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덕사를 향해서
2. 수덕사에서
3. 수덕사를 다녀와서
2. 수덕사에서
3. 수덕사를 다녀와서
본문내용
소서'하고 옆방으로 들어간 뒤 기척이 없었다. 이에 청년이 방문을 열고들어가려하자 여인은 급히 다른 방으로 사라지려 하였다. 그 모습에 당황한 청년이 여인을 잡으려 하는 순간 옆에 있던 바위가 갈라지며 여인은 버선 한짝만 남기고 사라지니, 갑자기 사람도 방문도 없어지고 크게 틈이 벌어진 바위 하나만 나타나 있었다.
이후 그 바위가 갈라진 사이에서는 봄이면 기이하게 버선모양의 버선꽃이 지금까지 피고 있으며 그로부터 관음보살의 현신이었던 그 여인의 이름이 수덕이었으므로 절 이름을 수덕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광경을 본 정혜라는 청년은 무상함을 느끼고 산마루에 올라가 절을 짓고 그 이름을 정혜사라 하였다고 한다. 또한 이때부터 관세음보살이 현신하여 절을 크게 중창하고 바위속으로 사라진 이 곳에서 기도를 하면 모든 소원이 성취된다는 소문이 경향각지에 퍼지자 소원을 비는 인적이 끊이지 않았으나, 수덕사는 근대한국선불교의 중흥조인 경허 만공스님의 가풍을 간직한 선찰로서 자칫 기복에 치우칠 우려가 있어 이를 더이상 구전치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곳을 찾는 많은 불자들의 심원(心願)에 따라 수덕사에서는 이 성역에 참배 기도하는 이에게 관음의 신통묘용(神通妙用)한 가피(加被)가 얻어지기를 기원하며 근래에 관음상을 봉조하게 되었다.
수덕사의 가람배치
수덕사 가람구조의 아름다움은 여러 단으로 이어지는 석축과 건물의 조화에서 찾을 수 있다.
수덕사는 완만한 덕숭산의 구릉을 따라 삼단의 석축을 쌓고 가장 위쪽에 대웅전을 배치한 전형적인 산지 가람이다. 앞이 탁 트인 높은 산지 지형에 석축을 이용하여 사지를 조성하고, 그 위에 건물을 배치한 수덕사의 가람구조는 사찰을 찾는 모든 이를 받아들이는 개방구조이다.
대웅전을 중심축으로한 수덕사 가람 배치는 도입, 전개, 결말의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즉 사찰의 입구인 일주문에서부터 경사진 길을 따라 황하정루와 종각, 조인정사, 요사 등의 부속전각을 지나면서 느끼는 상승효과로 인해 핵심부인 대웅전이 더욱 강조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입부는 속세로부터 사찰로 들어서는 최초의 공간이다. 일주문에서 황하정루까지의 공간은 가람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경사진 길과 계단을 통해 몸을 닦아 마음속의 불심을 준비하는 공간이다.
일주문에서 시작된 흐름을 연결하는 전개부는 황하정루에서 조인정사까지의 공간이다.
황하정루 아래의 어두운 공간은 전개부분의 시작으로 이는 시계의 갑작스런 변화를 유도하여 시선의 집중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석축과 계단은 공간 상승의 효과와 더불어 주불전인 대웅전을 시각적으로 더욱 강조하게 된다.
결말부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간을 말한다. 이 공간은 일반적으로 주불전을 중심으로 하여 사면이 석축이나 건물로 둘러싸인 것이 특징으로 전개부와는 구별되는 기단위에 결말부가 형성된다. 가람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대웅전은 화강석 기단위에 세워져 있다. 이것은 핵심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하는 대웅전의 위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좌우에 있는 계단을 통해 진입하게 되어 있는 동선의 배치는 구조미가 뛰어난 대웅전 측면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한다.
산내암자
덕숭산에는 만공대선사께서 30세에 조실이 되어 수 많은 납자를 배출한 정혜사 능인 선원, 만공스님의 최초 주석처로 지금은 경허.만공.혜월 대선사의 영정이 모셔진 금선대와 소림초당, 전월사, 향운각 등 만공스님이 숨결이 느껴지는 암자들이 산중에 어우러져 있다.
