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교육과 현대 한국교육 – 2015 개정교육과정의 성찰적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유교육과 현대 한국교육 – 2015 개정교육과정의 성찰적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글 내부에 글번호가 매겨져있지는 않으나, 글의 전개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론

2. 자유교육의 개념과 철학적 배경

3. 교과의 역사와 자유교육 전통

4. 2015 개정교육과정의 개요

5. 자유교육 관점에서 본 2015 개정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6. 개선 방안 및 제언

7. 결론

본문내용

또한 직업 세계에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행복이나 정의와 같은 보편적 가치에 관한 내용을 더 강조하는 방향으로 교과 내용을 개편할 수 있으며, 실재(reality)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야를 길러주는 교육학이나 철학과목을 공통 이수과목으로 추가하여, 학습자가 사고하는 힘을 가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 참여 중심형 수업이 지식이 없는 단순한 활동으로 메워지지 않도록, 교사 간 수업 연구와 상호 협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학교 내의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야 할 것 같다.
학교는 그저 직업인을 기르는 공간이 되어서는 안 된다. 요즈음 자본주의 사회에서 학교는 거의 유일하게 교육의 내재적 목적을 가지고, 학습자의 자아실현을 돕는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공교육이 가진 책임을 기억하며, 고대 희랍 자유교육의 이념을 잃지 않고, 교육현장에서도 학생들이 여가를 누릴 수 있도록 교육받을 수 있게 되기를 힘써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Boyd(1921).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김인(2015). 자유교육의 이념 그 쇠퇴의 역사. 도덕교육연구 27(1). 125-142.
김승호(1996). 되새겨보는 ‘자유교육’의 의미. 중등우리교육 8. 118-123.
이광우(2013).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개념, 핵심역량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학술대회. 11. 11-29.
손민호(2011). 역량중심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실 천연구 10(1). 101-121.
손민호(2016). 2015개정교육과정이 남긴 문제들. 교육비평 37. 37-47.
  • 가격3,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5.04.21
  • 저작시기202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69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