachment), 관여(commitment), 참여(involvement), 신념(belief)을 제시하여 이들의 응집력이 높을수록 비행의 가능성을 줄여든다고 보므로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가 사회의 적응력을 상실할 때 비행이 저지려 진다고 한다. 이런 맥락에서 허쉬의 사회통제이론은 비행의 보편성과 사회유대의 약화에 원인이 있다고 보며 사회적응력을 길러주는 학교, 친구, 가정 등이 청소년비행의 주요한 원인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허쉬는 사회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4) 리머트(Lemert)의 낙인이론
리머트(E.MLemert)의 낙인이론(Labeling theory)은 사회가 개인의 행위를 일탈행위로 어떻게 낙인하여 행위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해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Lemert는 청소년의 비행을 일차적 일탈과 이차적 일탈로 나누어서 보는데, 일차적 일탈은 청소년이 순간적으로 규범을 위반할 수 있지만 외부에 그 사실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회적 반응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자신을 탈선자로 인식하지 않는 경우를 말하고 이차적 일탈은 행위자의 행위에 대해 사회적 평가나 반응이 나타나게 되고 행위자를 탈선자로 낙인찍게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차적 일탈(primary deviance) 상태에 있던 청소년이 점차 이차적 일탈(secondary deviance)상태로 변모하여 이차적 일탈자로 낙인찍히게 되는 과정을 강조하고 있지만, 일차적 일탈이 반드시 이차적 일탈로 발전된다고 보지는 않는다. 청소년은 일차적 탈선행위에 대해 비행이라고 오명이 찍히게 되면 사회생활에 큰 제한과 불이익을 받고 사회에서 소외되는데 소외될수록 그들은 경력 비행자가 된다고 본다. 따라서 낙인이론은 일차적 일탈로부터 이차적 일탈로 변하는 과정을 강조하여 청소년의 경력비행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리머트는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주로 심리학적인 입장에서 비행의 원인을 설명하고 있다고 본다.
이 이론과 맥을 같이하여 Backer 는 일탈행위란 사람이 저지르는 행위의 특성이 아니라 타인이 행위자에 법과 제재를 가한 결과일 뿐이라고 주장하여 낙인론자들이 주장하는 탈선행위란 행위자체가 나쁜 것이라고 보다는 그 행위에 대래서 주위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에 따라 행위의 옳고 그름이 규정지어 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낙인이론은 두 가지의 심리적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데 하나는 낙인이라는 오명을 자신의 잘못보다는 오히려 사회환경의 잘못으로 돌려 자신의 비행을 합리화시키든지, 아니면 자신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기에 대한 부정감이 비행으로 연결된다고 보고 Ryan은 청소년의 성 비행을 유발시키는 요인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세 명의 사례연구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그 비행의 과정을 보면 먼저 청소년이 부정적인 자기이미지를 갖게 되며, 자신의 주관적인 환상들을 발달시키게 되어 비행을 계획하고 비행을 실행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아노미 이론은 청소년이 문화적 목표와 경제적 구조의 불일치를 통한 무 규범의 상태를 경험하게 됨으로써 비행의 성향을 지닐 수 있다고 봄으로써 사회학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주장과 서로 상반된 의견들이 있는데 Shaw와 Mackay(1969)는 청소년이 속한 사회계층과 비행이 크게 관련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2) 서덜랜드(Sutherland)의 접촉이론
서덜랜드(E.H. Sutherland)가 제시하는 차별적 접촉이론 혹은 차별적 관계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은 사회화 과정의 차원에서 한 개인이 일탈하게 되는 원인 파악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Sutherland 는 주장하기를 청소년은 비행을 조장하는 하위문화와 비행에 대하여 비판적인 상위문화의 상반된 문화적 역동과 대립 속에 살고 있으며, 비행에 대하여 비판적인 문화유형보다 비행을 조장하는 하위문화와 빈번히 관계를 맺게 되면 그 차별적인 관계를 통하여 비행자가 된다는 것이다. 차별적 접촉이론의 특징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청소년 비행은 타인과의 의사소통과정에서 학습되며, 학습될 때, 기술, 동기, 추진력, 합리화, 태도 등도 같이 학습되는데 이들은 법규범을 준수하는 집단에 속해있는지 위반하는 집단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비행의 유무가 결정되어 지며 법 위반이 쉬운 환경에서 청소년비행의 동기와 태도가 형성되기 쉽다는 것이다. 즉 법 위반에 있어서 우호적 측면이 비판적 측면보다 클 때 청소년은 비행을 저지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더랜드는 청소년의 비행원인들 중에서 주위환경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사회학적인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Trasler는 학교에서의 긴장과 과정이 비행 하위문화를 형성하여 청소년들로 하여금 비행을 저지를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준다고 주장하여 학교환경을 강조하고 있다.
