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증의 정의
2. 통증간호의 목적
3. 통증의 종류
4. 통증간호
5. 통증간호 적용 사례
6. 참고문헌
2. 통증간호의 목적
3. 통증의 종류
4. 통증간호
5. 통증간호 적용 사례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한다.
진정/졸림 : 치료시작 초기나 증량 시 나타나며 내성이 빠른 시일 내에 생긴다.
구역/구토 : 모르핀 투여 시작 초기, 증량 시 나타난다. 내생이 생기기 쉽고 통상 1~2주 정도 지나면 없어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약제를 바꾸거나 항구토제를 사용한다.
호흡억제 : 통증 자체가 호흡 억제를 길항하므로 통증 있을 경우는 드물다. 모르핀을 중지하고 기도를 확보한 후 저산소혈증이 의심되면 산소를 흡입시킨다. Naloxone을 사용한다.
배뇨장애 : 모르핀을 경막외 투여할 때 자주 발생. 발생시 다른 마약성 진통제로 변경하다.
기타 : 입안 건조, 발한, 가려움증, 현기증, 간대성근경련, 불쾌감, 도취감, 수면장애, 성기능 장애
⑦ 대상자 및 가족교육
통증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통증사정, 약물 및 비약물 중재, 약물 부작용 등에 대한 정보를 대상자와 가족에게 교육하여 통증과 관련된 오해를 바로 잡고 자신의 통증 조절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2) 비약물 중재
약물 이외의 마사지, 온냉요법, 심호흡 및 이완요법, 상상요법, 기분전환 등을 통
해 통증으로부터 주의를 환기시킨다.
① 마사지 및 지압
아픈 부위 주변을 마사지하거나 가볍게 두드린다. 따뜻한 윤활제나 로션을 이용
하여 부드럽고 길게 천천히 두들기며 3-10분 정도 시행한다.
② 냉찜질 또는 온찜질
아픈 부위에 얼음주머니나 따뜻한 물주머니를 대거나 따뜻한 물에 목욕을 하도
록 한다. 온찜질은 아픈 근육을 완화시켜주고, 냉찜질은 통증 부위의 감각을 마
비시켜 통증 감각을 감소시킨다. 한 부위에 15분 이상 대지 않도록 하며, 15분
적용, 1시간 휴식하는 간격으로 반복 적용하고 감각이 둔한 곳은 주의하도록 한다.
③ 심호흡과 이완요법
숨을 천천히 깊게 들이마신다.
숨을 천천히 내쉬면서 근육을 이완하기 시작한다. 이때 긴장이 몸에서 빠져
나간다고 느껴본다.
편안한 속도로 천천히, 규칙적으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쉰다.
천천히 박자를 맞추어 ‘하나, 둘, 셋’이라고 하면서 들이마시고 ‘둘, 둘, 셋’이
라고 하면서 숨을 내쉰다. 숨을 내쉴 때마다 ‘평화롭다’, ‘편안하다’라고 말해
본다.
위 심호흡 과정을 반복해서 10회에서 20회정도 시행한다.
천천히 깊게 호흡하면서 끝마친다. 숨을 내쉬면서 ‘나는 정신이 맑고 이완되
었다’라고 속으로 말해본다.
④ 심상요법
대상자에게 평화로움과 안락함을 가져다주는 과거의 경험을 상기시켜 본다.
당신은 어렸을 적에 평화로움, 안전, 희망, 편안함을 느끼게 했던 과거의 상황
을 기억할 수 있는가?
당신은 벤치에 기대어 신발을 벗고 편안히 있은 적이 있는가?
당신은 좋아하는 음악이 있는가?
⑤ 기분 전환
대상자의 관심을 통증이 아닌 다른 곳으로 돌려서 통증을 덜 느끼게 하는 방
법으로, 영화감상, 텔레비전 시청, 음악 감상, 산책 등이 있다.
>다음은 이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종류
명칭
방법
예
생물-신체요법
환경조절
영아의 휴식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소음을 줄이거나 전등의 밝기를 조절하여 불필요한 자극을 감소 혹은 제거하는 방법
전화벨 소리 낮추기, 낮은 소리로 얘기하기, 보육기 위에 커버 덮기 등
체위유지
치료적 체위를 통해 신체선열을 유지하고 통증 부위의 근육긴장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음
복부절개 아동의 침상머리를 올리고 무릎을 구부린 자세 유지
빨기
발뒤꿈치 천자, 눈검사, 포경수술 등과 같은 통증이 수반되는 처치를 할 때 미숙아와 신생아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음
자당
<이당류>
미숙아를 포함한 4개월 이하의 영아에게 통증을 감소시킴
모유수유
안아주기
모든 연령의 아동을 편안하게 하는 방법, 아동의 기질과 통증에 따라 달리 적용함
캥거루 피부접촉, 안아주기
경피신경 자극
전도성 패드를 피부에 적용한 후 낮은 전류를 이용하여 통증신호의 전달을 방해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
종류
명칭
방법
예
인지-행동요법
전환요법
아동의 발달단계와 취향에 맞는 놀이 활동을 선택하여 아동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아동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방법
빨대로 불어서 거품만들기, 바람개비 불기, 퍼즐 맞추기 등
청각자극
시끄러운 소리를 줄이고 아동이 좋아하는 소리에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도록 유도하는 방법
저음의 부드러운 목소리, 자궁 내에서 듣던 소리 들려주기
바이오 피드백
시각적 모니터, 청각적 신호음을 통해서 아동의 심박동수, 근긴장도, 피부온도 등과 같은 생리적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법
심호흡
아동이 호흡에 초점을 맞추어 이완을 유도하는 방법
심상요법
아동이 상황을 시각화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함. 아동이 좋아하는 장소, 놀이에 대해 자료를 수집함. 아동이 충분히 이완된 상태에서 수행함.
