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생산가능곡선이 우하향하면서 원점에 대해 오목한 형태를 갖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0점)
2.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이 모두 증가할 때, 균형가격과 균형생산량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시오. (10점)
3. 예산제약선과 무차별곡선이 접하는 점이 왜 효용극대화점이 되는지 설명하시오. (10점)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생산가능곡선이 우하향하면서 원점에 대해 오목한 형태를 갖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10점)
2.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이 모두 증가할 때, 균형가격과 균형생산량은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시오. (10점)
3. 예산제약선과 무차별곡선이 접하는 점이 왜 효용극대화점이 되는지 설명하시오. (10점)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비를 할 수 없다. 그래서 소비자들은 자신이 갖고 있는 예산 범위에서 효용을 가장 극대화는 수준까지 소비를 하고자 할 것이다.
공리주의는 윤리적 판단을 근거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효용극대화 원칙은 간결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실제의 정책결정과정에 적용하는 방법이 비용 편익 기법인 것이다. 양진석(2021). p.27.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 [그림 5]와 같이 개별적인 소비자들의 선호체계를 나타내는 무차별 곡선과 소비자 예산을 나타내는 예산제약선이 접하는 점이 되는 것이다. 무차별곡선은 원점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그 효용수준이 더욱 커짐을 의미하나, 소비자의 선택은 예산제약선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이 만나는 점에서 가장 큰 효용을 가질 수 있다.
[그림 5] 예산제약선, 무차별곡선
예를 들면, 예산제약이란 것은 소비자에게 주어진 예산 제약이라 할 수 있다. [그림 5]에서 X축과 검은색 사선이 맞닿는 점을 100개, Y축과 만나는 점은 100개라고 할 경우, 그래프에서 A점이 되기 위하여 X값도 감소해야 하고 Y값도 감소해야 한다. X와 Y에 대한 선호가 달라질 경우 그 기울기가 달라지나 예산에 대한 제약은 100개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X와 Y를 구매할 수 있는 예산 제약이라는 것이다.
무차별곡선은 [그림 5]와 같이 반비례 그래프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그림 5]에서 X와 Y는 반비례의 관계에 있다. X를 많이 구매하면 Y가 줄어든다. 그리고 Y를 많이 구매하게 되면 X가 줄어들게 된다. 그래서 X를 얼만큼 산다고 하면, 그래프 위의 구매할 수 있는 Y재화는 고정이 되게 된다. 따라서 그래프 위에서 효용이 항상 똑같게 되는 것이다.
[그림 5]에서 파란색 선을 살펴보면, X값과 Y값을 합한 것이 효용이라고 할 수 있다. 파란색 선이 그래프와 만났을 때, 예산을 전부 다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산제약선과 축이 그리고 있는 삼각형 안에 존재한다면 예산을 전부 사용하지 못한 것이다.
주어진 예산을 전부 사용하여 최고의 효용을 추구하는 것이 소비자가 갖고 있는 목표라면, 초록색의 사선에서 예산제약선과 접하는 경우, 주어진 예산으로 최고 효용을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양진석. (2021). 비용 편익 분석 기법의 장단점. 윤리학, 10(2), 27-46.
기초미시경제론 교안
공리주의는 윤리적 판단을 근거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효용극대화 원칙은 간결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실제의 정책결정과정에 적용하는 방법이 비용 편익 기법인 것이다. 양진석(2021). p.27.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 [그림 5]와 같이 개별적인 소비자들의 선호체계를 나타내는 무차별 곡선과 소비자 예산을 나타내는 예산제약선이 접하는 점이 되는 것이다. 무차별곡선은 원점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그 효용수준이 더욱 커짐을 의미하나, 소비자의 선택은 예산제약선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이 만나는 점에서 가장 큰 효용을 가질 수 있다.
[그림 5] 예산제약선, 무차별곡선
예를 들면, 예산제약이란 것은 소비자에게 주어진 예산 제약이라 할 수 있다. [그림 5]에서 X축과 검은색 사선이 맞닿는 점을 100개, Y축과 만나는 점은 100개라고 할 경우, 그래프에서 A점이 되기 위하여 X값도 감소해야 하고 Y값도 감소해야 한다. X와 Y에 대한 선호가 달라질 경우 그 기울기가 달라지나 예산에 대한 제약은 100개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X와 Y를 구매할 수 있는 예산 제약이라는 것이다.
무차별곡선은 [그림 5]와 같이 반비례 그래프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그림 5]에서 X와 Y는 반비례의 관계에 있다. X를 많이 구매하면 Y가 줄어든다. 그리고 Y를 많이 구매하게 되면 X가 줄어들게 된다. 그래서 X를 얼만큼 산다고 하면, 그래프 위의 구매할 수 있는 Y재화는 고정이 되게 된다. 따라서 그래프 위에서 효용이 항상 똑같게 되는 것이다.
[그림 5]에서 파란색 선을 살펴보면, X값과 Y값을 합한 것이 효용이라고 할 수 있다. 파란색 선이 그래프와 만났을 때, 예산을 전부 다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산제약선과 축이 그리고 있는 삼각형 안에 존재한다면 예산을 전부 사용하지 못한 것이다.
주어진 예산을 전부 사용하여 최고의 효용을 추구하는 것이 소비자가 갖고 있는 목표라면, 초록색의 사선에서 예산제약선과 접하는 경우, 주어진 예산으로 최고 효용을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양진석. (2021). 비용 편익 분석 기법의 장단점. 윤리학, 10(2), 27-46.
기초미시경제론 교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