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회계감사의 목적과 기법의 변화
2. 고대~1500년대 (부정방지목적에서의 감사)
3. 1500~ 1850년
4. 1850~1905년[내부통제제도의 중요성과 샘플링기법(시사)의 도입]
5. 1905-1933년
6. 1933~1940년(감사 목적의 혼란)
7. 1940-1960년
8. 1960년 이후
9. 살펴 본 내용 요약,정리
10. 미래 회계감사의 흐름
2. 고대~1500년대 (부정방지목적에서의 감사)
3. 1500~ 1850년
4. 1850~1905년[내부통제제도의 중요성과 샘플링기법(시사)의 도입]
5. 1905-1933년
6. 1933~1940년(감사 목적의 혼란)
7. 1940-1960년
8. 1960년 이후
9. 살펴 본 내용 요약,정리
10. 미래 회계감사의 흐름
본문내용
고대~1500년대 (부정방지목적에서의 감사)
* 회계의 목적은 통치자의 재산보호와 그 정확성
* 감사와는 별개의 문제
* 회계에서 감사라는 개념이 처음 도입된 것은 로마 제국 당시 재무관의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청문(hearing)이라는 형태의 감사가 등장
* 16세기까지의 감사는 재정책임자의 정직성을 검증하도록 고안
* 진정한 의미의 내부통제나 회계제도에 대한 언급은 다루어져 있지 않음
* 초기 감사기법은 대부분이 발생한 모든 거래를 자세하게 검증하는 것이었으며 감사 절차로서 시사나 표본 추출의 개념은 알려지지 않았음
1500~ 1850년
* 감사범위가 확대되어서 제조활동을 포함하게 되었음
* 감사의 목적은 부정적발이었으며 소유자가 경영자나 그들이 투자한 자본과 분리되게 됨에 따라 중요성이 인식됨
* 이 기간중 중요한 변화는
첫째, 정확한 보고나 부정적발을 위하여 일정한 회계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했다는 점
둘째, 규모에 관계없이 회사의 회계에 대해 독립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는 점
1850~1905년[내부통제제도의 중요성과 샘플링기법(시사)의 도입]
* 산업혁명으로부터 유래된 대규모 법인형태의 기업들이 등장
* 기업의 경영권이 개인소유자에서 전문경영인으로 넘어감
* 감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감사를 수행할 수 있는 숙련된 회계사들이 요구되기 시작
* 1950년에서 1905년까지의 감사는 모든 거래의 검토 및 수정된 회계기록과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
단점: 고비용, 저효율, 차기 취약점 보강에 미흡
* 샘플링기법을 수용
1905-1933년
* 20세기 시작 후 10년간 미국의 감사업무는 독자적인 영역 구축
* 기존의 부정적발과 오류의 적발 및 예방이라는 목적에서 기업의 재무상태와 이익의 확인, 부정이나 오류 적발(부차적인 목표)로 바뀜.
* 내부 통제의 중요성과 이와 관련하여 시사에 의한 감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기 시작
* 회계의 목적은 통치자의 재산보호와 그 정확성
* 감사와는 별개의 문제
* 회계에서 감사라는 개념이 처음 도입된 것은 로마 제국 당시 재무관의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청문(hearing)이라는 형태의 감사가 등장
* 16세기까지의 감사는 재정책임자의 정직성을 검증하도록 고안
* 진정한 의미의 내부통제나 회계제도에 대한 언급은 다루어져 있지 않음
* 초기 감사기법은 대부분이 발생한 모든 거래를 자세하게 검증하는 것이었으며 감사 절차로서 시사나 표본 추출의 개념은 알려지지 않았음
1500~ 1850년
* 감사범위가 확대되어서 제조활동을 포함하게 되었음
* 감사의 목적은 부정적발이었으며 소유자가 경영자나 그들이 투자한 자본과 분리되게 됨에 따라 중요성이 인식됨
* 이 기간중 중요한 변화는
첫째, 정확한 보고나 부정적발을 위하여 일정한 회계제도의 필요성을 인식했다는 점
둘째, 규모에 관계없이 회사의 회계에 대해 독립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는 점
1850~1905년[내부통제제도의 중요성과 샘플링기법(시사)의 도입]
* 산업혁명으로부터 유래된 대규모 법인형태의 기업들이 등장
* 기업의 경영권이 개인소유자에서 전문경영인으로 넘어감
* 감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감사를 수행할 수 있는 숙련된 회계사들이 요구되기 시작
* 1950년에서 1905년까지의 감사는 모든 거래의 검토 및 수정된 회계기록과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
단점: 고비용, 저효율, 차기 취약점 보강에 미흡
* 샘플링기법을 수용
1905-1933년
* 20세기 시작 후 10년간 미국의 감사업무는 독자적인 영역 구축
* 기존의 부정적발과 오류의 적발 및 예방이라는 목적에서 기업의 재무상태와 이익의 확인, 부정이나 오류 적발(부차적인 목표)로 바뀜.
* 내부 통제의 중요성과 이와 관련하여 시사에 의한 감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기 시작
추천자료
[예산][재정][발생주의예산][예산회계제도개혁]예산의 개념, 예산과 재정의 관계, 정부회계개...
[회계학]회계&회계학의 의의
[회계] 현행 기업회계기준(K-GAAP)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의 주요 차이에 관한 연구
재무회계와 원가관리회계의 구분
[국제회계기준] 국제회계기준(IFRS)와 기업회계기준(GAAP)의 차이점
[세무][세무 개요][사업자등록][세무관리][회계아웃소싱][기업회계][소득세]세무의 개요, 세...
[경영][경영 세무관리][경영 회계관리][경영 사무관리][경영 종업원관리][세무][회계][사무][...
[기업관리][기업][기업현금관리][기업회계관리][기업세무관리][기업공적자금관리][기업재무관...
[기업 통제][기업][기업 현장통제][기업 마케팅통제][기업 회계통제][정부 공기업통제][현장]...
수입실무 및 수입절차, 수입대금 결제 방식, 수입업무 참고자료, 수입 대행, 수입물품 반출, ...
[행정학과 D형] 예산회계와 재무회계에 대해서 설명하라 [예산회계]
[국제회계기준] 국제회계기준의 장단점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 ;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사례와 ...
중급재무회계1)1. 현행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인정하고 있는 역사적원가, 현행원가, 현행...
회계원리)발생기준회계가 아닌 현금기준회계 방법으로 수익 및 비용을 인식하여 재무제표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