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인의 관습과 생활 풍속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몽골인의 관습과 생활 풍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반행위 및 예의

2. 가치표준과 도덕관념

3. 금기

본문내용

1.일반행위 및 예의
몽골인들은 초원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사람이 있으면 말머리를 돌려 그 쪽으로 달려간다. 두 사람은 상호간에 인사를 한 뒤 말에서 내려 초원에 앉아 대화를 주고(주로 가축과 풀의 상태를 묻고, 무슨 좋은 소식이 있느냐라는 뜻을 지닌 소닌 사이항 유 바인 왜(сонин сайхан юү байна вэ?)라 질문한다. 이는 초원의 소식전파의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 질문이다.
그리고 몽골인들은 먼 곳에서 친구가 오는 것이 보이면 거의 대부분 두 손을 흔들면서 환영의 뜻을 나타낸다. 이는 두 손에 무기가 없다는 뜻을 나타내는 일종의 평화선언과도 같다.
몽골인들의 눈은 시력이 5.0이라 말해질 만큼 먼 곳을 아주 잘 보며 또 무척 예리하다. 이렇게 시력이 좋은 것은 주변자연환경의 영향이라고 보여진다.
몽골인들은 가축을 방목한 후 멀리 혼자 앉자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그가 그곳에서도 가축의 안색이나 형상 등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몽골인들은 청각도 아주 예민하다. 예컨대 멀리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오면 땅에 귀를 대고 소리가 나는 거리의 원근을 측정해 낸다.
몽골인들은 남의 집을 방문하면 먼저 반드시 주인을 불러 개를 간수하도록 시킨다. 만약 개가 달려들어도 단지 말 위로만 피할 뿐 개를 때릴 수는 없다. 몽골에서 개를 때리는 행위는 주인을 때리는 것과 같은 극단적인 행동으로 간주된다.
몽골인들은 여행 중 인가를 만나면 그 집에 들어가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밤이라면 숙박도 청할 수 있다. 물론 숙박은 모두 무료이다.
이러한 유습은 몽골제국 때부터 생긴 것으로 칭기스칸은 일찍이 백성들에게 여행객들을 잘 대접하라는 조칙을 내린 바 있다.
주인은 처음에는 반가운 표정 없이 무뚝뚝하게 낯선 방문객을 맞아들이는데 원인은 본래 인성이 냉혹하기 때문이 아니라 즐거움과 분노를 겉으로 표현하지 않는 유목사회의 철학 때문이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2.1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39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