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테브난의 정리
2. 노턴의 정리
3. 밀러의 정리
2. 노턴의 정리
3. 밀러의 정리
본문내용
하 양단을 단락시켜 부하양단의 전류를 구한다. 결과는 그림 (c)와 같고 노턴 전류는 5mA이고 노턴저항은 2kΩ 이다.
그림 (a) (b) (c)
위의결과는 노튼의정리도 테브난의 정리처럼 부하저항이 광범위로 변할 때 부하전류를 키르히호프나 중첩의 원리보다 빠르고 쉽게 계산하는 정리이며, 머리로 생각하여서도 해결할수 있고,수치적으로도 풀수있다는거이다.
* 밀러의 정리
그림 (a)는 귀환 커패시터가 입력과 출력회로를 두 번에 걸처 해석해야하므로 복잡하고 어렵다. 하지만 밀러정리를 이용하여 회로를 그림 6-(b)의 등가회로로 바꾸어 주면
입력커패시턴트는
Cin(miller) = C(1-A)
출력 커패시턴스는
Cout(miller)=C
{ A-1} over {A }
이다.
(a) (b) 즉 ,밀러의정리는 입력과 출력회로를 서로 독립적으로 보는 정리이다.
증명
그림 (a)에서 귀환커패시터는 다음과 같은 교류성분을 가지고 있다.
Ic=
{ Vin-Vout} over {-jXc }
Vout = VAin 이므로 윗식을 다시 정리하면
Ic=
{ Vin(1-A)} over {-jXc }
또는
{Vin } over {Ic }
=
{ -jXc}over {1-A }
=
{ -j1} over {2πfC(1-A) }
Vin/ Ic 의 값은 증폭기에 입력측에 나타나는 커패시터의 임피던스이다. 여기서 귀환커패시터가 (1-A) 만큼 곱해진다는 점을 유의하라. 따라서 등가입력 임피던스는
Cin(miller) = C(1-A)
가 된다. 이 밀러요량은 그림 (b)와 같이 증폭기의 입력단자와 병렬로 나타난다. 같은 방법으로 출력측 용량도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커패시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Ic=
{ Vout - Vin} over {-jXc }
=
{(1-1/A)Vout } over {-jXc }
또는
{ Vout} over {Ic }
=
{ -jXc} over {(A-1)/A }
=
{ -j1} over {2πfC(A-1)/A }
Vout/ Ic 의 값은 출력단에 나타나는 커패시터의 임피던스이며, 이것의 실효용량은
Cout(miller) =
{ C(A-1)} over {A }
로 그림 (b)와 같다. A가 큰 경우 이 용량은 거의 귀환용량 C와 같다.
Miller 효과 : 입력측 밀러용량은 귀환용량보다 크게 된는 현상을 Miller 효과라 한다.
그림 (a)
그림 (b)
위의 (a)는
Cin(miller) = C(1-A) = 5pF(121) = 605pF 이고, 밀러효과 때문에 회로의 입력용량은 귀환용량보다 훨씬 더 커진다.
이 경우 밀러용량은
A=
{ 5pF(-121)} over {-120 }
≒5pF 이다.
여기서 전압이득이 큰 경우 밀러용량은 귀환용량과 거의 일치하게된다.
*결과;1.반전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귀환커패시터는 입력과 출력측에 주어지는
두 개의 세로 커패시터와 등가이다.
2.입력 용량은 귀환용량보다 (1+A)배 만큼 더 크고,출력 용량은 귀환용량보다 (
{ 1} over {1+A }
)배 만큼 더 크다
그림 (a) (b) (c)
위의결과는 노튼의정리도 테브난의 정리처럼 부하저항이 광범위로 변할 때 부하전류를 키르히호프나 중첩의 원리보다 빠르고 쉽게 계산하는 정리이며, 머리로 생각하여서도 해결할수 있고,수치적으로도 풀수있다는거이다.
* 밀러의 정리
그림 (a)는 귀환 커패시터가 입력과 출력회로를 두 번에 걸처 해석해야하므로 복잡하고 어렵다. 하지만 밀러정리를 이용하여 회로를 그림 6-(b)의 등가회로로 바꾸어 주면
입력커패시턴트는
Cin(miller) = C(1-A)
출력 커패시턴스는
Cout(miller)=C
{ A-1} over {A }
이다.
(a) (b) 즉 ,밀러의정리는 입력과 출력회로를 서로 독립적으로 보는 정리이다.
증명
그림 (a)에서 귀환커패시터는 다음과 같은 교류성분을 가지고 있다.
Ic=
{ Vin-Vout} over {-jXc }
Vout = VAin 이므로 윗식을 다시 정리하면
Ic=
{ Vin(1-A)} over {-jXc }
또는
{Vin } over {Ic }
=
{ -jXc}over {1-A }
=
{ -j1} over {2πfC(1-A) }
Vin/ Ic 의 값은 증폭기에 입력측에 나타나는 커패시터의 임피던스이다. 여기서 귀환커패시터가 (1-A) 만큼 곱해진다는 점을 유의하라. 따라서 등가입력 임피던스는
Cin(miller) = C(1-A)
가 된다. 이 밀러요량은 그림 (b)와 같이 증폭기의 입력단자와 병렬로 나타난다. 같은 방법으로 출력측 용량도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커패시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Ic=
{ Vout - Vin} over {-jXc }
=
{(1-1/A)Vout } over {-jXc }
또는
{ Vout} over {Ic }
=
{ -jXc} over {(A-1)/A }
=
{ -j1} over {2πfC(A-1)/A }
Vout/ Ic 의 값은 출력단에 나타나는 커패시터의 임피던스이며, 이것의 실효용량은
Cout(miller) =
{ C(A-1)} over {A }
로 그림 (b)와 같다. A가 큰 경우 이 용량은 거의 귀환용량 C와 같다.
Miller 효과 : 입력측 밀러용량은 귀환용량보다 크게 된는 현상을 Miller 효과라 한다.
그림 (a)
그림 (b)
위의 (a)는
Cin(miller) = C(1-A) = 5pF(121) = 605pF 이고, 밀러효과 때문에 회로의 입력용량은 귀환용량보다 훨씬 더 커진다.
이 경우 밀러용량은
A=
{ 5pF(-121)} over {-120 }
≒5pF 이다.
여기서 전압이득이 큰 경우 밀러용량은 귀환용량과 거의 일치하게된다.
*결과;1.반전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의 귀환커패시터는 입력과 출력측에 주어지는
두 개의 세로 커패시터와 등가이다.
2.입력 용량은 귀환용량보다 (1+A)배 만큼 더 크고,출력 용량은 귀환용량보다 (
{ 1} over {1+A }
)배 만큼 더 크다
소개글