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구조조정의 의의
Ⅱ. 구조조정의 개념
Ⅲ. 구조조정의 필요성
Ⅳ. 다른 나라의 사례를 통해본 구조조정의 효과
Ⅱ. 구조조정의 개념
Ⅲ. 구조조정의 필요성
Ⅳ. 다른 나라의 사례를 통해본 구조조정의 효과
본문내용
소되고 대부분의 기업들은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확보
□「전국민의 주주화(Shareholder Economy)」를 통해 전통적인 자본가와 노동자의 대립적 구도도 해소
- 공기업의 민영화시 종업원지주제를 적극 도입한 결과 종업원의 90%이상이
자사주식을 보유
·주식보유 인구가 14명당 1명에서 4명당 1명으로 급증
·79년에 300만명이었던 개인주식 보유자가 약 1,100만명으로 증가
- 소비자는 대폭적인 가격인하, 질좋은 서비스 등의 혜택을 향유
빅뱅(Big-Bang)으로 이어지는 외환자유화를 전면 시행
□ 대처정부는 79년 10월 전면적인 외환거래자유화를 실시
- 외환거래 관련 대부분의 규제가 철폐됨으로써 대외 금융거래가 완전 자유화
·기업과 개인은 본국 외국환은행과 취급기관을 경유하지 않고 해외예금, 증권투자가 가능
- 그러나 외환자유화에 따른 부작용(자본유출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금리 정책이 실시되고 영란은행(BOE)의 은행감독업무가 강화
□ 외환의 완전자유화 이후 대량의 자금유출로 한때 영국 주식시장의 공동화가 발생
- 해외유출 규모(영국의 해외직간접투자 규모)는 79년 상반기 33억 달러에서 80년 상반기 49억 달러, 81년 상반기 78억 달러로 급증
- 영국의 높은 주식거래비용, 사회불안, 경제침체 등으로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
·영국내 주식매매자금의 상당부분이 영국기업들의 주식예탁증서(ADR)가 거래되고 있던 뉴욕시장으로 이탈
□ 대처는 금융시장의 불안과 일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외환자유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경제체질을 강화
- 당시 前보수당 당수이자 수상(에드워드 히스), 노조 등은 심각한 실업문제와 국부유출 문제를 제기하며 외환통제의 필요성을 주장
- 이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금융자유화는 지속되어 86년 빅뱅(Big-Bang)이라 불리는 금융제도의 획기적 자유화로 연결
민간기업들의 구조조정도 가속
□ 영국 대기업의 70∼80%가 원가절감을 위해 내부조직을 합리화
- 직급계층을 간소화하고 의사결정체제를 분권화
- 60∼70년대에 추진했던 사업다각화전략으로부터 후퇴하여 경쟁력이 없는 사업부문을
과감히 매각
·사업다각화 시에도 같은 업종의 기업을 인수
- 또한 80%기업이 아웃소싱을 적극 활용
□ 영국기업들은 기업매각과 M&A를 통해 사업재편을 추진
- 국제화전략의 일환으로 해외기업을 적극 인수하거나 해외기업과의 합작, 전략적 제휴도 성행
3) 구조조정의 성과
루트( )형 경제회복에 성공
□ 80년대 중반 이후 영국경제는 경제체질의 개선에 따라 본격적인 성장국면으로 진입
- 영국경제는 루트( )형 경제사이클을 보이면서 점차 회복
·81∼82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이후 82년부터 경제가 점차 회복하여 80년대 중반 이후 4∼5% 성장을 지속
경제성장률 추이(\'75∼\'88년)
자료: IFS
□ 80년대 중반 이후 영국경제의 체질 개선과 빅뱅 등의 규제완화로 외화가 대규모로
유입되어 자본수지가 큰 흑자를 기록
