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빈을 구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물질은 무엇인가? (3점)
①정답 ②설명
2. 심해와 천해를 구분하는 수심을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3점)
①정답 ②설명
-- 중략 ---
10. 갯터짐의 생태적 기능을 모두 기술하시오. (3점)
①정답 ②설명
11. 참고문헌
①정답 ②설명
2. 심해와 천해를 구분하는 수심을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3점)
①정답 ②설명
-- 중략 ---
10. 갯터짐의 생태적 기능을 모두 기술하시오. (3점)
①정답 ②설명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bay-mouth bar)라고 부른다. 바다로 유입하는 하천이 만구사주로 막혀서 형성된 석호는 하구석호(河口潟湖, river-mouth lagoon)라고 한다. (106쪽)
한편, 아메리카 대륙의 대서양 연안에는 인공위성 영상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는 좁고 긴 사주 섬이 발달해 있다. 사주 섬과 대륙 사이에는 좁고 긴 석호가 형성되어 있고, 사주 섬에는 바다와 석 호를 연결하는 조수통로가 나 있다. 이러한 석호를 해안석호(coastal lagoon)라고 한다. (108-109쪽)
8. 사주가 침식을 받아 일시적인 조수통로가 만들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점)
①정답
브리치(breach)
②설명
바다에서 폭풍이나 해일이 일어나거나 거친 파랑이 사주를 넘어오는 월파(越波)가 발생하여 사주가 침식을 받으면 조수통로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사주가 침식을 받아 일시적인 조수통로가 만들어지는 현상을 외국에서는 브리치(breach), 동해안에서는 ‘갯터짐’ 이라고 부른다. 접두어 ‘갯’은 바다를 의미하고, ‘터짐’은 둑이나 사주가 터져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사주 섬에서도 강력한 허리케인이 육지로 내습하는 과정에서 ‘터짐’이 일어난다. 사주가 침식되거나 월파가 일어나면, 터짐으로 새로이 조수통로가 형성된다. 석호에서 바다로 강한 흐름이 일어나 터짐이 발생하기도 한다. 터짐은 기상과 지형 등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아 짧은 시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허리케인이 지나가고 연안류의 퇴적작용이 활발해지면 터짐으로 생겨 난 조수통로는 다시 닫힌다. 이러한 터짐은 생태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유익하다. 터짐이나 갯터짐은 석호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생물종에는 이동로를 제공하여 종다양성을 높인다. 특히 수운통로가 형성되고 석 호의 수해를 저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2-113쪽)
9. 우리나라에서 석호가 형성된 해안은 어디인가? (3점)
①정답
동해안
②설명
동해안 여러 곳에는 아름다운 석호가 발달해 있다. 통천의 소동정호, 천아포, 신광포, 강동호 등 석호군에서 시작하여 고성의 화진포, 송지호, 속초의 영랑호와 청초호, 강릉의 경포 등 이름난 석호가 있다. (103쪽)
10. 갯터짐의 생태적 기능을 모두 기술하시오. (3점)
①정답
수질 개선, 생물종의 다양성 높임
②설명
갯터짐은 수질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부영양화와 물고기의 집단 폐사를 억제한다. 특히 어패류의 이동로를 제공하여 생물종의 다양성을 높인다. 생물종의 다양성이 높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생물종마다 생태계에서 각각 기능을 맡고 있다. 예컨대 네덜란드 바덴해에 서식 하는 홍합은 1개체가 하루에 25~50 ℓ를 걸러 주는 것으로 조사된 적이 있다. 홍합 한 종류가 바덴해 전체의 물을 2 주일에 한 번씩 걸러 준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화진포호에 서식하는 재첩과 같은 조개는 유기물, 세균, 원생동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한다. (116쪽)
11. 참고문헌
한국지리여행, 유근배,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과제 스트레스 싹~ 학점 쑥!
한편, 아메리카 대륙의 대서양 연안에는 인공위성 영상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는 좁고 긴 사주 섬이 발달해 있다. 사주 섬과 대륙 사이에는 좁고 긴 석호가 형성되어 있고, 사주 섬에는 바다와 석 호를 연결하는 조수통로가 나 있다. 이러한 석호를 해안석호(coastal lagoon)라고 한다. (108-109쪽)
8. 사주가 침식을 받아 일시적인 조수통로가 만들어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점)
①정답
브리치(breach)
②설명
바다에서 폭풍이나 해일이 일어나거나 거친 파랑이 사주를 넘어오는 월파(越波)가 발생하여 사주가 침식을 받으면 조수통로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사주가 침식을 받아 일시적인 조수통로가 만들어지는 현상을 외국에서는 브리치(breach), 동해안에서는 ‘갯터짐’ 이라고 부른다. 접두어 ‘갯’은 바다를 의미하고, ‘터짐’은 둑이나 사주가 터져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사주 섬에서도 강력한 허리케인이 육지로 내습하는 과정에서 ‘터짐’이 일어난다. 사주가 침식되거나 월파가 일어나면, 터짐으로 새로이 조수통로가 형성된다. 석호에서 바다로 강한 흐름이 일어나 터짐이 발생하기도 한다. 터짐은 기상과 지형 등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아 짧은 시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허리케인이 지나가고 연안류의 퇴적작용이 활발해지면 터짐으로 생겨 난 조수통로는 다시 닫힌다. 이러한 터짐은 생태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유익하다. 터짐이나 갯터짐은 석호의 수질을 개선시키고, 생물종에는 이동로를 제공하여 종다양성을 높인다. 특히 수운통로가 형성되고 석 호의 수해를 저감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2-113쪽)
9. 우리나라에서 석호가 형성된 해안은 어디인가? (3점)
①정답
동해안
②설명
동해안 여러 곳에는 아름다운 석호가 발달해 있다. 통천의 소동정호, 천아포, 신광포, 강동호 등 석호군에서 시작하여 고성의 화진포, 송지호, 속초의 영랑호와 청초호, 강릉의 경포 등 이름난 석호가 있다. (103쪽)
10. 갯터짐의 생태적 기능을 모두 기술하시오. (3점)
①정답
수질 개선, 생물종의 다양성 높임
②설명
갯터짐은 수질을 개선시키기 때문에 부영양화와 물고기의 집단 폐사를 억제한다. 특히 어패류의 이동로를 제공하여 생물종의 다양성을 높인다. 생물종의 다양성이 높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생물종마다 생태계에서 각각 기능을 맡고 있다. 예컨대 네덜란드 바덴해에 서식 하는 홍합은 1개체가 하루에 25~50 ℓ를 걸러 주는 것으로 조사된 적이 있다. 홍합 한 종류가 바덴해 전체의 물을 2 주일에 한 번씩 걸러 준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화진포호에 서식하는 재첩과 같은 조개는 유기물, 세균, 원생동물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한다. (116쪽)
11. 참고문헌
한국지리여행, 유근배,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과제 스트레스 싹~ 학점 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