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의 득실…석유·패권 차지―지구촌 민심 잃어
2. 이라크 미래
3. 복구비 마련·치안회복 급하다
4. 재편되는 세계질서
2. 이라크 미래
3. 복구비 마련·치안회복 급하다
4. 재편되는 세계질서
본문내용
수주의 이론가 로버트 케이건의 ‘힘의 우위’에 근거한 미국과 유럽 관계 분석은 이런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많다. 역사상 막강한 군사력을 지닌 국가들은 예외 없이 무력을 앞세워 온 반면 상대적인 약자들은 다자주의와 국제법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것. 현재 미국과 유럽의 관계도 일시적인 관계 악화가 아니라 이에 근거한 갈등 구도여서 결국은 초강대국 미국이 자세를 낮춰 국제법과 유엔이라는 국제 질서를 존중할 것인지,아니면 유럽 등 국제 사회가 초강대국 미국에 맞춰나갈 것인지가 향후 국제 관계의 큰 틀을 이루게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3)미국과 중동의 향후 관계 전망=미국은 이라크에 친미 정권을 세워 민주주의 도미노 현상을 촉발함으로써 중동 지역의 체제 안정을 이룬다는 계산이다. 이라크를 중동의 새 축으로 삼아 터키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친미 국가의 민주화를 유도하는 한편 이란과 시리아 등 반미 국가를 압박해 중동 전역에 미국식 민주주의를 확산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아랍 국가들은 강력히 반발했다. 최근 아랍 연맹은 미국측 인사들을 배제하고 순수 이라크 인사들로 차기 이라크 정부를 꾸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미국이 이라크 복구가 아니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갈등을 해결하는 데 우선 순위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아랍권에서는 계속 곪고 있는 이-팔 분쟁에 대한 미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무관심이 9·11 테러와 지하드(성전)를 부추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향후 미국과 아랍 국가들의 관계는 미국의 이라크 전후 처리 문제와 더불어 이-팔 갈등을 미국이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달려 있는 셈이다.
3)미국과 중동의 향후 관계 전망=미국은 이라크에 친미 정권을 세워 민주주의 도미노 현상을 촉발함으로써 중동 지역의 체제 안정을 이룬다는 계산이다. 이라크를 중동의 새 축으로 삼아 터키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친미 국가의 민주화를 유도하는 한편 이란과 시리아 등 반미 국가를 압박해 중동 전역에 미국식 민주주의를 확산시킨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아랍 국가들은 강력히 반발했다. 최근 아랍 연맹은 미국측 인사들을 배제하고 순수 이라크 인사들로 차기 이라크 정부를 꾸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리고 미국이 이라크 복구가 아니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갈등을 해결하는 데 우선 순위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아랍권에서는 계속 곪고 있는 이-팔 분쟁에 대한 미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무관심이 9·11 테러와 지하드(성전)를 부추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향후 미국과 아랍 국가들의 관계는 미국의 이라크 전후 처리 문제와 더불어 이-팔 갈등을 미국이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달려 있는 셈이다.
추천자료
이라크 전쟁의 정치적 경제적 배경과 전후 복구사업 모색
영화<미션>을 통해 본 이라크 전쟁, 그 이후
이란 - 이라크 전쟁
1894년 농민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
뉴욕타임스, 아랍뉴스, 중동타임즈의 이라크 전쟁보도 비교
[동학농민전쟁, 동학농민운동] 동학농민운동의 발전과 원인 및 동학농민운동의 역사성과 한계...
월남과 미국의 내부의 문제점. 그리고 전쟁원칙에서 본 패전(敗戰)의 원인
이라크 전쟁(추가)
부시대통령의 이라크 전쟁확대에 대해
한국 전쟁 이후 외원기관으로 한국에 들어와 사회복지활동을 펼친 기관은 어떠한 곳이 있는지...
[문화사] 미국의 독립전쟁
태평양의 강수알고리즘, 태평양의 어업생물조사, 태평양의 꽁치자원, 태평양과 한국영화해외...
(한국사회문제C형) 한국전쟁이나 냉전이나 분단이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나 사회에서 ...
(사회문제론 E형)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은 개인의 삶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