- 자본수지 흑자가 87년 280억 달러, 88년 321억 달러로 급증
실업문제 해결에는 10년 이상 소요
□ 물가는 81년을 고비로 빠르게 안정되기 시작했으나 실업자수는 「정치적 위험선」이라고 인식되던 100만명을 지나 85년에는 300만명을 돌파
- 고용을 희생해서라도 물가 안정을 위해 긴축통화정책과 구조조정을 강력히 추진한 대처정책의 결과
- 70년대 초반 오일 쇼크가 있기 전까지 영국은 거의 완전고용상태를 유지
·이는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물가불안이라는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얻은 것에 불과
□ 대처 수상은 실업문제와 관련하여 단기적인 재정정책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힘에 의해 해결하겠다는 기본정책을 고수
- 11%를 웃돌던 실업률이 80년대 중반 이후 구조조정 성과가 가시화되면서 점차 하락
·그러나 실업률이 구조조정 이전 수준(5%)으로 낮아지는 데는 약 10년 이상소요
건전한 노사관계가 정착
□ 무분별한 노조활동의 규제로 80년대 후반부터 파업건수와 노동손실일이 대폭 감소
- 대처정권의 노동개혁으로 매년 1,000건이 넘던 파업건수와 쟁의참가자들이 급격히 감소
- 특히 90년대 들어서는 유럽 국가중에서 독일 다음으로 안정된 노사관계가 정착
□ 노사관계 안정이 영국경제의 성장에 크게 기여
- 파업건수와 노동손실일이 감소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이 크게 향상
- 강력한 노조 때문에 영국 진출을 꺼려왔던 외자계기업도 영국진출을 가속화
영국은 유럽 제2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
□ 영국은 구조조정 이후 유럽 제2위의 경제대국이자 사업환경이 가장 좋은 나라로 발돋움
- 영국은 99년부터 프랑스를 제치고 유럽내 제 2위 경제대국으로 성장
·유럽국가중 최저 실업률(4%)을 자랑
- 적극적인 외자계기업 유치정책은 경제성장과 실업문제 해소에 결정적으로 기여
·저렴한 노동비용, 유연한 노동시장, 규제완화, 적극적인 유치정책 등에 힘입어 영국은 유럽 제1의 투자유치국이 됨
□ 대처리즘(Thatcherism)은 영국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정책기조로 정착
- 대처수상의 지지율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한때 15%까지 하락했으나 83, 87년 총선에서 연속 승리
·영국인들은 대처를 영국병을 치유할 수 있는 강력한 리더십을 지닌 유일한 인물로 인식
·83년 총선에서는 대처가 주도했던 아르헨티나와의 포클랜드전쟁(82년)의 승리가 압도적 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일조
- 보수당은 대처 이후에도 총선에 승리하여 모두 18년간 장기집권에 성공
·노동개혁을 필두로 한 대처의 시장경제 개혁이 성공한 덕분
- 97년 집권한 블레어 노동당 정부도 대처리즘을 계승
참고자료
· 한국기업의 구조조정과 새 조직문화개발 (이학종 著)
· 인터넷 http://sba.etri.re.kr/venture119
· 21세기 국가전략과 개혁과제[3권(3부)] -제 20장 산업구조조정
· 국내외 경제 동향 및 전망 ( http://nts1.deri.co.kr/1998/econo/fin/98113.htm
· 인터넷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 사이버 경기 행정 행정 용어 ( http://provin.kyonggi.kr/ky/logy/가/구조조정.html )
그외 기타 인터넷 자료를 이용하였습니다.
