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B. 문헌고찰
1. 난소 낭종의 정의 및 분류
2. 증상
3. 진단
4. 치료방법
5. 간호
C. 간호과정
1. 간호 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B. 문헌고찰
1. 난소 낭종의 정의 및 분류
2. 증상
3. 진단
4. 치료방법
5. 간호
C. 간호과정
1. 간호 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
간격
28일
기간
4일
양
적은 편
월경
불편증상
“생리통이 엄청 심해요.”
마지막 월경일
(L.M.P)
2019년
폐경유무
X
산과력
(parity)
0-0-0-0-0
가족계획
아직 계획은 없다.
피임 여부 및 방법
콘돔으로 피임 중
4) 과거력
과거병력
*여성질환: 無 성전파성 질환: 無
*입원경험
대퇴부 골절-
하지정맥 -
*사고 및 상해경험: 無 부인과 질환 및 수술받은 경험: 無
*기타 질환: 고혈압無 당뇨無 특정 내과적 질환 無
5)가족력:
어머니-다낭성 난포
외할아버지-고혈압
6)건강습관
식이: 불규칙, 2회정도, 양-보통, 편식경향-돼지고기, 소고기 등 선호하지 않음.
기호식품: 커피
수면: 평균수면시간 (수면제 먹고)6시간
배설: 배변(규칙성, 양상) 하루 1회 배뇨: 하루 6~7회
구강위생: 1일 3회 목욕: 아침에 1번
외음세척: 주 회, 방법
운동: 거의 하지 않음.
약물 복용: 안정제- 공황장애, 수면제- 병원
7) 신체검진
신장: 160.3 cm 체중: 49.2kg
혈압: 100/70 mmHg 맥박: 87회/min 호흡: 20회/min 체온: 36.7℃
-피부: <얼굴색 약간 노랗고 부종은 없음. 피부는 만졌을 때 약간 찼음.>
-머리: 모발, 두피 <정상.>
-눈: 외형, 분비물, 시력/시야 <정상>
-귀: 외형, 청력 <정상>
-입: 입술, 점막, 구개, 치아, 혀 <정상>
-목: 경부결절, 갑상선 <>
-복부: 외형, 장음 <>
-등: 척추 <정상>
-가슴: 흉곽, 유방, 유두, 유즙, 액와, 심장 <>
-생식기: 병변, 분비물, PAP smear <>
-하지: 부종, 청색증 <없음>
-기타: 화장실 가기 위해 일어나는데 어지러워 비틀거림.
-수술 후 1일
- 입원
15:00
36.7
78
20
100/60
17:00
37.3
83
20
100/70
5:00
36.9
74
20
110/70
9:00
37.0
74
20
100/60
10:05
36.9
83
16
113/71
10:35
36.8
10:50
36.9
11:05
36.9
12:00
36.8
70
20
110/70
17:00
36.9
84
18
110/70
21:00
36.9
90
20
106/69
-(am10:05 수술 시작)
01:00
36.8
72
20
100/60
05:00
36.5
72
20
110/60
09:00
36.7
64
20
110/70
13:00
37.0
72
18
100/70
17:00
37.0
78
18
90/60
21:00
37.0
78
18
100/60
수술 후 간호기록지
내용
수술 직후
12시간
수술 후 1일
수술 후 2일
수술 후 3일
통증조절법
-심호흡, PCA 적용, 침상안정
-심호흡, PCA 적용
-심호흡, PCA 적용
-심호흡
-대화 유도하여 관심 전환하기
-심호흡
수술부위 상태
부종, 발적 없음
섭취량
(IV, PO)
총 섭취량: 2,240
배설량
총 배설량: 1,840
베변
1일 1회
수면
-통증으로 인하여 X
-통증으로 인하여 X
-통증 및 심리적 불안으로 뒤척였음.
-수면제 복용
-통증 아직 있음.
-수면제 복용
-통증 아직 있음.
-수면제 복용
신체적 불편감
-통증 있음.
(NRS 6점)
-통증 있음.
(NRS 5점)
-통증 아직 남아있음. ( NRS 5점-> 4점-> 3점)
-움직이는 것 약간 불편함.
운동정도
침상안정
침상안정
가벼운 걷기운동
가벼운 걷기운동
가벼운 걷기운동
정서상태
-항우울제 복용 중
-수술 전 명료
-수술 직후 마취로 인하여 약간 혼미
-명료함
-항우울제 복용 중
교육내용
-침상 30도 올리기
-기침, 심호흡
-기침, 심호흡, 운동격려
-통증사정 후 심호흡 하고 못 참을 것 같으면 간호사에게 알려줄 것 당부
-기침, 심호흡, 운동격려
-퇴원 예고
-퇴원교육
퇴원교육
주 제
교육내용
교육방법
1. 자가간호
① 회음부 관리
② 좌욕
③ 목욕 및 개인위생
④ 일상생활 및 운동
⑤ 영양
⑥ 성생활
① 회음부 관리
정상균 죽일 수 있는 젤타입/소독제 등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질 내부는 자정능력이 있고 질에 비누를 사용하면 자극을 줄 수 있음을 교육한다. 수건을 통해 음핵 주위를 잘 씻어주며 회음부, 항문주위의 순서로 씻도록 교육하여 장내세균으로 생길 수 있는 요로감염의 위험을 예방한다.