생각 멈추기
통증을 일으키는 상황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으로, 그 짧은 진술을 통증이 있을 때마다 기억하도록 함으로써 위안을 주도록 하는 방법
‘지금 아픈건 오래가지 않을거야’
5. 통증간호 적용 사례
-사정 도구: 얼굴통증등급(Faces pain Rating Scale, FPRS)
-대상자: 임OO
-나이: 8세
-진단명: acute bronchitis
-통증 양상: 쑤시는 듯 함
-완화될 때: 핸드폰을 하거나 무언가에 집중할 때(‘캐리’ 스티커 이야기)
-악화될 때: 앉아있을 때
-현재 심한 복통으로 축 쳐져 있고 기운 없는 모습을 보이며 음식을 잘 먹지 않으며 쑤시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얼굴통증 척도를 보여주자 4점을 선택하였고 따라서 비약물적 요법으로 전환요법과 환경요법을 적용하였다.
*비약물적 요법
1. 전환요법: 스티커를 보여주고 좋아하는 캐릭터가 무엇이냐고 묻자 캘리라고 대답함. 스티커를 손에 붙여주고 좋아하는 캐릭터에 대해 대화를 나누며 전환요법 실시함.
2. 환경조절: TV 소리를 줄여주고 얘기할 때 조용한 목소리로 조근조근 이야기하며 불빛의 밝기를 낮춰주는 등 대상자의 주변 환경이 편안하게 느껴지도록 조성함.
-재사정: 대상자에게 얼굴통증척도를 다시 골라보라고 했을 때 2점으로 ‘아까보다는 쪼끔 나은 거 같아요’ 라고 대답하였다.
참고문헌
-‘아동건강회복간호’ 442p 통증관리 (김미예, 구현영, 권윤정, 권인수 등/ 수문사)
진정/졸림 : 치료시작 초기나 증량 시 나타나며 내성이 빠른 시일 내에 생긴다.
구역/구토 : 모르핀 투여 시작 초기, 증량 시 나타난다. 내생이 생기기 쉽고 통상 1~2주 정도 지나면 없어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약제를 바꾸거나 항구토제를 사용한다.
호흡억제 : 통증 자체가 호흡 억제를 길항하므로 통증 있을 경우는 드물다. 모르핀을 중지하고 기도를 확보한 후 저산소혈증이 의심되면 산소를 흡입시킨다. Naloxone을 사용한다.
배뇨장애 : 모르핀을 경막외 투여할 때 자주 발생. 발생시 다른 마약성 진통제로 변경하다.
기타 : 입안 건조, 발한, 가려움증, 현기증, 간대성근경련, 불쾌감, 도취감, 수면장애, 성기능 장애
⑦ 대상자 및 가족교육
통증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통증사정, 약물 및 비약물 중재, 약물 부작용 등에 대한 정보를 대상자와 가족에게 교육하여 통증과 관련된 오해를 바로 잡고 자신의 통증 조절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2) 비약물 중재
약물 이외의 마사지, 온냉요법, 심호흡 및 이완요법, 상상요법, 기분전환 등을 통
해 통증으로부터 주의를 환기시킨다.
① 마사지 및 지압
아픈 부위 주변을 마사지하거나 가볍게 두드린다. 따뜻한 윤활제나 로션을 이용
하여 부드럽고 길게 천천히 두들기며 3-10분 정도 시행한다.
② 냉찜질 또는 온찜질
아픈 부위에 얼음주머니나 따뜻한 물주머니를 대거나 따뜻한 물에 목욕을 하도
록 한다. 온찜질은 아픈 근육을 완화시켜주고, 냉찜질은 통증 부위의 감각을 마
비시켜 통증 감각을 감소시킨다. 한 부위에 15분 이상 대지 않도록 하며, 15분
적용, 1시간 휴식하는 간격으로 반복 적용하고 감각이 둔한 곳은 주의하도록 한다.
③ 심호흡과 이완요법
숨을 천천히 깊게 들이마신다.
숨을 천천히 내쉬면서 근육을 이완하기 시작한다. 이때 긴장이 몸에서 빠져
나간다고 느껴본다.
편안한 속도로 천천히, 규칙적으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쉰다.