□「전국민의 주주화(Shareholder Economy)」를 통해 전통적인 자본가와 노동자의 대립적 구도도 해소
- 공기업의 민영화시 종업원지주제를 적극 도입한 결과 종업원의 90%이상이
자사주식을 보유
·주식보유 인구가 14명당 1명에서 4명당 1명으로 급증
·79년에 300만명이었던 개인주식 보유자가 약 1,100만명으로 증가
- 소비자는 대폭적인 가격인하, 질좋은 서비스 등의 혜택을 향유
빅뱅(Big-Bang)으로 이어지는 외환자유화를 전면 시행
□ 대처정부는 79년 10월 전면적인 외환거래자유화를 실시
- 외환거래 관련 대부분의 규제가 철폐됨으로써 대외 금융거래가 완전 자유화
·기업과 개인은 본국 외국환은행과 취급기관을 경유하지 않고 해외예금, 증권투자가 가능
- 그러나 외환자유화에 따른 부작용(자본유출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금리 정책이 실시되고 영란은행(BOE)의 은행감독업무가 강화
□ 외환의 완전자유화 이후 대량의 자금유출로 한때 영국 주식시장의 공동화가 발생
- 해외유출 규모(영국의 해외직간접투자 규모)는 79년 상반기 33억 달러에서 80년 상반기 49억 달러, 81년 상반기 78억 달러로 급증
- 영국의 높은 주식거래비용, 사회불안, 경제침체 등으로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
·영국내 주식매매자금의 상당부분이 영국기업들의 주식예탁증서(ADR)가 거래되고 있던 뉴욕시장으로 이탈
□ 대처는 금융시장의 불안과 일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외환자유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경제체질을 강화
- 당시 前보수당 당수이자 수상(에드워드 히스), 노조 등은 심각한 실업문제와 국부유출 문제를 제기하며 외환통제의 필요성을 주장
- 이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금융자유화는 지속되어 86년 빅뱅(Big-Bang)이라 불리는 금융제도의 획기적 자유화로 연결
민간기업들의 구조조정도 가속
□ 영국 대기업의 70∼80%가 원가절감을 위해 내부조직을 합리화
- 직급계층을 간소화하고 의사결정체제를 분권화
- 60∼70년대에 추진했던 사업다각화전략으로부터 후퇴하여 경쟁력이 없는 사업부문을
과감히 매각
·사업다각화 시에도 같은 업종의 기업을 인수
- 또한 80%기업이 아웃소싱을 적극 활용
□ 영국기업들은 기업매각과 M&A를 통해 사업재편을 추진
- 국제화전략의 일환으로 해외기업을 적극 인수하거나 해외기업과의 합작, 전략적 제휴도 성행
3) 구조조정의 성과
루트( )형 경제회복에 성공
□ 80년대 중반 이후 영국경제는 경제체질의 개선에 따라 본격적인 성장국면으로 진입
- 영국경제는 루트( )형 경제사이클을 보이면서 점차 회복
·81∼82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이후 82년부터 경제가 점차 회복하여 80년대 중반 이후 4∼5% 성장을 지속
경제성장률 추이(\'75∼\'88년)
자료: IFS
□ 80년대 중반 이후 영국경제의 체질 개선과 빅뱅 등의 규제완화로 외화가 대규모로
유입되어 자본수지가 큰 흑자를 기록
- 자본수지 흑자가 87년 280억 달러, 88년 321억 달러로 급증
실업문제 해결에는 10년 이상 소요
□ 물가는 81년을 고비로 빠르게 안정되기 시작했으나 실업자수는 「정치적 위험선」이라고 인식되던 100만명을 지나 85년에는 300만명을 돌파
- 고용을 희생해서라도 물가 안정을 위해 긴축통화정책과 구조조정을 강력히 추진한 대처정책의 결과
- 70년대 초반 오일 쇼크가 있기 전까지 영국은 거의 완전고용상태를 유지
·이는 만성적인 국제수지 적자와 물가불안이라는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얻은 것에 불과
□ 대처 수상은 실업문제와 관련하여 단기적인 재정정책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장의 힘에 의해 해결하겠다는 기본정책을 고수