② 좌욕
필요성으로 역시 항문을 깨끗하고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울혈을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방법으로는 물 온도를 40~45도 정도로 너무 뜨겁지 않게, 차갑지 않게 맞추고 3~5분 정도 맹물을 이용하여 탕속에 들어가거나 세숫대야에 물을 받아 다리를 내놓은채 엉덩이를 담그도록 교육한다.
③ 목욕 및 개인위생
손씻기의 행위는 신체감염을 예방할 뿐 아니라 여성 개인위생의 측면에서 용변 후 비뇨생식기계의 감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필요성으로 강조하며 손씻기 방법을 교육한다.
또한 샤워를 하되 수술부위의 실밥을 제거하고 난 이틀 후 수술부위에 문제가 없다면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처가 벌어졌다거나 염증증상이 없어샤 한다. 더불어 통목욕이나 사우나, 찜질방은 질내 상처 회복을 위해 6~8주는 삼가야 한다.
④ 일상생활 및 운동
가벼운 가사활동이나 산책을 권장한다. 1회 30분 이내로 하루 4번 이상 평지를 걷고 활동량을 늘리며, 퇴원 후 6~8주의 휴식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린다. 헬스, 에어로빅, 수영, 등산 등의 운동은 퇴원 6~8주 이후에 가능하다. 또한 청소, 세탁, 요리 등의 가벼운 가사활동은 시행 가능하지만 6~8주간은 복압이 상승되는 활동, 예를들어 무거운 물건을 든다거나 쪼그려 앉는 등의 활동은 피하도록 한다. 여행이나 비행기 탑승은 괜찮지만 너무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영양
골고루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한다. 단백질의 섭취를 위하여 살코기를 먹도록 하며 빈혈관련 수치가 떨어져 있으므로 철분이 함유된 음식, 예를들어 육류나 어패류, 닭고기, 콩류 및 진한 녹색채소 등을 먹도록 하고 신선한 채소나 과일을 먹도록 권장한다.
⑥ 성생활
질 내의 상처를 회복하기까지 6~8주간은 성생활은 되도록 금하도록 한다.
필요성 및 방법을 말로 하여금 교육한다.
2. 심리적 간호
간격
28일
기간
4일
양
적은 편
월경
불편증상
“생리통이 엄청 심해요.”
마지막 월경일
(L.M.P)
2019년
폐경유무
X
산과력
(parity)
0-0-0-0-0
가족계획
아직 계획은 없다.
피임 여부 및 방법
콘돔으로 피임 중
4) 과거력
과거병력
*여성질환: 無 성전파성 질환: 無
*입원경험
대퇴부 골절-
하지정맥 -
*사고 및 상해경험: 無 부인과 질환 및 수술받은 경험: 無
*기타 질환: 고혈압無 당뇨無 특정 내과적 질환 無
5)가족력:
어머니-다낭성 난포
외할아버지-고혈압
6)건강습관
식이: 불규칙, 2회정도, 양-보통, 편식경향-돼지고기, 소고기 등 선호하지 않음.
기호식품: 커피
수면: 평균수면시간 (수면제 먹고)6시간
배설: 배변(규칙성, 양상) 하루 1회 배뇨: 하루 6~7회
구강위생: 1일 3회 목욕: 아침에 1번
외음세척: 주 회, 방법
운동: 거의 하지 않음.
약물 복용: 안정제- 공황장애, 수면제- 병원
7) 신체검진
신장: 160.3 cm 체중: 49.2kg
혈압: 100/70 mmHg 맥박: 87회/min 호흡: 20회/min 체온: 36.7℃
-피부: <얼굴색 약간 노랗고 부종은 없음. 피부는 만졌을 때 약간 찼음.>
-머리: 모발, 두피 <정상.>
-눈: 외형, 분비물, 시력/시야 <정상>
-귀: 외형, 청력 <정상>
-입: 입술, 점막, 구개, 치아, 혀 <정상>
-목: 경부결절, 갑상선 <>
-복부: 외형, 장음 <>
-등: 척추 <정상>
-가슴: 흉곽, 유방, 유두, 유즙, 액와, 심장 <>
-생식기: 병변, 분비물, PAP smear <>
-하지: 부종, 청색증 <없음>
-기타: 화장실 가기 위해 일어나는데 어지러워 비틀거림.
