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ple Sclerosis (다발성 경화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원인
1) 유전-환경적 요인
2) 바이러스

2. 진단

3. 역학

4. 병리소견

5. 유형

6. 증상

7. 치료

본문내용

1 b (Betaseron)
- Glatiramer (Copaxone)
③ 증상 관리
- 강직의 치료 : 약물치료
바크로펜(baclofen), 단트로렌(dantrolene), 디아제팜(diazepam)
심한 구축일시 건절개술(tenotomy) 시행
- 방광의 관리 : 흡수성 패드, 도뇨관, 프로밴텐(probanthene) 약물이용
- 장관의 관리 : 변비방지위한 변완화제 사용, 고섬유성 식이 권장
- 피로 관리 : 규칙적인 운동, 에너지 보존, 스트레스 조절
- 통증 관리 : 항경련제인 카바마제핀(carbamazepine), 페니토인(phenytoin) 사용
- 소뇌성 진전(cerebellar tremor) : 크로나제팜(clonazepam), 이소니아지드(isoniazid)
피리독신(pyridoxine) 사용
* 다발성 경화증의 새로운 연구들
세계 2차대전의 예상하지 못한 결과중의 하나는 그 당시 군에 복무했던 전 세계적에서 모인 거대한 젊은이 집단의 건강 검진 결과이다. 이 것으로 인해 처음으로 MS의 불규칙적인 분포가 알려졌다. 적도를 중심으로 남쪽과 북쪽으로 멀어질수록 MS의 발생율과 유병율이 점차로 증가하는 지리학적인 경향이 보고되었다.
또한 면역체계가 강력한 연구의 주제가 되었다. B세포라고 불리는 특수한 백혈구 세포가 발견되었으며 이것은 항체로 불리는 단백질을 생산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그리고 이 항체가 바이러스와 다른 감염물질을 중화시키며, 또한 그 자신의 조직을 공격할 수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병이 있는 동물의 T세포(백혈구의 또다른 타입)를 건강한 동물에 옮김으로서 EAE가 전염될 수 있다는 것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EAE관련 실험은 그것이 자가면역질환임을 나타낸다. 과학자들은 마침내 EAE가 여러가지 측면에서 사람에게서 MS의 아주 뛰어난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했다.
한편 국제 다발성경화증 학회는 MS의 의학적인 관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Dr. George Schumacher가 이끄는 전문가 집단을 소집했으며 MS진단의 표준 가이드라인을 완성했다. 그 후 여러번 수정을 했지만 이러한 기준은 오늘날에도 사용된다. 동시에 MS에 영향을 받은 신경계의 부분과 손상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규정하는 것도 Dr. John Kurzke에 의해 만들어 졌다. 이 기준 덕분에 의사들은 환자들을 더 쉽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었으며 치료에 대한 연구도 휠씬 더 신빙성있게 진행될 수 있었다.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2.17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