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공통형: 10점
문제: 검사를 통해 얻어진 검사점수의 종류를 제시하고 그 개념을 각각 설명하시오. (10점)
1. 규준점수
2. 표준점수
1) Z-점수 2) T-점수 3) 스테나인
나. 지정형(B형/학번 끝자리가 6~0): 20점
문제: 신뢰도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고 고전검사이론과 신뢰도의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신뢰도의 개념과 신뢰도 추정 방법 종류를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20점)
1. 신뢰도 개념
2. 고전검사이론과 신뢰도의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신뢰도 개념
3. 신뢰도 추정 방법
1) 동형검사 신뢰도 2) 검사-재검사 신뢰도
3) 반분신뢰도와 스피어만-브라운 공식
4) 내적 합치도: KR20, KR21, 크론바흐 알파
다. 참고문헌
문제: 검사를 통해 얻어진 검사점수의 종류를 제시하고 그 개념을 각각 설명하시오. (10점)
1. 규준점수
2. 표준점수
1) Z-점수 2) T-점수 3) 스테나인
나. 지정형(B형/학번 끝자리가 6~0): 20점
문제: 신뢰도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고 고전검사이론과 신뢰도의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신뢰도의 개념과 신뢰도 추정 방법 종류를 실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20점)
1. 신뢰도 개념
2. 고전검사이론과 신뢰도의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되는 신뢰도 개념
3. 신뢰도 추정 방법
1) 동형검사 신뢰도 2) 검사-재검사 신뢰도
3) 반분신뢰도와 스피어만-브라운 공식
4) 내적 합치도: KR20, KR21, 크론바흐 알파
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나누는 방법, 짝수 문항과 홀수 문항으로 나누는 방법, 무작위로 나누는 방법 등이 있다. 중요한 점은 나누어진 두 검사가 ‘동형’이 되도록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완벽하게 구현하기 어려워 반분신뢰도는 실무에서 자주 활용되지 않는다.
반분신뢰도로 신뢰도를 추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검사 문항 수가 줄어들면서 원래 검사가 가지는 신뢰도보다 낮은 값이 도출된다는 것이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스피어만-브라운(Spearman-Brown) 공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40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20문항씩 두 개로 나누었을 때, 두 하위 검사 간의 신뢰도가 0.5라고 가정하면, 스피어만-브라운 공식을 적용하면 교정된 신뢰도는 이보다 조금 더 상승한다. 즉, 단순 계산한 신뢰도보다 보정된 값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4) 내적 합치도: KR20, KR21, 크론바흐 알파
내적 합치도(internal consistency, 내적 일치도)는 검사를 한 번만 시행하여 신뢰도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이다. 내적 합치도는 반분 신뢰도와 달리 검사를 구성하는 문항 하나하나를 각각 검사처럼 생각하여 신뢰도를 구하는 것으로, KR20(Kuder-Richardson 20), KR21(Kuder-Richardson 21), 크론바흐 알파(Cronbach a) 등이 있다.
KR20(Kuder-Richardson Formula 20)은 맞거나 틀리는 형태의 이분문항(binary items)으로 구성된 검사에서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공식은 검사 내 모든 문항의 내적 합치도를 기반으로 신뢰도를 계산하며, 부분 점수가 존재하는 문항에는 적용할 수 없다. 검사 점수의 분산은 문항 간 분산과 문항 내 분산의 합으로 이루어지므로, KR20 값은 문항 간 분산값이다.
KR21(Kuder-Richardson Formula 21)은 KR20의 변형된 형태로, 신뢰도를 추정할 때 필요한 정보가 제한적인 경우 활용할 수 있다. KR20을 계산하려면 각 문항의 정답률과 검사점수의 분산이 필요하지만, 실무에서는 개별 문항의 정답률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KR21은 문항 수, 검사점수의 평균, 검사점수의 분산만으로 신뢰도를 추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KR21은 필요한 정보가 적어 계산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KR20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개별 문항의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문항이 동일한 정답률을 가진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KR21은 문항별 정답률을 알 수 없을 때 대략적인 신뢰도를 구하는 보완적 방법으로 사용되며, 가능하다면 KR20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는 데 유리하다.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는 검사 문항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부분점수가 있는 문항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R20이 정·오답으로만 구분되는 이분형 문항에서만 사용 가능한 반면, 크론바흐 알파는 성취도 검사처럼 부분점수가 부여되는 문항뿐만 아니라,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부터 ‘매우 동의한다’와 같은 리커트 척도(Likert-type) 문항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크론바흐 알파는 심리학, 교육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신뢰도를 평가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이다. 끝으로 KR20의 분자 부분은 각각의 이분형 문항의 분산을 합한 값이고 크론바흐 알파의 분자 부분도 각 문항의 분산을 합한 값이기 때문에, 이분형 문항인 경우 KR20과 크론바흐 알파 값은 같다.