3) 허쉬(Hirschi)의 사회통제이론
허쉬(Hirschi)의 사회통제이론(Social control theory)은 가정, 학교 및 친구와 관련된 요인들을 청소년비행의 주요 원인으로 다루고 있다. 그는 사회통제이론을 사회유대이론(Social bond theory)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사회유대가 약한 청소년의 비행은 사회유대가 강한 청소년의 비행 가능성보다 높다고 한다. 특 사회의 적응력이 비행의 주된 원인이 된다고 보는 것이다.
허쉬는 이러한 사회의 유대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기본 가정을 제시하는데 하나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일탈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사회는 인간과 반대로 반일탈적이라고 가정한다. 그래서 청소년은 일탈 가능성에 항상 놓여 있게 됨으로 이것을 통제할 수 있는 무엇인가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사회라고 봄으로써 사회와의 유대가 강한 청소년일수록 일탈의 성향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고 본다. 따라서 이 이론은 사회 속에서의 인간의 강조하며, 특히 사회유대의 주요지표로서 애착(attachment), 관여(commitment), 참여(involvement), 신념(belief)을 제시하여 이들의 응집력이 높을수록 비행의 가능성을 줄여든다고 보므로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가 사회의 적응력을 상실할 때 비행이 저지려 진다고 한다. 이런 맥락에서 허쉬의 사회통제이론은 비행의 보편성과 사회유대의 약화에 원인이 있다고 보며 사회적응력을 길러주는 학교, 친구, 가정 등이 청소년비행의 주요한 원인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허쉬는 사회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고 볼 수 있다.
4) 리머트(Lemert)의 낙인이론
리머트(E.MLemert)의 낙인이론(Labeling theory)은 사회가 개인의 행위를 일탈행위로 어떻게 낙인하여 행위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해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Lemert는 청소년의 비행을 일차적 일탈과 이차적 일탈로 나누어서 보는데, 일차적 일탈은 청소년이 순간적으로 규범을 위반할 수 있지만 외부에 그 사실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회적 반응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자신을 탈선자로 인식하지 않는 경우를 말하고 이차적 일탈은 행위자의 행위에 대해 사회적 평가나 반응이 나타나게 되고 행위자를 탈선자로 낙인찍게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차적 일탈(primary deviance) 상태에 있던 청소년이 점차 이차적 일탈(secondary deviance)상태로 변모하여 이차적 일탈자로 낙인찍히게 되는 과정을 강조하고 있지만, 일차적 일탈이 반드시 이차적 일탈로 발전된다고 보지는 않는다. 청소년은 일차적 탈선행위에 대해 비행이라고 오명이 찍히게 되면 사회생활에 큰 제한과 불이익을 받고 사회에서 소외되는데 소외될수록 그들은 경력 비행자가 된다고 본다. 따라서 낙인이론은 일차적 일탈로부터 이차적 일탈로 변하는 과정을 강조하여 청소년의 경력비행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리머트는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주로 심리학적인 입장에서 비행의 원인을 설명하고 있다고 본다.
이 이론과 맥을 같이하여 Backer 는 일탈행위란 사람이 저지르는 행위의 특성이 아니라 타인이 행위자에 법과 제재를 가한 결과일 뿐이라고 주장하여 낙인론자들이 주장하는 탈선행위란 행위자체가 나쁜 것이라고 보다는 그 행위에 대래서 주위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에 따라 행위의 옳고 그름이 규정지어 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낙인이론은 두 가지의 심리적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데 하나는 낙인이라는 오명을 자신의 잘못보다는 오히려 사회환경의 잘못으로 돌려 자신의 비행을 합리화시키든지, 아니면 자신에 대한 희망을 포기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기에 대한 부정감이 비행으로 연결된다고 보고 Ryan은 청소년의 성 비행을 유발시키는 요인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세 명의 사례연구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그 비행의 과정을 보면 먼저 청소년이 부정적인 자기이미지를 갖게 되며, 자신의 주관적인 환상들을 발달시키게 되어 비행을 계획하고 비행을 실행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