- 11%를 웃돌던 실업률이 80년대 중반 이후 구조조정 성과가 가시화되면서 점차 하락
·그러나 실업률이 구조조정 이전 수준(5%)으로 낮아지는 데는 약 10년 이상소요
건전한 노사관계가 정착
□ 무분별한 노조활동의 규제로 80년대 후반부터 파업건수와 노동손실일이 대폭 감소
- 대처정권의 노동개혁으로 매년 1,000건이 넘던 파업건수와 쟁의참가자들이 급격히 감소
- 특히 90년대 들어서는 유럽 국가중에서 독일 다음으로 안정된 노사관계가 정착
□ 노사관계 안정이 영국경제의 성장에 크게 기여
- 파업건수와 노동손실일이 감소함으로써 노동생산성이 크게 향상
- 강력한 노조 때문에 영국 진출을 꺼려왔던 외자계기업도 영국진출을 가속화
영국은 유럽 제2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
□ 영국은 구조조정 이후 유럽 제2위의 경제대국이자 사업환경이 가장 좋은 나라로 발돋움
- 영국은 99년부터 프랑스를 제치고 유럽내 제 2위 경제대국으로 성장
·유럽국가중 최저 실업률(4%)을 자랑
- 적극적인 외자계기업 유치정책은 경제성장과 실업문제 해소에 결정적으로 기여
·저렴한 노동비용, 유연한 노동시장, 규제완화, 적극적인 유치정책 등에 힘입어 영국은 유럽 제1의 투자유치국이 됨
□ 대처리즘(Thatcherism)은 영국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정책기조로 정착
- 대처수상의 지지율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한때 15%까지 하락했으나 83, 87년 총선에서 연속 승리
·영국인들은 대처를 영국병을 치유할 수 있는 강력한 리더십을 지닌 유일한 인물로 인식
·83년 총선에서는 대처가 주도했던 아르헨티나와의 포클랜드전쟁(82년)의 승리가 압도적 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일조
- 보수당은 대처 이후에도 총선에 승리하여 모두 18년간 장기집권에 성공
·노동개혁을 필두로 한 대처의 시장경제 개혁이 성공한 덕분
- 97년 집권한 블레어 노동당 정부도 대처리즘을 계승
참고자료
· 한국기업의 구조조정과 새 조직문화개발 (이학종 著)
· 인터넷 http://sba.etri.re.kr/venture119
· 21세기 국가전략과 개혁과제[3권(3부)] -제 20장 산업구조조정
· 국내외 경제 동향 및 전망 ( http://nts1.deri.co.kr/1998/econo/fin/98113.htm
· 인터넷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 사이버 경기 행정 행정 용어 ( http://provin.kyonggi.kr/ky/logy/가/구조조정.html )
그외 기타 인터넷 자료를 이용하였습니다.
추천자료
구조조정과 신노사관계 ( 구조조정사례 구조조정 사례 )
빅딜과 산업경쟁력 : 김대중 정부의 산업구조조정정책 평가
공기업의 구조조정 및 민영화에 대한 정책(노사관계
다각화 전략적 제휴 구조조정 요약
[재벌][족벌경영.세습][구조조정][재벌대책][재벌정책][재벌개혁]재벌 족벌경영.세습, 구조조...
정보와 구조조정 - 포드주의를 넘어섰는가
[인적자원관리론]구조조정과 이직관리
한국경제 구조조정과 미래
[기업회계][기업][회계]기업회계의 개념, 기업회계의 역사, 기업회계의 요소, 기업회계의 감...
두산의 구조조정에 의한 경영전략 (두산의구조조정,두산의경영전략,구조조정과경영전략).PPT자료
[사업의 구조조정] 기업의 사업구조조정 (산업구조(산업내 경쟁자간 경쟁력) 분석, 경쟁우위...
두산의 구조조정-두산그룹의 형성과 발전,구조조정의 배경,두산 구조조정의 과정,두산 구조조...
세상읽기와논술2A>> 사회의 사회적 양극화 현상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통계들을 조사 정리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