다. 참고문헌
교육평가, 김희태, 유진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과제 스트레스 싹~ 학점 쑥!
반분신뢰도로 신뢰도를 추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검사 문항 수가 줄어들면서 원래 검사가 가지는 신뢰도보다 낮은 값이 도출된다는 것이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스피어만-브라운(Spearman-Brown) 공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40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20문항씩 두 개로 나누었을 때, 두 하위 검사 간의 신뢰도가 0.5라고 가정하면, 스피어만-브라운 공식을 적용하면 교정된 신뢰도는 이보다 조금 더 상승한다. 즉, 단순 계산한 신뢰도보다 보정된 값이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4) 내적 합치도: KR20, KR21, 크론바흐 알파
내적 합치도(internal consistency, 내적 일치도)는 검사를 한 번만 시행하여 신뢰도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이다. 내적 합치도는 반분 신뢰도와 달리 검사를 구성하는 문항 하나하나를 각각 검사처럼 생각하여 신뢰도를 구하는 것으로, KR20(Kuder-Richardson 20), KR21(Kuder-Richardson 21), 크론바흐 알파(Cronbach a) 등이 있다.
KR20(Kuder-Richardson Formula 20)은 맞거나 틀리는 형태의 이분문항(binary items)으로 구성된 검사에서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공식은 검사 내 모든 문항의 내적 합치도를 기반으로 신뢰도를 계산하며, 부분 점수가 존재하는 문항에는 적용할 수 없다. 검사 점수의 분산은 문항 간 분산과 문항 내 분산의 합으로 이루어지므로, KR20 값은 문항 간 분산값이다.
KR21(Kuder-Richardson Formula 21)은 KR20의 변형된 형태로, 신뢰도를 추정할 때 필요한 정보가 제한적인 경우 활용할 수 있다. KR20을 계산하려면 각 문항의 정답률과 검사점수의 분산이 필요하지만, 실무에서는 개별 문항의 정답률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KR21은 문항 수, 검사점수의 평균, 검사점수의 분산만으로 신뢰도를 추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KR21은 필요한 정보가 적어 계산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KR20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개별 문항의 난이도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문항이 동일한 정답률을 가진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KR21은 문항별 정답률을 알 수 없을 때 대략적인 신뢰도를 구하는 보완적 방법으로 사용되며, 가능하다면 KR20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는 데 유리하다.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는 검사 문항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부분점수가 있는 문항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R20이 정·오답으로만 구분되는 이분형 문항에서만 사용 가능한 반면, 크론바흐 알파는 성취도 검사처럼 부분점수가 부여되는 문항뿐만 아니라,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부터 ‘매우 동의한다’와 같은 리커트 척도(Likert-type) 문항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크론바흐 알파는 심리학, 교육학, 사회과학 분야에서 신뢰도를 평가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이다. 끝으로 KR20의 분자 부분은 각각의 이분형 문항의 분산을 합한 값이고 크론바흐 알파의 분자 부분도 각 문항의 분산을 합한 값이기 때문에, 이분형 문항인 경우 KR20과 크론바흐 알파 값은 같다.
다. 참고문헌
교육평가, 김희태, 유진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과제 스트레스 싹~ 학점 쑥!
추천자료
[심리검사 신뢰도][신뢰성][심리검사][신뢰도]신뢰성의 정의 고찰 및 심리검사 신뢰도와 신뢰...
[초등수학교육[수학과][수학교육]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수학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
[2022 교육평가][공통형, 지정형1] ➀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고 ...
교육평가4)타당도와 신뢰도를 각각 설명하되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례를 포함하여 구...
교육평가 기말시험 2023) 정의적 평가의 개념과 특징과 장단점, 구조적 면접법 비구조화면접...
교육평가 신뢰도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교육평가B형 2024년 1학기 중간과제물) 표준화검사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하여 그것의 특징, ...
사회복지조사론_타당도와 신뢰도의 개념과 그 각각의 유형과 사례를 들어 조사보고서의 작성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