그리고 만공대선사께서 근대 한국 선불교 중흥을 이루면서 전국에서 최초로 비구니 선원으로 개운한 견성암과 비구니 일엽 스님이 주석하던 환희대가 있고 선수암, 극락암, 만월당, 운수암이 자리잡고 있다.
이후 그 바위가 갈라진 사이에서는 봄이면 기이하게 버선모양의 버선꽃이 지금까지 피고 있으며 그로부터 관음보살의 현신이었던 그 여인의 이름이 수덕이었으므로 절 이름을 수덕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광경을 본 정혜라는 청년은 무상함을 느끼고 산마루에 올라가 절을 짓고 그 이름을 정혜사라 하였다고 한다. 또한 이때부터 관세음보살이 현신하여 절을 크게 중창하고 바위속으로 사라진 이 곳에서 기도를 하면 모든 소원이 성취된다는 소문이 경향각지에 퍼지자 소원을 비는 인적이 끊이지 않았으나, 수덕사는 근대한국선불교의 중흥조인 경허 만공스님의 가풍을 간직한 선찰로서 자칫 기복에 치우칠 우려가 있어 이를 더이상 구전치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곳을 찾는 많은 불자들의 심원(心願)에 따라 수덕사에서는 이 성역에 참배 기도하는 이에게 관음의 신통묘용(神通妙用)한 가피(加被)가 얻어지기를 기원하며 근래에 관음상을 봉조하게 되었다.
수덕사의 가람배치
수덕사 가람구조의 아름다움은 여러 단으로 이어지는 석축과 건물의 조화에서 찾을 수 있다.
수덕사는 완만한 덕숭산의 구릉을 따라 삼단의 석축을 쌓고 가장 위쪽에 대웅전을 배치한 전형적인 산지 가람이다. 앞이 탁 트인 높은 산지 지형에 석축을 이용하여 사지를 조성하고, 그 위에 건물을 배치한 수덕사의 가람구조는 사찰을 찾는 모든 이를 받아들이는 개방구조이다.
대웅전을 중심축으로한 수덕사 가람 배치는 도입, 전개, 결말의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즉 사찰의 입구인 일주문에서부터 경사진 길을 따라 황하정루와 종각, 조인정사, 요사 등의 부속전각을 지나면서 느끼는 상승효과로 인해 핵심부인 대웅전이 더욱 강조되는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입부는 속세로부터 사찰로 들어서는 최초의 공간이다. 일주문에서 황하정루까지의 공간은 가람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경사진 길과 계단을 통해 몸을 닦아 마음속의 불심을 준비하는 공간이다.
일주문에서 시작된 흐름을 연결하는 전개부는 황하정루에서 조인정사까지의 공간이다.
황하정루 아래의 어두운 공간은 전개부분의 시작으로 이는 시계의 갑작스런 변화를 유도하여 시선의 집중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고 석축과 계단은 공간 상승의 효과와 더불어 주불전인 대웅전을 시각적으로 더욱 강조하게 된다.
결말부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간을 말한다. 이 공간은 일반적으로 주불전을 중심으로 하여 사면이 석축이나 건물로 둘러싸인 것이 특징으로 전개부와는 구별되는 기단위에 결말부가 형성된다. 가람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대웅전은 화강석 기단위에 세워져 있다. 이것은 핵심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하는 대웅전의 위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좌우에 있는 계단을 통해 진입하게 되어 있는 동선의 배치는 구조미가 뛰어난 대웅전 측면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한다.
산내암자
덕숭산에는 만공대선사께서 30세에 조실이 되어 수 많은 납자를 배출한 정혜사 능인 선원, 만공스님의 최초 주석처로 지금은 경허.만공.혜월 대선사의 영정이 모셔진 금선대와 소림초당, 전월사, 향운각 등 만공스님이 숨결이 느껴지는 암자들이 산중에 어우러져 있다.
그리고 만공대선사께서 근대 한국 선불교 중흥을 이루면서 전국에서 최초로 비구니 선원으로 개운한 견성암과 비구니 일엽 스님이 주석하던 환희대가 있고 선수암, 극락암, 만월당, 운수암이 자리잡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