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 적
2. 원 리
3. 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실험값 및 결과
6. 토의 및 고찰
2. 원 리
3. 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실험값 및 결과
6. 토의 및 고찰
본문내용
- t3) = (m1+M)cw(t3 - t1)의 식에 대입하면
물당량(M) : 1.44g
ㆍ 시료의 비열
시 료
시료의 무게
물의 무게
t\'1
t\'2
t\'3
구 리
100g
138g
18℃
94℃
22.3℃
mc(t\'2 - t\'3) = (m\'1+M)cw(t\'3 - t\'1)에 대입하면
시료의 비열(c) : 0.084cal/gㆍ℃
6. 토의 및 고찰
ㆍ 우리가 처음 실험을 할 때 시료를 추로 놓고 실험을 했다. 추가 무슨 물질인지는 확
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 원래 구리의 비열은 0.38cal/gㆍ℃ 정도인데, 위의 결과값
과는 차이가 많이 났다. 실험한 바에 의하면 추는 구리가 아닌 다른 물질일 수도 있
다는 것과 만일 구리라면 실험 시 온도 측정 및 물의 질량 측정에 대한 오차가 있
었기 때문일 것이다.
물당량(M) : 1.44g
ㆍ 시료의 비열
시 료
시료의 무게
물의 무게
t\'1
t\'2
t\'3
구 리
100g
138g
18℃
94℃
22.3℃
mc(t\'2 - t\'3) = (m\'1+M)cw(t\'3 - t\'1)에 대입하면
시료의 비열(c) : 0.084cal/gㆍ℃
6. 토의 및 고찰
ㆍ 우리가 처음 실험을 할 때 시료를 추로 놓고 실험을 했다. 추가 무슨 물질인지는 확
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 원래 구리의 비열은 0.38cal/gㆍ℃ 정도인데, 위의 결과값
과는 차이가 많이 났다. 실험한 바에 의하면 추는 구리가 아닌 다른 물질일 수도 있
다는 것과 만일 구리라면 실험 시 온도 측정 및 물의 질량 측정에 대한 오차가 있
었기 때문일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