-수술 후 1일
- 입원
15:00
36.7
78
20
100/60
17:00
37.3
83
20
100/70
5:00
36.9
74
20
110/70
9:00
37.0
74
20
100/60
10:05
36.9
83
16
113/71
10:35
36.8
10:50
36.9
11:05
36.9
12:00
36.8
70
20
110/70
17:00
36.9
84
18
110/70
21:00
36.9
90
20
106/69
-(am10:05 수술 시작)
01:00
36.8
72
20
100/60
05:00
36.5
72
20
110/60
09:00
36.7
64
20
110/70
13:00
37.0
72
18
100/70
17:00
37.0
78
18
90/60
21:00
37.0
78
18
100/60
수술 후 간호기록지
내용
수술 직후
12시간
수술 후 1일
수술 후 2일
수술 후 3일
통증조절법
-심호흡, PCA 적용, 침상안정
-심호흡, PCA 적용
-심호흡, PCA 적용
-심호흡
-대화 유도하여 관심 전환하기
-심호흡
수술부위 상태
부종, 발적 없음
섭취량
(IV, PO)
총 섭취량: 2,240
배설량
총 배설량: 1,840
베변
1일 1회
수면
-통증으로 인하여 X
-통증으로 인하여 X
-통증 및 심리적 불안으로 뒤척였음.
-수면제 복용
-통증 아직 있음.
-수면제 복용
-통증 아직 있음.
-수면제 복용
신체적 불편감
-통증 있음.
(NRS 6점)
-통증 있음.
(NRS 5점)
-통증 아직 남아있음. ( NRS 5점-> 4점-> 3점)
-움직이는 것 약간 불편함.
운동정도
침상안정
침상안정
가벼운 걷기운동
가벼운 걷기운동
가벼운 걷기운동
정서상태
-항우울제 복용 중
-수술 전 명료
-수술 직후 마취로 인하여 약간 혼미
-명료함
-항우울제 복용 중
교육내용
-침상 30도 올리기
-기침, 심호흡
-기침, 심호흡, 운동격려
-통증사정 후 심호흡 하고 못 참을 것 같으면 간호사에게 알려줄 것 당부
-기침, 심호흡, 운동격려
-퇴원 예고
-퇴원교육
퇴원교육
주 제
교육내용
교육방법
1. 자가간호
① 회음부 관리
② 좌욕
③ 목욕 및 개인위생
④ 일상생활 및 운동
⑤ 영양
⑥ 성생활
① 회음부 관리
정상균 죽일 수 있는 젤타입/소독제 등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질 내부는 자정능력이 있고 질에 비누를 사용하면 자극을 줄 수 있음을 교육한다. 수건을 통해 음핵 주위를 잘 씻어주며 회음부, 항문주위의 순서로 씻도록 교육하여 장내세균으로 생길 수 있는 요로감염의 위험을 예방한다.
② 좌욕
필요성으로 역시 항문을 깨끗하고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해 울혈을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방법으로는 물 온도를 40~45도 정도로 너무 뜨겁지 않게, 차갑지 않게 맞추고 3~5분 정도 맹물을 이용하여 탕속에 들어가거나 세숫대야에 물을 받아 다리를 내놓은채 엉덩이를 담그도록 교육한다.
③ 목욕 및 개인위생
손씻기의 행위는 신체감염을 예방할 뿐 아니라 여성 개인위생의 측면에서 용변 후 비뇨생식기계의 감염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필요성으로 강조하며 손씻기 방법을 교육한다.
또한 샤워를 하되 수술부위의 실밥을 제거하고 난 이틀 후 수술부위에 문제가 없다면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처가 벌어졌다거나 염증증상이 없어샤 한다. 더불어 통목욕이나 사우나, 찜질방은 질내 상처 회복을 위해 6~8주는 삼가야 한다.
④ 일상생활 및 운동
가벼운 가사활동이나 산책을 권장한다. 1회 30분 이내로 하루 4번 이상 평지를 걷고 활동량을 늘리며, 퇴원 후 6~8주의 휴식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린다. 헬스, 에어로빅, 수영, 등산 등의 운동은 퇴원 6~8주 이후에 가능하다. 또한 청소, 세탁, 요리 등의 가벼운 가사활동은 시행 가능하지만 6~8주간은 복압이 상승되는 활동, 예를들어 무거운 물건을 든다거나 쪼그려 앉는 등의 활동은 피하도록 한다. 여행이나 비행기 탑승은 괜찮지만 너무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영양
골고루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한다. 단백질의 섭취를 위하여 살코기를 먹도록 하며 빈혈관련 수치가 떨어져 있으므로 철분이 함유된 음식, 예를들어 육류나 어패류, 닭고기, 콩류 및 진한 녹색채소 등을 먹도록 하고 신선한 채소나 과일을 먹도록 권장한다.
⑥ 성생활
질 내의 상처를 회복하기까지 6~8주간은 성생활은 되도록 금하도록 한다.
필요성 및 방법을 말로 하여금 교육한다.
2. 심리적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