천천히 박자를 맞추어 ‘하나, 둘, 셋’이라고 하면서 들이마시고 ‘둘, 둘, 셋’이
라고 하면서 숨을 내쉰다. 숨을 내쉴 때마다 ‘평화롭다’, ‘편안하다’라고 말해
본다.
위 심호흡 과정을 반복해서 10회에서 20회정도 시행한다.
천천히 깊게 호흡하면서 끝마친다. 숨을 내쉬면서 ‘나는 정신이 맑고 이완되
었다’라고 속으로 말해본다.
④ 심상요법
대상자에게 평화로움과 안락함을 가져다주는 과거의 경험을 상기시켜 본다.
당신은 어렸을 적에 평화로움, 안전, 희망, 편안함을 느끼게 했던 과거의 상황
을 기억할 수 있는가?
당신은 벤치에 기대어 신발을 벗고 편안히 있은 적이 있는가?
당신은 좋아하는 음악이 있는가?
⑤ 기분 전환
대상자의 관심을 통증이 아닌 다른 곳으로 돌려서 통증을 덜 느끼게 하는 방
법으로, 영화감상, 텔레비전 시청, 음악 감상, 산책 등이 있다.
>다음은 이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종류
명칭
방법
예
생물-신체요법
환경조절
영아의 휴식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소음을 줄이거나 전등의 밝기를 조절하여 불필요한 자극을 감소 혹은 제거하는 방법
전화벨 소리 낮추기, 낮은 소리로 얘기하기, 보육기 위에 커버 덮기 등
체위유지
치료적 체위를 통해 신체선열을 유지하고 통증 부위의 근육긴장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음
복부절개 아동의 침상머리를 올리고 무릎을 구부린 자세 유지
빨기
발뒤꿈치 천자, 눈검사, 포경수술 등과 같은 통증이 수반되는 처치를 할 때 미숙아와 신생아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음
자당
<이당류>
미숙아를 포함한 4개월 이하의 영아에게 통증을 감소시킴
모유수유
안아주기
모든 연령의 아동을 편안하게 하는 방법, 아동의 기질과 통증에 따라 달리 적용함
캥거루 피부접촉, 안아주기
경피신경 자극
전도성 패드를 피부에 적용한 후 낮은 전류를 이용하여 통증신호의 전달을 방해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
종류
명칭
방법
예
인지-행동요법
전환요법
아동의 발달단계와 취향에 맞는 놀이 활동을 선택하여 아동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 아동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방법
빨대로 불어서 거품만들기, 바람개비 불기, 퍼즐 맞추기 등
청각자극
시끄러운 소리를 줄이고 아동이 좋아하는 소리에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도록 유도하는 방법
저음의 부드러운 목소리, 자궁 내에서 듣던 소리 들려주기
바이오 피드백
시각적 모니터, 청각적 신호음을 통해서 아동의 심박동수, 근긴장도, 피부온도 등과 같은 생리적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는 방법
심호흡
아동이 호흡에 초점을 맞추어 이완을 유도하는 방법
심상요법
아동이 상황을 시각화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함. 아동이 좋아하는 장소, 놀이에 대해 자료를 수집함. 아동이 충분히 이완된 상태에서 수행함.
생각 멈추기
통증을 일으키는 상황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으로, 그 짧은 진술을 통증이 있을 때마다 기억하도록 함으로써 위안을 주도록 하는 방법
‘지금 아픈건 오래가지 않을거야’
5. 통증간호 적용 사례
-사정 도구: 얼굴통증등급(Faces pain Rating Scale, FPRS)
-대상자: 임OO
-나이: 8세
-진단명: acute bronchitis
-통증 양상: 쑤시는 듯 함
-완화될 때: 핸드폰을 하거나 무언가에 집중할 때(‘캐리’ 스티커 이야기)
-악화될 때: 앉아있을 때
-현재 심한 복통으로 축 쳐져 있고 기운 없는 모습을 보이며 음식을 잘 먹지 않으며 쑤시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얼굴통증 척도를 보여주자 4점을 선택하였고 따라서 비약물적 요법으로 전환요법과 환경요법을 적용하였다.
*비약물적 요법
1. 전환요법: 스티커를 보여주고 좋아하는 캐릭터가 무엇이냐고 묻자 캘리라고 대답함. 스티커를 손에 붙여주고 좋아하는 캐릭터에 대해 대화를 나누며 전환요법 실시함.
2. 환경조절: TV 소리를 줄여주고 얘기할 때 조용한 목소리로 조근조근 이야기하며 불빛의 밝기를 낮춰주는 등 대상자의 주변 환경이 편안하게 느껴지도록 조성함.
-재사정: 대상자에게 얼굴통증척도를 다시 골라보라고 했을 때 2점으로 ‘아까보다는 쪼끔 나은 거 같아요’ 라고 대답하였다.
참고문헌
-‘아동건강회복간호’ 442p 통증관리 (김미예, 구현영, 권윤정, 권인수 등/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